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체스트넛맨
쇠렌 스바이스트루프 지음, 이은선 옮김 / 문학동네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의 원작 소설이다. 넷플릭스를 보지 않지만 원작이 있다고 하면 일단 관심을 둔다. 많은 광고 문구 중 나의 시선을 끈 것은 “스티그 라르손의 밀레니엄 시리즈와 비견할 만한 속도감 빠른 스릴러”라는 부분이다. 한동안 너무 자주 본 문구라 조금 식상하게 다가왔다. 하지만 이 소설을 펼쳐 읽기 시작하면서 조금씩 고개를 끄덕이는 나 자신을 발견한다. 대단한 가독성이다. 특히 마지막 부분은 손에서 놓을 수가 없었다. 너무 잔혹한 장면이 나와 서늘한 기분을 느끼게 만들기도 했지만 언제 이 작품의 후속작이 나올지 궁금해졌다.


남녀 한 쌍을 팀으로 묶었다. 이 둘은 모두 코펜하겐 경찰 살인수사과에 머물기를 바라지 않는다. 툴린은 사이버범죄센터로 부서 이동을 희망하고 있고, 헤스는 유로폴에서 좌천되어 이 부서로 오게 되었다. 하지만 이 둘의 공통점이 하나 있다. 아주 뛰어난 형사란 점이다. 툴린은 서장에서 추천장을 바라면서 이동을 준비하고 있는데 코펜하겐 외곽 주택가 놀이터에서 한 여성의 시신이 발견된다. 라우라 키에르다. 잔혹하게 살해되었고, 오른손이 절단되어 사라졌다. 헤스는 다시 유로폴로 돌아갈 생각만 하고 있다. 둘 사이가 좋을 리 없다. 특히 툴린은 그의 불성실한 태도가 불만이다. 삐걱거리는 모습이 어떻게 보면 전형적인 도입부다. 이 살인 사건의 가장 유력한 용의자는 피해자의 약혼자다. 출장 중 알리바이가 불확실하다.


이 둘이 하나의 흐름을 이룬다면 다른 하나는 일 년 전 살해된 것으로 추정되는 열두 살 아이 크리스티네 하르퉁의 부모 이야기다. 처음에는 이들이 어떤 연관성이 있을까 의문을 자아내었다. 이미 크리스티네의 살인자는 잡혔고, 정신병원에 갇혀 있다. 크리스티네의 엄마는 사회부 장관 로사다. 딸 살인 사건 후 일 년만에 복귀하는데 언론의 관심이 집중되고, 그녀를 비난하는 문구가 나온다. 라우라 키에르의 살인과 날짜가 겹친다. 이 사건은 의혹 중 하나는 크리스티네의 시신을 찾지 못한 것이다. 범인이 자백했지만 시체가 발견되지 않으면서 약간의 희망도 품고 있다. 로사의 남편이 손에서 술을 놓지 못하는 것은 이 가능성과 관계 있다.


서로 다른 두 접점을 이어주는 것은 밤인형이다. 체스트넛맨에 묻어 있는 지문이 일 년 전 죽은 크리스티네의 지문 흔적과 일치한다. 다섯 곳이 맞다. 두 번째 희생자가 나오고, 그 장소에서 발견된 체스트넛맨의 밤에 또 크리스티네의 지문이 묻어 있다. 쉽게 생각할 수 있는 가능성은 예전에 만들어 둔 것을 재활용하거나 자른 손가락을 이용해 의도적으로 지문을 묻히는 것이다. 물론 이런 경우 이 지문이 일 년 이상 보존되는지 하는 문제도 생각해야 한다. 툴린과 헤스가 이 장관을 찾아가 이 사실을 알리고, 단서를 찾으려고 한 것은 당연한 수순이다. 물론 이미 완료된 사건을 다시 파헤치는 것을 상사인 뉠라네르는 바라지 않는다. 그의 최대 업적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연쇄살인으로 이어지면서 하나의 공통점이 나타난다. 그 가정에 아동 학대의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가정에 대한 조사를 요구하는 신고가 있었다는 것이다. 조사 결과는 모두 무혐의였다. 하지만 실제 내용이 드러날 때 독자들은 경악하게 된다. 어떻게 이런 현실을 모를 수 있는지, 어떻게 참았는지 하고 말이다. 연쇄살인범이 희생자들에게 저지르는 참혹한 살인이 의미하는 바도 조금 짐작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고 이 살인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대상도 잘못되었다. 이것이 크리스티네와 어떻게 이어지는 것일까? 그녀의 가정에 폭력이 있었다면 아이가 아니라 엄마가 희생자가 되어야 한다. 빠른 속도감에 머리가 제때 따라가지 못한다.


목차를 보면 1989년만 연도가 나오고, 이후는 일자만 나온다. 그 사이에 거의 30년이 흘렀다. 그리고 무심코 본 일자와 요일은 읽기 전에는 긴박한 느낌을 주는데 실제 며칠의 간격이 있는 경우도 몇 번 있다. 작은 트릭이다. 뛰어난 가독성과 함께 결코 빠트릴 수 없는 것이 두 형사의 콤비와 캐릭터다. 삐걱거린 도입부 이후 서로 합을 조금씩 맞추어 간다. 헤스가 LOL으로 아이들의 마음을 사로잡을 때, 그 게임의 우상으로 한국 프로 게이머를 말할 때 낯설지만 반가웠다. 그 낯섦은 내가 아는 인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작가는 곳곳에 단서를 숨기고, 어둡고 뒤틀린 인간의 욕망을 풀어낸다. 서늘하고 잔인하고 참혹하다. 마지막 장면을 마주할 때는 뭉클해지고 엇갈린 감정에 눈길이 간다. 멋진 스릴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