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크리트의 섬 JGB 걸작선
제임스 그레이엄 밸러드 지음, 조호근 옮김 / 현대문학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의 <도심 재난 3부작> 중 한 권이다. 다른 두 작품은 <크래시>와 <하이-라이즈>다. 한참 책을 사 모을 때 <하이-라이즈>는 샀다. 그런데 <크래시>는 잘 모르겠다. 아마 오래전 본 영화 <크래쉬>의 이미지 때문에 사지 않았던 것 같다. 거장 데이비드 크로넨버그가 만든 영화는 상당히 난해했고, 개인적으로 취향과도 맞지 않았다. 작가의 또 다른 시리즈인 <지구 종말 시리즈>도 뒤늦게 알게 된 작가의 명성 때문에 어렵게 중고책을 구해 놓았는데 최근 개정판이 나왔다. 영화 <태양의 제국>의 원작자란 사실도 이번에야 제대로 인식했다. 알았다면 헌책방에서 샀을 텐데 조금 아쉽다.


지구 종말 시리즈에 대한 서평을 보면 난해하다는 글이 보인다. 내가 이 작가의 작품에 손이 쉽게 나가지 않은 이유 중 하나다. 그렇지만 이런 유명한 작가의 신작이 나왔다는 소식을 들으면 나도 모르게 손이 나간다. 실제 이 작품을 읽으면 생각한 것보다 훨씬 가독성이 좋았다. 내용은 가독성과 상관없이 상당히 난해하다. 이 난해함은 주인공이 이름 붙인 ‘교통섬’이란 공간에 떨어지고, 벗어날 수 없게 되는 상황에 공감을 하지 못한 부분에서 비롯한다. 입체교차로에서 과속으로 떨어진 것은 이해한다고 해도 그가 그곳에서 차에 치여 다시 교통섬에 떨어지는 과정과 생존이 충분히 납득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뭐 이 장면을 하나의 블랙코미디처럼 해석한다면 다르겠지만.


현대의 많은 작가들이 <로빈슨 크루소>를 변주해 작품을 내놓았다. 영화로 만들어진 작품들은 재밌게 보는데 왜 소설로 재해석된 작품들은 그렇게 가슴에 와 닿는 재미를 주지 못할까? 존 쿳시의 <포>도 그런 작품 중 한 권이다. 영화는 오락성에 중점을 두었고 소설은 재미만을 추구하지 않았기 때문일까? 그리고 이 소설을 SF 장르로 구분한 것을 닐 게이먼의 해제를 읽기 전에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했다. 사실 내가 좋아하는 SF 장르는 작가가 처음 단편을 쓸 때 유행하던 것들에 좀 더 가까운데 말이다. 밸러드식 내우주 SF란 것을 처음 접하는 나는 조금 혼란스럽다.


건축가 로버트 메이틀랜드는 런던 중심부 웨스트웨이 입체교차로에서 과속하다 가드레일을 박고 추락한다. 다행히 큰 부상이 없다. 아이를 데리러 가야 한다. 높은 경사면을 올라 지나가는 차를 얻어 타고 가면 상황은 쉽게 끝날 수 있다. 그런데 입체교차로란 곳이 항상 붐비는 공간이다. 과속으로 차들은 달리고, 어떤 차들은 그에게 상처를 준다. 결국 차에 치여 그가 교통섬이라고 부르는 곳에 다시 떨어진다. 다친 몸으로 높은 경사면을 올라가기 힘들다. 차만 다니지 사람은 주변에 잘 보이지 않는다. 교통섬의 사고난 차에 앉은 그를 본 운전자도 그가 자의적으로 그곳에 머문다고 생각한다. 의도하지 않은 고립과 생존의 문제를 마주한다. 그러다 고열에 시달린다. 그의 생존 활동을 지켜보던 두 남녀가 그를 돕는다.


이 두 남녀는 제인과 프록터다. 로빈슨 크루소의 프라이데이가 이렇게 두 남녀로 변주되었다. 프록터는 사고로 지능이 떨어지는 중늙은이다. 젊은 여성 제인은 서서히 그 정체가 드러난다. 이 둘은 자발적으로 이 교통섬에 머문다. 제인은 밖으로 나갔다가 들어온다. 메이틀랜드에게 제인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 교통섬을 나가고, 차에 치인 부위들도 치료받아야 한다. 프록터는 트라우마 때문에 이 섬에서 나갈 마음이 없다. 외부 사람들이 이곳에 들어오게 되면 프록터는 갈 곳이 없어진다. 이 두려움은 메이틀랜드가 이 섬을 나가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그가 어떻게 음식을 구하는지 보여준다. 생존의 기반 중 하나가 음식물 불법 투기라니. 가파른 경사로를 올라갈만큼 체력이 되지 않는 메이틀랜드와 결코 밖으로 나갈 마음이 없는 제인과 프록터의 짧은 동거가 이어진다. 읽으면서 그 상황을 떠올리고 생각이 꼬리를 물고 이어진다.


조금 무거운 마음으로 접근했지만 생각보다 가독성이 좋았다. 로빈스 크루소 변주도 내가 생각한 것과 달라 신선했다. 밸러드식 내우주 SF는 다 읽은 지금도 여전히 난해하다. 이 소설 속 상황과 장면을 현대인의 삶과 연결시켜 해석하는 것도 가능한데 왠지 그 이야기가 매력적이지는 않다. 잘못 이해하는 것일까? 다만 상황과 장면들이 머릿속에서 계속 되풀이되면서 생각의 꼬리를 문다. 개인적으로 마지막에 제인이 교통섬을 나가 너머 쉽게 차를 얻어 타는 장면을 보면서 헛웃음이 나왔다. 그리고 이 소설에서 프라이데이는 과연 누굴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도식적으로만 해석하기엔 상황 등이 고전과 너무 다르다. 다른 작품에 대해 ‘도전’을 외쳐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