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체인메일
이시자키 히로시 지음, 김수현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프롤로그에 나오는 아이의 성적표는 대단히 인상적이다. 놀라운 일등의 연속과 이어지는 폭력에 대한 암시는 예상하지 못한 결말의 복선이자 반전을 품고 있다. 하지만 책의 마지막을 읽기 전에는 결코 알 수 없다. 단서가 되는 것도 엄청나게 꼼꼼하게 읽은 사람이나 니체를 자세히 아는 사람이 아니라면 힘들지 않을까 한다. 만약 끝을 보기 전에 당신이 알았다면 당신은 대단한 사람일 것이다.
네 명의 여중생이 현실의 불만에서 벗어나기 위해 릴레이 소설을 쓴다. 요즘 짜증나는 일이 많지 않니? 하는 문장으로 아이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각자의 역할을 선택하여 소설을 쓴다. 어머니의 가출이나 허식으로 가득한 부모의 행동이나 친구의 탁월한 능력 탓에 좋은 학교에 입학한 아이나 모두 현실에 대한 불만이나 짜증으로 염증을 느낀다. 이때 온 메일 하나는 현실을 벗어나 자신이 주도하는 가상의 현실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이다. 비록 그것이 스토커에 대한 것이지만. 아니 그렇기에 더욱 매혹된 것인지 모른다. 이제 일상과 가상의 세계가 교차하면서 그들의 삶을 표현하기 시작한다.
현실에 대한 불만은 누구나 가지고 있다. 아니 없다는 것이 이상하다. 이 소설 속에 묘사된 세 명의 소녀의 일상은 첫 메일 발송자 유카리를 제외하고 모두 불만으로 가득하다. 작가는 세 명의 일상에 대한 묘사를 세밀하게 하면서 약간은 과도한 상상을 하는 나를 제지하며 약간은 평범한(?) 결말로 유도한다. 그렇다고 그 결말이 지루하거나 재미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단지 피가 튀고 엄청난 살인의 연속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했다는 말이다. 이런 쪽으로 너무 생각이 흘러가는 것을 보면 문제는 나에게 있는 듯하다. 저자의 이력을 보면 그런 쪽으로 발전하기 힘든데 말이다.
현실에 만족하지 못한 사람이 가상세계에서 삶의 힘을 얻는 것은 어쩌면 당연하다. 우리가 매일 부딪히는 현실은 결코 만만하지 않다. 자신의 바람을 무참히 짓밟거나 잘못 이해하는 현실에서 나이가 어린 소녀들이 가상세계에서 자신이 하나의 창조주가 된다는 것은 대단히 매력적인 일일 것이다. 비록 자신만의 창조물이 다른 사람의 글에 이어서 만들어져야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하여도 말이다.
잘 짜여진 구성과 전개로 흥미를 불러왔다. 하지만 역시 독서 대상이 나와 맞지 않는 것인지 아니면 나의 독법에 문제가 있는지 그 소녀들의 감정과 감성에 쉽게 동화되지 못했다. 읽으면서 속도가 붙고 재미도 느꼈지만 가슴속에 남는 의문은 어쩔 수가 없다. 소녀들이 보여주는 놀라운 문장과 마지막 단서를 풀어내는 장면에선 약간 아쉬움을 남겼다. 하나의 단서로 1시간도 되지 않아 비밀을 밝혀내는 마이의 모습은 무리가 있지 않나 생각한다. 그리고 스토커의 모습에 약간은 편견이 개입된 것이 아닌가 한다. 전형적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의 모습인데 차라리 오타쿠의 모습에 가깝게 느껴진다. 여기저기 조금씩 눈에 밟히는 것들이 있지만 자신만의 세계를 만들려는 그들의 모습에 안타까움을 느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