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의 비극 - 노리즈키 린타로 장편소설 ㅣ 노리즈키 린타로 탐정 시리즈
노리즈키 린타로 지음, 이기웅 옮김 / 포레 / 2021년 6월
평점 :
개정판이다. 이전에 읽었는데 제대로 기억을 못했다. 한참 읽다가 누가 범인인지 떠올랐다. 아래 글은 이전에 쓴 서평을 조금 변형한 것이다. 이 소설은 <요리코를 위하여>란 작품의 자매편으로 평가되는 소설이다. 노리즈키 린타로란 이름을 알게 된 것도 사실 이 작품 때문이다. 작가 이름과 같은 탐정 노리즈키 린타로 시리즈 중 한 권인데 이번 소설에서는 출연 비중이 그렇게 많지 않다. 하지만 그 중요성은 뒤로 가면서 더 강해진다. 중간에 탐정이 알리바이 증명에 이용당하는 일까지 생긴다. 가끔 미스터리 소설을 읽다 보면 이런 설정이 나온다. 물론 이런 트릭은 탐정들에게 금방 깨진다.
이야기는 야마쿠라 시로의 1인칭으로 이어진다. 그는 한 가정의 가장이자 아버지다. 그런데 가장과 아버지의 위치가 다르다. 실제 가정에서 살고 있는 아이는 자신의 친자식이 아니다. 그와 피가 이어진 아이는 다른 집에서 자란다. 도미시와 시게루. 납치되었다가 살해된 아이이자 그의 친아들이다. 소설은 납치된 아이가 시체로 발견되면서 시작한다. 그리고 이 일이 어떻게 벌어졌고, 이 납치 사건 뒤에 숨겨진 비밀이 하나씩 밝혀질 때 사람들의 가면이 한 꺼풀씩 벗겨진다. 뒤틀리고 꼬인 관계처럼 사건도 그렇게 펼쳐진다. 이 모든 일의 중심에는 위선적이고 자기중심적이고 비겁한 아버지 야마쿠라 시로가 있다. 이전에 읽을 때는 이 느낌을 읽으면서 잘 느끼지 못했다.
시로에게 전화가 한 통 온다. 아내 가즈미다. 아들이 납치되었다고 말한다. 회사를 나와 집으로 온다. 아들은 아파 오늘 학교에 가지 않았다. 그럼 누구? 옆집 시게루다. 납치범이 착각한 것이다. 당연히 경찰 연락을 금지하고, 거액의 몸값을 요구한다. 몸값은 준비되었지만 경찰 신고는 이미 되었다. 시게루의 엄마 미치코는 미칠 지경이다. 아이의 아버지가 몸값을 가지고 오길 바란다. 수많은 노선 변경과 급박한 진행으로 시로는 피곤해진다. 그는 시게루가 자신의 아들임을 알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가정이 깨어지는 것을 두려워한다. 미치코의 은근하면서 노골적인 협박과 시게루의 존재는 큰 부담이다. 그렇다고 돈을 전달하는 것을 실패할 수 없다. 다른 어떤 문제가 생길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다 계단에서 굴러 떨어진다. 몸값 전달에 실패하고 아이는 시체로 발견된다.
미치코가 시로의 의도적인 실수를 지적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는 시게루를 제대로 인정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때의 외도로 낳은 아이를 그는 인정하지 못한다. 마음 한 곳에서는 그 아들이 사라져 주길 바랐다. 마음 한 켠에 자신의 실수로 아들이 죽은 것에 대한 죄책감이 있는데 부검 결과는 그의 실수와 관계없음을 알려준다. 이미 전달 당시 아이는 죽어 있었다. 이 사실과 상관없이 그는 왜 그의 아들을 납치하려고 했는지 의문이 생긴다. 제1용의자 미우라 야스시를 찾아간다. 그는 바로 자기 가정의 아들 다카시의 친아버지다. 죽은 처제의 남편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가 납치범에게 이리저리 끌려 다닐 당시 알리바이가 있다. 그가 바로 탐정 노리즈키 린타로다. 그리고 탐정이 이 사건에 개입하게 되는 계기가 된다.
이 소설은 아들과 가족에 대해 묻는다. 흔히 하는 기른 자식과 낳은 자식의 문제다. 작가는 무게를 가정과 기른 자식에 더 무게를 둔다. 자신이 지키고자 하는 것에 더 무게를 둔 것이다. 시로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아내 가즈미다. 그가 잠시 바람을 핀 것도 아내와의 관계가 나빴을 때다. 아니 아내의 우울증 때문에 힘들었을 때다. 이 가정에 위기를 가져온 것은 바로 미치코다. 이것은 그의 비겁한 변명이기도 하다. 그녀의 은근한 압박은 그를 흔들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런 상황에서 벌어진 납치사건은 그의 속내를 하나씩 밝혀내는 계기가 된다. 동시에 이 사건과 관련된 사람들의 숨겨진 속마음도. 그리고 양파껍질처럼 벗겨지는 사실들은 반전으로 이어진다. 또 그 속에 시로의 집착이 담겨 있다. 이 과정을 작가는 약간은 도식적인 구성으로 풀어낸다. 1인칭의 이야기가 풀어내는 속내는 어쩔 수 없는지 모르겠다. 마지막에 다카시와 그의 대화는 곰곰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그의 속내와 집착을 잘 드러내기 때문이다. 한 번 읽었던 작품이라 그때 느끼지 못한 감정들이 조금씩 가슴 속으로 들어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