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번째 사도의 편지 1 뫼비우스 서재
미셸 브누아 지음, 이혜정 옮김 / 노블마인 / 2006년 11월
평점 :
절판


요 몇 년 사이에 팩션에 관한 소설을 많이 읽었다. 지금도 몇 권 읽지 않은 소설이 집에 있으니 그 분야에 대한 나의 관심이 유별나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아마 역사를 좋아하는 나의 취향과 부합하기 때문일 것이다. 거기에 더해 추리요소까지 있으니 관심이 불어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비슷한 주제를 다룬 몇 권을 책을 읽다보니 숨겨진 사실이라는 것이 큰 충격으로 와 닿지 않는다. 특히 카톨릭과 관련된 소설의 경우 더욱 그렇다. 왜냐고? 당연히 그들이 내세우는 서구역사를 뒤바꿀 비밀이라는 것이 베스트셀러나 소설이라는 외피를 가지고 있다고 해도 결코 카톨릭이 구축한 세계가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번 소설도 카톨릭과 예수를 다루고 있다. 카톨릭에서 내세우는 가장 중요한 신성을 침해하는 비밀을 주 소재로 다루고 있다. 하나는 다른 책에서도 많이 본 신이 아닌 예언자라는 것과 결코 그가 부활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삼위일체와 부활은 카톨릭 신앙의 기반이니 사실이라면 엄청난 충격이 될 것이다. 하지만 몇 개의 문서로 과연 이것이 밝혀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생긴다. 얼마 전 해외뉴스에 나온 예수의 무덤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가볍게 일상의 단신으로 지나간 것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이 소설의 주요한 비밀 중 하나인 예수의 무덤이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나온 것은 이 책의 출간과 너무 떨어져있어 안타까움을 준다. 그 당시 뉴스와 시기가 맞았다면 좋은 홍보 효과가 되었을텐데......


소설은 팩션이 갖추어야 할 비밀과 음모와 살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밀은 인간인 예수와 13번째 사도의 존재와 예수의 부활이 아닌 시체의 존재를 다루고 있다. 유다에 대한 해석부분은 다른 소설에서 이미 보았기에 특별한 것이 없었다. 하지만 예수를 둘러싸고 펼쳐지는 제자들간의 대립과 카톨릭의 성립을 위한 기반이 어떻게 다듬어졌는지 보는 것은 약간 새로운 모습이었다. 그기에 더해 이슬람에 대한 작가의 해석은 생각하지 못한 정보였다. 마호메트가 13번째 사도의 영향 아래에서 종교적 기반을 다졌다니 놀랍지 않은가!


거대한 조직을 다룬 소설을 읽다보면 늘 부딪히는 한계가 있다. 미국 정부의 음모를 다룬 소설에서 항상 대통령은 진실을 모르고 있고, 바티칸을 다룬 소설에서 교황은 언제나 음모의 피해자내지는 추기경들에게 속고 있는 것이다. 조직은 부패할 수 있지만 결코 그 대표는 올바르고 진실을 위해 노력한다는 마지노선을 지키고 있다. 이슬람 세계에서 예언자 마호메트를 신성불가침으로 정한 것처럼 이 공식을 지키는데 볼 때마다 아쉬움을 느끼는 부분이다.


이전에 본 수많은 팩션에 대한 종합선물 같은 느낌을 받았다. 새로운 해석도 몇 가지 있지만 다른 소설에서 조금씩 다루어진 것들이라 큰 충격은 없었다. 추리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긴박함이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부분이 조금 떨어지는 점은 아쉽다. 이런 종류의 소설을 많이 보지 않은 사람에게 정보를 전하기에 좋을지 모르지만 ‘다빈치 코드’같은 스릴러나 속도감을 원하는 사람에겐 부족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