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라선 열차와 사라진 아이들
디파 아나파라 지음, 한정아 옮김 / 북로드 / 2021년 11월
평점 :
절판
2021년 에드거 상 수상작이다. 놀라운 것은 이 소설의 앞부분만으로 몇 개의 문학상을 탔다는 것이다. 흔한 일은 분명 아니다. 물론 나의 시선은 에드거 상에 더 가 있다. 간단한 책소개를 하면 인도 빈민가에서 잇따르는 아동 실종 사건을 수사하는 어린이 탐정단의 이야기다. 어린이 탐정단하면 쉽게 떠오르는 이미지를 생각하고 읽다 보면 여러 곳에서 낭패를 본다. 이 탐정단의 활약이 추리를 해 나가면서 작은 사건들을 쉽게 풀어내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인도 빈민가에서 움직여야 하는 상황들이 이것을 더 어렵게 한다. 어떤 대목에서는 이 소설이 추리소설인가 하는 의문을 가지게 한다. 내가 더 유연해질 필요가 있다.
처음에 넝마주이들의 대장 멘탈 이야기가 나오길래 넝마주의들이 탐정단이라는 생각을 했다. ‘이 이야기가 네 생명을 구할 거야’란 장은 각 꼭지의 첫머리에 나온다. 실제 멘탈은 죽었고, 그 후배들이 자이와 그 친구들을 만난다. 그들이 만난 순간은 사라진 친구를 찾아 보라선 열차까지 모험을 떠났을 때다. 한 아줌마가 사탕으로 아이들을 잠들게 해서 납치하려는 순간이다. 선의 뒤에 끔찍한 얼굴이 숨겨져 있다. 이런 사고가 빈번한 듯해 더 놀랍다. 학교에서 이런 상황에 대한 알려주는데 우리나라에서 어린이 유괴 등과 관련해서 교육하는 부분과 연결된다.
빈민가는 외국어로 된 고층 아파트와 분리되어 있다. 그 사이에 쓰레기장과 꼭대기에 가시철사를 두른 높은 벽돌담이 있다. 이 높은 담이 냄새까지 막을 정도는 아니라고 하는데 아파트 건설 당시 쓰레기장 철거가 합의되었다는 부분이 나온다. 인도의 느린 행정에 대한 지적은 이것 외에도 수시로 나온다. 진짜 문제는 이것이 아니라 경찰들의 태도다. 처음 아이가 실종되었을 때, 이 실종이 이어졌을 때 경찰은 적극적으로 수사에 임하지 않는다. 오히려 빈민가에 와서 사람들을 겁박하고 삥을 뜯어간다. 빈민가에 자신들의 시간과 정성을 들일 필요도 열정도 없다. 아이들을 잃은 부모가 울부짖어도 남의 일일뿐이다. 그리고 이 사이에 종교 갈등이 살짝 끼어든다.
자이는 친구 바하두르가 실종되자 TV에서 본 것을 흉내 내어 어린이 탐정단을 만든다. 스스로 탐정이라 말하고 두 친구 파리와 파리즈를 조수라고 부른다. 하지만 이 두 친구는 별로 탐정단에 관심이 없다. 파리즈는 잡일을 하면서 열심히 돈을 벌어야 하고, 파리는 공부하는데 더 관심이 많다. 결성부터 삐거덕거린다. 어린 아이들이다 보니 어떤 부분에서는 한계가 분명하지만 그 가족들을 만날 때, 특히 동생들을 만나 다른 이야기를 듣기에 효율적이다. 경찰이 달아 붙어 수사를 했다면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가 진행되었겠지만 앞에서 말했듯이 경찰은 관심이 없다. 연쇄 실종이 발생해도 그들이 보여준 반응은 처음과 별 차이가 없고, 그 가족이나 사라진 아이들 탓을 할 뿐이다. 암담한 현실이다.
작가는 평범한 소년 자이를 주인공으로 내세워 그가 본 동네와 사람들과 실종 사건을 그 눈높이에서 풀어낸다. 실종자가 이어질 때마다 그 집을 찾아가 정보를 모은다. 하지만 제대로 된 질문을 하는 것은 언제나 파리다. 대신 자이는 왕성한 호기심과 행동력으로 이 수사를 이어간다. 보라선 열차가 있는 곳까지 가기 위해 엄마의 비상금에 손을 대는 대범함도 보여준다. 아이가 생각하는 수사는 방송에서 본 것이 전부인데 현실은 다르다. 이 차이가 드러날 때 작은 재미가 터진다. 그가 보라선 열차역까지 갈 때 보여준 행동은 어릴 때 나의 작은 모험을 떠올린다. 작가는 눈높이를 정확하게 표현하면서 자이의 모험을 그려낸다. 쉽게 읽히면서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부분이다.
빈민가의 풍경과 그들의 삶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이 빈민가에 사는 사람들은 담 너머 고층 아파트 등에서 일하면서 생계를 이어간다. 화장실이 없어 2루피(약36원)를 내고 똥을 싸야 한다. 부모들은 아이들을 때리고, 아이들은 돈을 벌기 위해 길거리로 나간다. 일을 하지 않아도 되는 아이들도 있지만 그들의 삶은 빈곤하다. 더러운 옷을 입고 학교에 가야 하고, 한끼를 학교에서 해결해야 한다. 학생의 폭력에 선생이 공포에 떨어야 하는 상황도 있었다. 사건이 터지자 종교 갈등을 이용하는 무리까지 나타난다. 경찰이 가장 발 빠르게 움직였을 때는 이 종교 갈등을 이용했을 때다. 한 빈민가의 실종 사건을 보여주면서 인도 사회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들을 드러낸다. 예상과 다른 현실적인 결말도 인상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