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보스 문도스 밀리언셀러 클럽 62
기리노 나쓰오 지음, 김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07년 5월
평점 :
절판


 이 작품집을 통해서 기리노 나쓰오라는 작가의 새로운 면을 보게 되었다. 그녀의 작품을 모두 읽은 것도 아니고 몇 편정도 밖에 읽지 않았지만 그 한 편 한 편이 모두 끔찍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현실이 배경이 되었겠지만 전혀 현실처럼 느껴지지 않는 그 상황들이 나에게 이 작가의 작품을 쉽게 연속으로 읽는 것을 방해하였는데 이번 소설집은 다른 모습을 많이 알게 되는 좋은 기회였다.


첫 번째 단편인 ‘식림’을 읽는 순간은 역시 그녀의 작품이구나! 하고 생각하였지만 연속해서 나온 단편들을 읽으면서 어! 좀 다른데 하는 느낌을 가지게 되었다. 여태 읽은 그녀의 작품과 가장 유사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 마지막 단편이자 표제작인 ‘암보스 문도스’였다. 진실에 대한 단서만을 보여주지만 정황만으로 본다면 어린 소녀들의 행동은 놀랍고 치밀하며 무시무시하다. 또 화자가 처한 상황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이나 매스컴의 행태는 제삼자인 내가 보아도 심하고 가학적이다. 이 부분은 일본 소설이나 드라마 등을 보면서 가장 불합리하게 느끼고 인간이 가진 잔혹한 심리를 엿보게 한다.


곳곳에 작가의 특징이 묻어나오지만 전체적으로 ‘아웃’이나 ‘잔학기’나 ‘아임 소리 마마’같은 충격적인 모습이 덜하여 읽기는 편했다. 앞에서도 말한 ‘식림’에서 약간의 전조를 보여주었지만 보통의 작가들 작품에서 본 것보다 강도가 심한 편이 아니라 별 무리 없이 읽을 수 있었다. 개인적으로 재미있게 읽은 작품은 ‘식림’과 ‘부도의 숲’과 ‘ 암보스 문도스’다.


특히 ‘식림’에서 보여준 섬세하고 잘 짜여진 구성과 심리는 마지막까지 즐겁게 만들어주었다. ‘부도의 숲’은 추억 속에 숨겨진 감정들을 그려내는데 재미있는 소재와 전개였다. ‘사랑의 섬’은 후반부의 약간 예상하지 못한 전개와 결말로 당혹감을 느끼기도 하였는데 무라카미 류의 작품을 잠시 떠올려주었다. 뭐 류의 소설이 좀더 노골적이고 자세한 부분이 있지만 살인과 관련된 여성에 대한 부분에선 여사를 따라오기엔 부족함 많다. ‘독동’의 경우 마지막 끝부분에서 약간은 황당함을 느꼈다. 판타지적 요소가 담겨있어 그런 기분인지 모르지만 묘한 마무리였다.


다양한 인간의 감정과 비밀과 일상을 담고 있는 이 소설집이 그녀가 여태껏 보여준 작품들의 연장선에 있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언제나 우리가 살고 있는 일상에 숨겨진 감정이나 잔혹함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그녀에게 무서움을 느끼지만 현실의 경계가 상상의 경계를 넘어선 모습을 많이 본 사람들에겐 전혀 낯선 것이 아닐 것이다. 우리 삶의 어두운 일면을 보고 싶은 사람에게 권하고 싶다. 비록 잔혹함이 다른 작품들보다 덜하다고 하지만 비극적인 삶이나 비밀스러운 심리를 잘 표현한 작품인 것은 틀림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