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계단 - 제47회 에도가와 란포상 수상작 밀리언셀러 클럽 29
다카노 가즈아키 지음 / 황금가지 / 200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먼저 영화로 본 것을 다시 책으로 읽다보면 영화의 이미지가 그대로 묻어가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영화는 보았다는 것을 기억할 뿐 세부적인 것까지 기억에 남아있지 않다. 덕분에 몇 가지 이미지와 영화에서 보지 못한 일본 사법부에 대한 신랄한 비판까지 새롭게 즐기는 재미가 있었다.

 

13계단이라는 제목은 두 가지 의미가 있다. 하나는 사형수에게 형을 집행하기 위한 결제의 단계가 13개라는 의미와 숨겨져 있는 진실이 드러나는 곳에 있는 계단의 개수이다. 한 사람의 생명을 뺏어가는 사법적 집행의 단계가 많다고 해야 할까? 아니면 부족하다고 해야 하나? 글을 읽다보면 그 계단 하나하나가 너무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이 들기도 한다. 특히 정치적인 문제와 결부하여서는 단순한 게임같이 느껴진다.


사형수의 불안감으로 시작하는 이 소설은 특이한 주인공을 가지고 있다. 교도관인 난고와 상해치사로 집행유예 중인 준이치가 그들이다. 가정의 어려움으로 쌍둥이 형에게 대학갈 기회를 빼앗긴 난고가 교도관으로 있으며 느낀 감정은 교도행정에서 자신이 생각한 것과 너무나도 다른 모습뿐만 아니라 사형 집행에서 받은 충격과 회의로 가득하다.


말다툼으로 시작하여 사람을 죽인 준이치가 느끼는 감정은 숨겨져 있지만 피해자 가족에 대해 느끼는 감정이 묘하게 얽혀있다. 우연히 발생한 살인으로 자신의 가족이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위험에 처해진 것이다. 민사상 배상 문제로 그와 같은 일이 발생한다는 것이 조금은 이해가 되지 않는 부분이기도 하다. 그가 형을 살았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그 많은 배상액은 납득하기가 쉽지 않다. 그리고 짧게 지나갔지만 피해자나 가해자 가족 모두가 언론이나 법률에 의해 사생활뿐만 아니라 미래까지 침해받는 것을 보면 분노와 더불어 사회가 얼마나 감정적이고 편협하며 왜곡되어 있는지 알게 된다. 배려나 개인이라는 존재는 거대한 사회적 시선 앞에 조용히 짓밟히는 것이다.


충격적인 이야기가 많은데 그 중 하나가 사형수의 형이 집행된 후 새로운 증거와 범인이 나올 경우 사법부가 자신들의 권위나 실수를 덮기 위해 새로운 범인을 공범으로 만들어 처벌할 수도 있다는 예시다. 자신들의 허물을 덮기 위해 진실을 은폐하고 양심을 속인다는 것이다. 그것이 가능한 것도 아마 피의자가 힘없는 사람일 때뿐일 것이다.


일본 사법제도에 대한 신랄한 비평과 개선의 목소리가 담겨있는데 우리의 사법부가 일제 시대 이후 많은 점에서 일본과 유사함을 생각할 때 우리의 사법제도에까지 눈길이 간다. 그리고 그들 특유의 제도에서 발생하는 모순도 읽는 재미와 함께 많은 생각할 꺼리를 준다. 우리나라의 경우 얼마 전에도 신문에 나왔지만 전관예우에 의해 해결되는 수많은 일들을 생각하면 과연 신뢰해도 되는지? 과연 공평한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추리소설로 사회적인 문제를 다루면서 긴장감을 유지하는데 그것은 작가의 문장과 구성이 좋기 때문일 것이다. 간결한 문장과 아마추어 탐정들의 조사가 예상하지 못한 결말로 이어지는 그 구성이 사회 문제와 잘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하나하나 단서를 따라가면서 마지막에 속도감 있고 예상하지 못한 결말을 유도하는데 인간이라는 존재를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