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 순간을 놓치지 마 - 꿈과 삶을 그린 우리 그림 보물 상자
이종수 지음 / 학고재 / 2022년 2월
평점 :
한국 옛 그림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낸 책이다. 나라의 보물이 된 22개의 그림과 저자가 보물로 삼고 싶은 4개의 그림을 다룬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국보나 보물로 지정된 것은 2,643점이라고 한다. 이중에서 그림은 303점이 전부다. 11%가 조금 넘는 수준이다. 생각보다 적은 숫자다. 국보나 보물 전체 목록을 알지 못하니 당연히 들었겠지 생각한 그림이 빠진 경우도 있다. 너무나도 유명해 당연한 ‘몽유도원도’ 같은 경우는 일본에 있다 보니 보물로 지정할 수 없었다. ‘수월관음도’도 마찬가지다. 아쉬운 부분이다. 그리고 생각보다 늦게 보물로 지정된 그림도 있는 것도 의외다.
저자는 4꼭지로 나누어 이야기를 풀어낸다. 이상, 현실, 역사, 보물 아닌 보물들 등이다. 단순히 목차만 보면 아주 이름난 몇 점의 그림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낯선 그림이다. 그런데 실제 그림을 보게 되면 대부분 낯익은 그림들이다. 내가 한국 옛 그림에 관심이 많아 낯익은 것이 아니라 한때 달력이나 다른 매체 등을 통해 봤기 때문이다. 요즘은 집에 달력을 붙여 놓고 생활하지 않지만 예전에는 집 벽에 달력이 항상 붙어 있었다. 그리고 그 달력 속에 민화 등의 옛 그림이 상당히 많이 들어 있었다. 최근에는 탁상 달력을 이용하다 보니 그림을 볼 일이 더 없어진다. 가끔 운치가 사라진다는 느낌이다.
그림에 문외한이다 보니 전문가들이 풀어낸 해설에 기대어 그림을 보게 된다. 책 크기의 한계 때문에 그림을 세밀하게 보지 못한다. 그러다 보니 놓친 부분들이 생각보다 많다. 책 속에서 한 부분을 확대해서 실어줄 때 내가 놓친 부분을 알게 된다. 무심하게 본 부분에 이런 그림이 숨겨져 있다니, 하고 놀란다. 그리고 다시 그림 전체를 훑어본다. 새로운 부분이 눈에 들어온다. 동양화의 준법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은 알지 못하지만 그림의 힘이나 이야기가 조금씩 눈에 들어온다. 얼마나 섬세한지, 색감은 또 어떤지, 그 시대의 화풍은 어떤 것인지 등 참 많은 이야기가 펼쳐진다.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그대로 적용된다.
이런 종류의 책을 읽다 보면 내 감상보다 저자의 감상에 짓눌리는 경우가 많다. 지식이 부족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늘 명성에 놀라 나의 감상과 달라지는 작품으로 ‘세한도’가 있다. 너무 간결해서 나의 기분에 따라 감상이 달라진다. ‘금강전도’는 볼 때마다 이 풍경을 어디서 보고 그린 것일까 하는 의문이 든다. 실물과 좀더 세밀하게 본다면 느낌이 많이 달라질 것이라는 생각을 이번에 처음 했다. ‘동궐도’도 이전에는 지도 같은 느낌이었는데 이번에는 달랐다. 알고 보니 다른 부분이 눈에 들어온다. 개인적으로 가장 낯선 그림은 ‘최익현초상’이다. 어딘가에서 본 적이 있을지 모르지만 기억은 없다. 그리고 늘 무심코 보고, 자세히 들여다보면서 놀라는 ‘화성행행도병풍’이 이번에는 이야기와 함께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리게 한다.
어릴 때 무심코 본 그림 중에 가장 흔하게 본 그림이 김홍도의 그림들이다. 개인적으로 가장 낯익은 그림들이다. 이 책에서 김홍도의 민화는 빠지고 다른 화가의 그림이 들어 있다. ‘야모도추’와 ‘월하정인’인데 아주 낯익다. ‘야모도추’는 이번에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이 그림의 해석을 읽고 그림을 줌인이나 줌아웃하면서 보면 아주 재밌는 영화의 한 장면 같다. 그리고 읽다 보면 언제부터인가 그림의 크기에 눈길이 간다. 생각보다 큰 그림들이 많다. ‘수월관음도’의 경우 실제 길이가 5미터 정도였다고 하니 엄청난 크기다. 장승업의 ‘호취도’도 적은 크기가 아니다. 책 속에 확대한 그림을 보면 그 세밀함과 힘찬 모습에 감탄하게 된다. 영화 <취화선>의 주인공이었는데 저자는 이 부분은 생략했다. 단지 ‘화선’이라고만 말한다. 소문이나 야사를 배제하려고 한 듯하다. 앞으로 미술관에 가게 되면 이번에 배운 것처럼 좀더 그림을 세밀하게 봐야겠다. 집중과 노력이 필요한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