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모나 에프 그래픽 컬렉션
노엘 스티븐슨 지음, 원지인 옮김 / F(에프) / 2020년 9월
평점 :
절판


최근 재밌고 읽고 있는 f(에프)의 그래픽노블이다. 작가에 대해서는 잘 모른다. 에프에서 나왔다는 것과 멋진 악당이 되고 싶은 변신 소녀의 이야기란 부분에 끌려 읽었다. 그림체는 상당히 각이 져 있는데 주인공 니모나만 둥근 얼굴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일상을 다룬 그래픽노블들이 단순한 그림체와 배경 색을 가진 것에 비해 배경이나 여백 등이 많이 채워져 있다. 판타지를 다루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강한 액션의 생동감은 조금 떨어진다. 하지만 단순히 직선적인 구조가 아니고, 엮이고 꼬인 관계와 위트 넘치는 대사와 장면으로 끝까지 재밌게 읽게 한다.


니모나가 악당 발리스터 블랙하트를 찾아오면서 시작한다. 에이전트를 통해 조수가 되려고 왔다고 하는데 거짓말이다. 니모나는 자신의 변신 능력을 보여주면서 무시무시한 악당이 되려고 한다. 그런데 발리스터가 파괴와 살인을 엄청나게 자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악당은 뭐지? 악당이 있다면 영웅이 있다. 영웅은 발리스터의 친구였던 암브로시우스 골든로인이다. 암브로시우스는 영웅 협회의 지휘 아래 움직이는데 이것도 상당히 특이하다. 발리스터와 암브로시우스의 관계는 마상 시합에서 암브로시우스가 패한 후 분노 때문에 발리스터를 공격해 그의 오른팔을 부수면서 틀어졌다. 어떻게 보면 전형적인 악당과 영웅 관계처럼 보이는데 이야기가 진행하면서 이 전형성은 조금씩 사라진다.


이 판타지 세계는 서양 중세 시대를 떠올리지만 무기나 방송 등을 보면 아주 현대적이다. 몇몇 장면은 중세라고 해도 무리가 없다. 이 그래픽노블에서 재밌는 설정 중 하나는 협회가 악당과 영웅의 관계를 만들고, 협회가 어둠의 세력이란 점이다. 누구나 인지하는 악당 발리스터가 협회가 몰래 만드는 화학 무기를 대중에게 알리고, 자신이 퍼트린 병으로 음모를 꾸미지만 결국 치료제를 투입하는 등의 모습은 흔히 생각하는 악당이 전혀 아니다. 그는 강요된 악당이다. 니모나의 악당스러운 계획을 반대하는 인물도 역시 그다. 폭주하는 니모나를 억제하는 역할도 한다.


과학과 마법이 공존하고, 중세 설정과 현대의 과학기술이 같이 다루어진다. 니모나의 변신 능력은 물리적 법칙을 무시한다. 동물로도, 사람으로도, 공룡으로도 변신이 가능하다. 다만 생명이 없는 물체는 불가능하다. 소녀가 엄청난 힘을 발휘하는 장면은 마법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중반 이후가 되면 니모나의 정체성과 과거가 하나의 중요한 단서가 된다. 왜 그렇게 악당이 되어 나쁜 짓을 하려고 하는지도 조금은 예측이 가능하다. 이 예측이 맞다고 그 무거움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다. 특별한 능력을 탐내는 사람들이 보여주는 잔혹함은 어떻게 보면 아주 전형적이다. 언제나 비극은 바로 그 부분에서 생긴다.


니모나가 처음에 보여준 유쾌함은 뒤로 가면서 점점 무거워지고 어두워진다. 발리스터와 투닥거리고, 입장 차이가 있지만 둘은 어느 순간 좋은 악당 동료가 된다. 둘 중 하나가 위험해지면 자신의 위험을 생각하지 않고 구하려고 한다. 물론 진짜 악당은 이것을 노린다. 함정을 판다. 협회에 위협이 되는 대외적인 악당들을 처리하려고 한다. 영웅 암브로시우스가 선두에 서야 하지만 그는 발리스터의 친구다. 이 둘의 갈등과 친분은 새로운 사실과 함께 또 한 번 바뀐다. 예상하지 못한 상황과 전개 등은 뒤로 가면서도 재미를 놓치지 않는다. D.C나 마블과는 또 다른 재미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