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해몽전파사 ㅣ 소설Q
신해욱 지음 / 창비 / 2020년 2월
평점 :
시집을 잘 읽지 않는 나에게 신해욱이란 이름은 낯설다. 하지만 시인이 쓴 소설이라면 관심이 간다. 이 소설을 선택한 두 가지 이유 중 하나다. 또 다른 하나는 제목이다. 요즘은 보기 힘든 전파사란 단어가 나의 관심을 끌었다. 예전에는 무슨무슨 전파사란 상호를 단 가게가 참 많았다. 이제는 이런 가게를 찾기가 힘들다. 소설 속에 나오는 전업사란 단어는 더욱 희귀하다. 제목에서 약간 아련한 과거의 기억을 떠올려본다.
화자가 꾸거나 사거나 얻은 꿈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마흔여섯 개의 꿈 이야기는 현실 속 진행만큼이나 많은 분량을 차지한다. 이 꿈 이야기를 읽다보면 어떤 순간에는 시를 읽는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좀 더 차분하게 음미한다면 비현실적인 꿈 이야기를 다르게 볼 수도 있을 것 같다. 정신분석에서 다루는 꿈 이야기와 다른 각도에서, 전통적인 해몽과도 다른 방법으로. 아니면 꿈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방식으로 말이다. 이 꿈 이야기를 읽다가 어릴 때 꾸었던 수많은 꿈들이 잠시 머릿속을 스쳐지나갔다. 황당한 꿈부터 공포에 짓눌리거나 꿈속 주인공이 된 나의 모습 등.
화자는 우연히 해몽전파사에 간다. 고장난 드라이기를 고치려고 갔다가 꿈을 사거나 교환한다는 전단지를 본다. 그녀는 자신의 꿈을 들려주고 돈을 받는다. 이를 계기로 해몽전파사에서 열리는 갖가지 꿈 모임에 참석한다. 어느 순간에 그곳에서 일하는 사람이 된다. 자신의 꿈속 등장인물 같고, 자신이 진주씨라고 부르는 주인이 유방암에 걸리면서 한 가지 제안을 한다. 꿈을 천 개 모으면 해몽전파사를 넘겨주겠다는 말이다. 솔깃하지만 이 일을 성공하는데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모른다. 불안정한 삶을 사는 그녀에게 매력적인 제안이기도 하다.
꿈 이야기는 나에서, 진주씨로, 설아씨로, 삼월씨로 이어진다. 해몽전파사가 의도한 바가 바로 이런 꿈을 공유하는 것이다. 꿈 이야기 사이에 현실이 비현실적으로 들어와 그들의 이야기를 한다. 대표적인 것인 삼월씨의 해월전업사 이야기다. 한 장의 사진과 주소, 존재하지 않는 가게와 기묘하게 느껴지는 꿈은숲 모임 하나. ‘꿈은숲’이란 이름은 화자가 등록한 1인출판사 이름이다. 작가는 등장인물들이 삶에 깊숙이 개입하기보다 간략하게 다루면서 어느 정도 거리를 둔다. 오히려 꿈 이야기가 더 앞으로 나온다. 하지만 이 꿈 이야기를 교환하면서 이들은 점점 가까워진다.
작가는 꿈 이야기만 엮으려고 했다고 한다. 하지만 이런 시도가 성공할 가능성은 아주 낮다. 책 속에서 나쓰메 소세키의 <몽십야>을 말하고, 실제 모임에서 이 책을 읽으려고 했다고 한다. 괜히 이 책에 관심이 간다. 페데리코 펠리니의 꿈 모음집이 있다고 하는데 어떤 내용일지도 궁금하다.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는 읽으면서 사라졌지만 읽기 힘든 책은 아니다. 다만 이해하는 것은 다른 영역이다. 읽을 때보다 지금 전체적인 이미지가 더 많이 내게 말을 건낸다. 소설 속 꿈이 아니라 나의 꿈들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