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귀신나방
장용민 지음 / 엘릭시르 / 2018년 9월
평점 :
장용민의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이 처음 나왔을 때 얼핏 본 기억이 있다. 영화로도 제작되었는데 영화도 봤다. 이상의 시를 소재로 이런 스릴러를 만들었다는 점에서 시선을 끌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리고 다음 작품들이 나왔지만 크게 관심을 두지 않았다. 그러다 <궁극의 아이>와 <불로의 인형>에 대한 수많은 호평을 보고 다시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책을 구해놓고 당연히 묵혀둔 것은 나의 일반적인 수순이다. 읽어야지 하면서 놓아뒀지만 손이 먼저 간 것은 최근작인 <귀신나방>이었다. 책을 펼쳐 읽자 잘 읽혔다. 하지만 그 이상으로 나아가지 못했다.
읽으면서 머릿속에 떠오른 작품 하나가 있다. 아이라 레빈의 <브라질에서 온 소년>이다. 나치와 히틀러를 다룬 고전 중 고전이다. 2차 대전 마지막에 히틀러가 자살했다고 했지만 그가 살아 있다는 소문은 계속해서 떠돌고 있다. 나치의 죽음의 의사 멩겔레를 찾지 못한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될 것이다. 최근에 멩겔레를 추적한 책이 한 권 나왔다고 하는데 이번 소설을 읽은 후 부쩍 관심이 생겼다. 히틀러가 살아 있다면, 그의 제국을 새롭게 건설한다면 어떤 모습과 어떻게 제국을 건설할 것인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작가는 이 의문을 멩겔레의 의술과 미국 자본주의 속으로 들어간 나치를 설정해서 풀어내었다.
소설의 도입부는 브로드웨이 뮤지컬 극장에서 오토 바우만이란 남자가 한 소년을 살해하면서 아돌러 히틀러를 외치는 장면이다. 이후 바우만은 사형을 선고받는다. 그는 퓰리처상 수상자인 여성 저널리스트 크리스틴 하퍼드를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하고, 그녀에게 왜 그가 소년을 쏠 수밖에 없었는지 들려준다. 자신이 아우슈비츠 출신이고, 나치 잔당을 체포하려는 이디의 멤버 중 한 명이었다고 말한다. 전후 독일의 풍경을 묘사하고, 동료들과 나치 잔당을 잡기 위해 어떤 활약을 했는지, 그 과정에 어떤 비극이 있었는지 빠르고 간결하게 보여준다.
자살한 히틀러가 가짜란 소문은 그럼 진짜는 어디에 있는가라는 질문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작가는 여기에 멩겔레가 수용소에서 어떤 끔찍한 실험을 했는지 몇 가지 예를 들면서 황당하지만 과감한 설정 하나를 집어넣는다. 그것은 뇌수술이다. 히틀러의 뇌를 다른 사람의 머릿속에 이식 수술한다는 것이다. 살아 있는 사람들을 무수히 많이 실험체로 사용한 멩겔레이기에 이런 수술도 가능하다고 말한다. 거부반응에 대한 몇 가지 기본 사항을 넣었지만 쉽게 납득하기 힘든 설정이다. 이 부분을 지나면 젊어진 히틀러가 자본주의의 심장인 미국에서 어떤 활동을 했는지 보여준다. 이 이야기들은 아주 극단적으로 진행되는데 개인적으로 전혀 현실감이 없게 다가온다.
이 소설의 재밌는 부분 중 하나는 새롭게 변신한 히틀러가 어떤 행동을 하는지 보여주는 장면들이다. 한 조용한 시골마을에서 사람들의 심리를 조정하는 것이나 미국 연방준비은행이 지닌 힘을 과장되게 표현하고, 그 힘을 얻기 위한 과정들을 보여주면서 일어나는 일들이다. 하지만 이 장면들이 사실적으로 다가오지 않고 극단적인 설정과 주관적인 진행으로 현실성을 떨어트린다. 그리고 시대를 60년대로 잡은 이유도 나오는데 음모론과도 연결되는 부분이다. 나쁘지 않은 설정들이지만 극단적인 상황으로 이어지면서 웹소설의 이미지로 내게 다가왔다. 아쉬운 대목이다. 오토 바우만의 추적을 다루지만 결국 새롭게 태어난 히틀러라면 어떤 행동과 사고를 할까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전 작품들을 한 번 읽어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