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를 버리다 -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가오 옌 그림, 김난주 옮김 / 비채 / 202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루키의 따끈따끈한 신작 에세이다. 2020년도에 일본에서 출간되었다. 하루키의 에세이 중에서 드물게 자신의 가족에 대해 이야기한다. 부제도 ‘아버지에 대해 이야기할 때’라고 붙여놓았다. 솔직히 말해 분량만 놓고 보면 한 권으로 나올 정도는 아니다. 작은 판본에 겨우 100쪽 정도다. 여기에 가오 옌의 그림을 제외하다면 글은 더 적다. 그러나 하루키를 좋아한다면 이 내밀한 이야기에 빠져드는 자신을 발견할 것이다. 아버지와의 관계, 자신의 어린 시절, 혹시나 하는 걱정 등이 솔직하게 표현되어 있기에 더욱 그렇다.


제목처럼 바닷가에 고양이를 버렸는데 이 고양이가 아버지와 자신보다 먼저 집에 도착한 것에서 이야기가 시작한다. 하루키의 소년 시절과 아버지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흘러나온다. 특히 시선을 끄는 것은 아버지 이야기다. 아버지가 입대한 부대가 악명 놓은 난징 대학살의 부대였던 것을 알고 걱정했다는 모습을 보면서 그의 작품이 떠올랐다. 조사한 결과 난징 대학살 다음 해에 입대했다. 이렇게 아버지에 대한 기억과 실제 기록을 교차해서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 글을 읽으면서 예전에 내 아버지의 사진들을 발견하고 봤던 그 순간이 떠올랐다. 너무 젊어 낯설었던 그 순간 말이다.


하이쿠를 좋아한 아버지의 작품 몇 편이 나오는데 잘 쓴 하이쿠인지는 모르겠다. 하루키도 모르는데 그 문화권이 아닌 나는 어떻겠는가. 기억과 기록의 차이 중 하나가 아버지가 군대 입대 후 대학에 들어간 부분이다. 2차 대전 당시에 전쟁터로 끌려가지 않았다니 대단하다. 아버지가 전쟁 중에 일어난 일을 들려준 이야기 중 아주 끔찍한 일이 있다. 바로 군도로 인간을 내려치는 행위다. 전장에 빨리 익숙해지기 위해서라는 변명이 나오지만 절대 있어서는 안 되는 행위다. 이 글을 보면서 어릴 때 본 영화 속 장면이 떠올랐다. 일제가 저지른 만행 중 하나인 독립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을 작두나 군도로 목을 자르는 장면이다.


이런 전쟁 중에 경험했던 일들이 어쩌면 하루키 아버지가 불단을 차려놓고 기도했던 이유인지 모르겠다. 전쟁의 경험은 이 두 부자 사이를 갈라놓는 이유 중 하나다. 부모의 바람과 하루키의 삶이 같이 가지 않자 화를 내었다는 부분은 현재에도 수많은 부모 자식 사이에 있는 일이다. 하지만 전쟁 때문에 공부를 하고 싶어도 하지 못했던 아버지가 평화 시기에 전력으로 공부하지 않는다고 안타까워하는 모습은 세대 차이를 잘 보여주는 대목이다. 그리고 오랜 시절 절연 관계였다는 부분은 그가 가족에 대해 글을 쓰지 않은 이유를 이해하는데 조금은 도움이 된다.


이 짧은 책을 읽으면서 머릿속은 하루키의 아버지 이야기와 함께 내 부모님 이야기도 같이 진행되는 순간을 경험했다. 내가 잘 알지 못하는 내 부모님 이야기가 하루키의 간결한 부모님 만남 사연과 겹치면서 머릿속에 맴돌았다. 언제 한 번 들은 것 같은데 잊고 있는 그 이야기를 다시 확인할 기회가 있을까. 그리고 가오 옌의 그림은 하루키의 말처럼 왠지 모르게 그리움을 불러온다. 간결하지만 분명한 그림인데 왜 그럴까? 하루키를 좋아하거나, 두꺼운 책이 부담되거나, 책을 읽었다고 자랑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