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전 무죄
다이몬 다케아키 지음, 김은모 옮김 / 검은숲 / 2022년 2월
평점 :
사법 제도의 허점을 파고든 작품이다. 재심 청구를 통해 무죄가 되었다고 해도 그 사람에게 내려진 기존 판결의 흔적은 그대로 따라다닌다. 원죄(冤罪) 사건을 다루면서 21년 전 사건의 진실을 파헤친다. 복잡하고 어려운 구성보다 인간의 심리와 사법 제도에 초점을 맞추면서 긴장감을 고조시킨다. 한자가 제대로 표기되지 않은 원죄는 어느 순간부터 기독교 교리에 나오는 원죄(原罪)에 더 익숙해졌지만 이 소설에서 다루는 원죄(冤罪)는 억울하게 뒤집어쓴 죄를 의미한다. 솔직히 말해 소설을 읽으면서 이 단어 때문에 혼란을 겪은 적이 상당히 많다.
21년 전 세 건의 유괴사건이 발생했고, 이 중에서 한 아이는 탈출에 성공했고, 한 아이는 죽은 채 발견되었다. 다른 한 명의 아이는 실종 상태다. 죽은 아이에 대한 경찰의 수사는 한 명의 용의자를 검거하게 되었고, 자백과 명확한 증거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다. 그 용의자 이름은 히라야마 사토시다. 그는 학교 잡역부였고, 주민들의 신고에 의하면 소녀들을 도촬한다는 소문이 있다. 이 사건에 대한 재심청구를 진행하는 변호사는 바로 21년 전 탈출에 성공한 마쓰오카 지사다. 그녀는 유명 변호사 소속이고, 국민적 관심의 대상인 유아 추락 사건의 변론을 맡아 무죄를 받는다. 이런 그녀에게 시니어 변호사가 히라야마의 재심 청구를 맡겼다. 그녀가 그 사건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말이다.
21년이 지났지만 지사는 아직도 그날의 악몽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그녀가 이 사건의 재심 청구를 맡은 이유는 한 사람의 원죄를 해소하는 것도 있지만 자신의 악몽을 깨트리기 위한 것도 있다. 그녀는 자신의 고향으로 돌아와 다시 악몽을 꾼다. 그리고 가장 유력한 용의자인 히라야마를 면회한다. 첫 인상은 그가 범인처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인상만으로 모든 것을 알기는 어렵다. 히라야마가 건성건성 그녀를 대하는데 그녀가 왜 이 사건을 맡았는지 정확하게 설명한 후 분위기가 바뀐다. 이전까지 다른 변호사들은 그를 유죄로 생각하고 진심으로 상대하지 않았던 것이다. 재판 기록과 증거 등을 다시 확인하면서 히라야마의 차에서 발견된 모발의 유전자 재검사에 새로운 희망을 건다.
지사가 변호사의 입장에서 사건을 파헤친다면 과거 이 사건을 담당했던 형사 아리모리는 그가 범인임을 확신한다. 이 확신은 재심 청구 과정에 지사의 사연이 나올 때 잠시 흔들리지만 자신의 확신에 결코 휘둘리지 않는다. 하지만 이 확신은 강요된 자백과 조작된 증거 자료와 결합해 그를 유죄로 만든다. 이 부분은 ‘정의란 이름의 죄’란 장에서 말하는 “경찰의 정의는 범인을 체포하는 것”과 이어져 있다. 그가 재심 재판을 무사히 마친 것과 달리 그의 파트너였던 형사는 자신이 저지른 불법 행위를 고백한다. 기존 판결이 뒤바뀌게 되는 순간이다. 이 판결과 달리 아리모리는 히라야마에 대한 확신을 거두지 않는다. 그의 죄를 밝히고자 노력한다. 이 노력은 증거 조작 등의 고백으로 동료 경찰의 냉대로 더 앞으로 나아가지 못한다. 이런 그에게 의문의 전화 한 통이 오면서 사건은 좀더 복잡해진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히라야마가 진범일까? 하는 의문은 좀처럼 사라지지 않는다. 무죄로 풀려난 히라야마가 지사에게 “고마워, 나 같은 살인자를 무죄로 만들어줘서.”라고 말할 때 새로운 이야기가 펼쳐진다. 지나가듯 얼핏 들은 이 말에 의혹은 깊어지고, 21년 전 사건의 진실은 아직도 밝혀지지 않는다. 아리모리에게 온 의문의 전화는 다른 범죄자의 존재 가능성을 알려준다. 그러다 과거의 흔적들이 하나씩 드러나고, 의심은 더욱 한 사람에게로 향한다. 마지막 장면에서 마주한 진실은 전혀 예상하지 못한 것들이다. 가장 비열한 사실일 밝혀지고, 뒤틀린 확신과 개인의 탐욕과 강렬한 복수심이 어우러져 만들어낸 현장을 멋지게 압축적으로 표현한다. 어떻게 보면 작위적일 수도 있지만 현실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더 극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