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크와 맥주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94
서머싯 몸 지음, 황소연 옮김 / 민음사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94권이다. 정말 오랜만에 서머싯 몸의 소설을 읽었다. 한때 그의 대표작인 <달과 6펜스>를 아주 재밌고 읽은 후 다른 작품들도 찾아 읽은 기억이 난다. 그리고 그가 꼽은 열 명의 위대한 작가와 작품 목록을 보고 열심히 찾았던 적도 있다. 헨리 필딩의 <톰 존스>릉 아무리 찾아도 보이지 않아 원서라도 읽어야 하나, 하는 생각을 하기도 했다. 다행히 이 소설은 10년 전에 출간되었다. 하지만 늘 그렇듯이 이 관심은 어느 순간 사그라들었다. 다른 작가로 관심이 옮아갔지만 그의 작품에 대한 관심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다. 신간이나 구간에서 그의 소설이 보이면 자연스럽게 위시리스트에 올린다.


언제부터인가 고전들이 잘 읽히지 않는다. 가끔 읽지만 학창 시절처럼 빠져들지 못한다. 그때처럼 시간이 남아돌지 않기 때문인지, 아니면 고전이 풀어내는 이야기 방식이나 구성이 맞지 않는 것인지 모르겠다. 이런 상황에서도 잘 읽히는 책들이 나온다. 이 소설도 그런 종류 중 하나다. 고전임에도 상당히 가독성이 좋아 재밌게 읽었다. 작가의 작품에 대한 정보를 업데이트 하려고 검색하니 <달과 6펜스>와 한 권으로 묶은 책도 보인다. 예전에는 무심코 본 것 같은데 이번에는 그 차이가 눈에 들어온다. 즐거운 일이다. 아는 것의 즐거움 중 하나다.


작가는 서문에서 이 소설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실존 인물이 아니라고 말한다. 평론가나 역자의 주장에 따르면 그들이 맞다. 가끔 문제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작가는 이런 거짓말(?)을 덧붙인다. 물론 완전히 그들은 아닐 것이다. 작가의 상상력이 덧붙여지고, 윤색된 부분이 있을 것이다. 상세한 부분에 대해서는 나의 지식이 많이 짧아 더 말할 수 없지만 작품 해설을 참고하면 조금 더 자세한 이야기가 나온다. 토마스 하디가 에드워드 드리필드의 실제 모델이고, 작가 엘로이는 작가의 친구인 소설가 휴 월폴의 판박이라고 한다. 휴 월폴의 작품을 찾아보니 표지가 낯익은 작품이 몇 권 보인다,


평론가들이 거장으로 꼽은 에드워드 드리필드가 죽은 후 그 아내가 엘로이에게 전기 작업을 의뢰한다. 앨로이가 어셴든을 만나 그의 정보를 얻기를 바란다. 이때부터 이야기는 어센든의 과거로 흘러가 자신의 삶과 그가 자랐던 마을의 모습과 드리필드와의 만남 등이 하나씩 흘러나온다. 읽다 보면 시간의 흐름 속에 사람들의 인식이 자연스럽게 바뀌는 것이 나온다. 작가가 정확한 시간을 표시하지 않아 극중 사건 등을 참고해서 거꾸로 추론해야 하지만 가장 가까운 시대도 20세기 초반을 넘지 못한다. 이 소설이 1930년에 발표되었으니 어느 정도 기준은 알 수 있다.


이 소설은 <인간의 굴레에서>에서 못 다한 이야기를 풀어낸 작품이다. 솔직히 말해 <인간의 굴레에서>를 읽었는지 읽지 않았는지 모르겠다. 워낙 오래 전에 <달과 6펜스>를 읽었기 때문이다. 아마 문고판으로 읽은 것 같은데 확신할 수 없다. 그것과 상관없이 몸은 이 소설에서 자기의 작가론에 대해 조금씩 풀어낸다. 드리필드가 위대한 것은 위대한 작품을 쓴 것도 있지만 그가 오랫동안 책을 출간했다는 점이다. 단지 몇 권으로 불멸의 명성을 유지하는 작가들이 있지만 긴 세월 동안 작품을 쓴 작가들이 거장으로 이름을 남긴다. 그리고 베스트셀러가 된 작가들이 후대에 재평가를 받거나 거장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는 지적에 고개를 끄덕인다.


에드워드 드리필드가 작가로 명성을 알리는데 유력가 트래퍼드 부인의 도움이 있었지만 작품에 활기를 불어넣은 것은 다른 이들이 그녀를 폄하하려고 부르는 색광 아내 로지가 곁에 있을 때다. 당시 작가들이 다루고 있던 이야기와 다르게 일반 민중의 삶을 자신의 경험으로 녹여내었다는 초기 작품들은 출간 당시보다 후대에 더 좋은 평가를 받았다고 한다. 이 당시 풍조에 대한 설명을 읽다 보면 지금 기준으로 황당한 부분이 많다. 하지만 문제적 여성인 로지는 이 시대의 한계를 뛰어넘었다. 도덕과 윤리의 잣대로 그녀를 평가한다면 지금도 욕을 끝없이 들을 여자이지만 나름의 기준으로 남자들을 즐겁게 만들어주었다. 이런 여성을 1930년에 등장시켰다는데 놀란다. 작가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지만 삶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서머싯 몸의 소설에 다시 관심이 생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