빵 좋아하는 악당들의 행성
곽재식 지음 / 비채 / 202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말 열심히 글을 쓰는 작가다. 오래 전 <모살기>란 단편집으로 작가의 이름을 알게 되었다. 아! 이 책은 아직 읽지 않았다. 이후 그의 이름을 여기저기에서 자주 발견했다. 소설에서만 발견했다면 그냥 다작이구나, 하고 넘어갈 텐데 과학, 인문, 어린이 등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글을 쓰고 있다. 실제 이 책을 읽기 전 그의 이름만으로 나온 책을 읽은 적이 없다는 것도 조금 의외다. 혹시 그의 소설을 한 편도 읽지 않은 것 아닌가 하는 의심에 목록을 검색하니 다행스럽게도 몇 권의 단편집에서 그의 이름을 발견하게 되었다. 집에 그의 소설집 몇 권이 있는데 왠지 손이 나가질 않아 아직까지 읽지 않고 있는 것은 다른 작가들과도 비슷한 부분이다.


이 단편집에 실린 글들은 모두 ‘환상문학웹진 거울’에 연재된 소설이다. 이 웹진의 이름을 자주 보지만 제대로 들어가서 소설들을 읽은 적은 없다. 이 웹진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본 것도 작가의 말이 처음이 아닌가 생각한다. 그리고 이 단편집에 실린 소설들의 간단한 정보를 알려준다. 모두 읽은 후 보면 나의 감상과 다른 느낌과 예상하지 못한 의도를 알 수 있다. 이런 것과 상관없이 이 단편집은 재밌다. 읽다 보면 공감할 부분도 상당히 많다. 황당해서 ‘뭐야?’라고 외칠 정도의 소설도 나온다. 마지막 문장이 반전처럼 다가와 앞의 이야기를 곱씹어야 할 경우도 있다. 웃음을 터트리지만 왠지 그 웃음이 씁쓸한 경우도 있다.


헌혈을 독려하기 위해 쓴 글이 표제작 <빵 좋아하는 악당들의 행성>이다. 작가의 말에 나온 이야기이니 참고하시길. 이 단편의 미덕은 황당함을 능청스럽게 밀고 나간 것이다. 헌혈 후 주는 빵에 황당한 기능을 부여한 부분은 황당과 막말의 극치다. 혹시 갑자기 헌혈하는 사람이 늘어났다면 외계인들이 문제의 빵을 획득하기 위해서 일 것이다. <이상한 녹정 이야기>는 안면인식 프로그램에서 같은 사람으로 판정한 사람(?)에 대한 이야기다. 1960년대, 1980년대, 2000년대에 모두 똑같이 생겼다는 설명에 다른 소설이 떠올랐지만 작가는 신라시대 최치원을 끌고 와 황당한 이야기를 펼친다. 마지막 장면을 읽은 후 인류가 모두 채식을 해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다.


<시간여행문>은 SF소설의 흔한 소재인 시간 여행을 다룬다. 그런데 우리가 쉽게 생각한 이 시간 여행을 위해서라면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는 기계가 처음 생긴 시대부터 가능하다고 말한다. 이 부분을 읽고 지금까지 읽은 시간 여행자 이야기는 모두 가짜란 말이야! 하는 의문이 들었다. <신들의 황혼이라고 마술사는 말했다>는 게임이 끝난 후 게임 속 마술사와 게임 플레이어 사이의 기묘한 관계를 간략하게 풀어내었다. 게임 속 캐릭터가 더 역동적으로 나온 것이 상당히 흥미롭다. <슈퍼 사이버 펑크 120분>은 한국의 극악적인 액티브X 정책을 아주 긴박하고 사실적으로 재현한 소설이다. 지금도 은행 사이트에서 검색이나 송금하려면 공동인증서와 보안프로그램 등을 깔아야 한다. 읽다가 나의 답답했던 경험이 울컥 치솟았다.


<판단>은 회사 상사가 후배 직원에게 쏟아내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아마 나도 이런 종류의 말을 자주 했을 것이다. 당연히 많이 듣기도 했다. 이 소설의 매력은 마지막 문장에 있다. <차세대 대형 로봇 플랫폼 구축 사업>은 갑질과 아는 척이 결합해 만들어낸 황당한 상황극이다. 로봇의 원래 기능보다 자신에게 익숙한 조종법을 강요한 갑질의 끝은 황당한 결론으로 이어진다. 로봇 개발팀의 의도와 발주한 개발청의 인식 차이가 만들어낸 현실극이다. <멋쟁이 곽 상사>는 IMF 시대를 배경으로 곽 상사라는 노인과의 기억을 풀어낸다. 화자의 의욕적인 업무 추진을 안되는 사유를 찾아 사사건건 방해한다. 왜? 그런데 온 동네의 존경을 받는다. 그리고 들려주는 현대사의 비극과 이 비극을 넘어선 코미디가 재밌다. 마지막 문장은 전설을 의심하게 한다.


개인적으로 집중력이 가장 깨어진 단편이 <기억 밖으로 도주하기>다. 알 수 없는 시설에 감금된 후 탈출에 성공한 그가 기억하는 것은 한 여성의 얼굴뿐이다. 읽으면서 사이버 공간을 연상했다. 탈출한 그가 보게 되는 수많은 간판과 지역 정보가 간략하게 표기되어 이런 생각을 강화시켰다. 하지만 마지막 반전에서 아! 하고 놀랐다. <지상 최후의 사람일까요>는 사람이 단 한 명 남은 아주 먼 미래 이야기다. 최후의 인간은 치명적 바이러스도, 핵전쟁도, 로봇의 반란도 아닌 출산률 감소의 결과다. 읽다 보면 이게 가능할까? 하는 의문이 들지만 말이다. 홀로 남은 사람의 결단과 그 탄생 이면이 묘하게 머릿속에 맴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