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요 그러니까 우리 강릉으로 가요 창비시선 468
심재휘 지음 / 창비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2022년) 두 번째 읽는 시집이다. 매년 년초가 되면 한 달에 시집 한 권은 읽자고 다짐하지만 권수를 채운 적은 없는 것 같다. 작년과 올해도 시집을 몇 권 구해 놓았지만 욕심만큼 읽지 못했다. 그리고 시집을 읽을 때면 언제나 나의 감수성 부족과 감정이 메마른 듯한 느낌을 받는다. 서평을 쓰려고 하면 읽은 시들이 갑자기 증발한다. 난감하다. 언제부터 인가 시집 마지막에 나오는 해설을 읽지 않다 보니 시 해석이 더 어렵다. 한 자리에서 다 읽지 않고 며칠에 나눠 짬을 내어 읽다 보니 시집의 흐름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다. 읽으면서 좋았던 시나 문장을 기록해 놓았다면 좋았을 텐데 게으름이 그것을 막는다. 시집을 뒤적이면서 읽고 난 후 놓아버린 시어들을 다시 찾는다.


모두 3부로 나누었다. 장소를 배경으로 나누었는데 그 장소들은 서울, 런던, 강릉이다. 시인의 근황을 잘 알지 못하다 보니 시만 가지고 해석해야 한다. 이 세 장소의 의미도 마찬가지다. 런던에 대한 시를 읽다 보면 그렇게나 비가 자주 왔는지 묻고 싶어진다. 사흘째 가는 비가 왔다는 소식보다 나의 시선을 끈 것은 <창문의 발견>에 나온 관찰이다. “그러나 나는 이제 창문을 말하려네 / 빗소리는 비가 내는 것이 아니라 / 창문이 내는 아픈 소리 / 그러니까 내 방에 기대인 창문은 / 내 곁의 먼 곳이었네”(부분) 비와 창문의 결합을 아픈 소리라고 불렀는데 왜일까? 창문에 비가 와서 부딪히는 소리를 듣던 순간이 머릿속에 떠오른다.


1부 서울에서 “맹물 마시듯 / 의미 없는 날도 있어야지 / 잘 살려고 애쓰지 않는 날도 있어야지” (<행복>의 부분) 라고 말한다. 바쁜 일상을 넘어 존재의 인정을 받고 실다. 사람들이 얼마나 의미를 찾고, 잘 살려고 애쓰는 지 역설적으로 알려준다. <어떤 면접>은 읽으면서 가슴이 아팠다.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면 요양원들을 다니면서 / 집 나간 아버지를 찾겠단다”. “국영수보다 어려운 가족이라는 과목의 등급”은 평범한 가정을 대상으로 할 이야기는 아니다. 실제 가족 간에 문제가 생겼을 때 우린 가족이란 존재에 대해 수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지원자의 말에 “질문도 대답도 머뭇거린다.”


3부 강릉의 첫 시는 <외할머니의 허무>다. 허무는 호미의 방언이자 우리가 알고 있는 그 허무다. 이 이중적 의미를 시 속에 녹여내었다. 이 3부의 시들은 그의 유년의 기억들이 녹아 있다. 행정구역의 변경(<주문진, 조금 먼 곳>, <묵호>)을 알려주고, 친구들과의 추억을 환기시킨다. <불멸의 동명극장>을 읽다 보면 내 고향에서 사라진 만남의 장소였던 극장이 떠오른다, 예전에 남대천에서 멱 감다 아이들이 빠져 죽는 교각에 대핸 말할 때(<철다리의 일>) 방송에 나온 저수지, 강 등에 빠진 사람들 뉴스가 생각난다. 물론 한 다리 건너 아는 사람들도 있었다. <임당동 장칼국숫집 광고>란 시는 그가 살던 집에 대한 추억을 다룬다. 아버지가 팔 수밖에 없었던 그곳이 남아 있어 다행이란 감정 속에 ‘매워서 눈물 나는 맛’이란 시어가 가슴에 파고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