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학기 밀리언셀러 클럽 63
기리노 나쓰오 지음, 김수현 옮김 / 황금가지 / 2007년 5월
평점 :
품절


밀클 시리즈 중에 가장 얇은 책이 아닌가 생각한다. 분량은 가장 적지만 그 속에 포함된 이야기까지 얇은 것은 아니다. 시작부터 끝까지 불편한 감정을 가지게 하고, 알 수 없는 사람들의 행동과 마지막에 밝혀지는 여러 가지 사실과 추측들은 감탄을 자아내게 한다. 다른 출판사에서 나왔다면 양장에 페이지가 몇 십 페이지 더 많지 않았을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기리노의 책을 읽을 때마다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나만이 아닐 것이다. 우리가 보통 상상을 초월하는 현실이라는 말을 가끔 하는데 그녀의 책을 읽다보면 상상 그대로의 소설이나 현실보다 그 잔혹한 소설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된다. ‘아웃’이나 ‘아임 소리 마마’에서 이미 그녀가 보여준 세계의 잔혹함과 무서움과 냉혹함을 생각하면 이번 소설도 어느 정도 예상이 가능하다. 하지만 어린 소녀의 이야기에 감정의 깊이가 실리면서 그 불편함이 더 가중되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사실 기리노 나쓰오의 소설을 몇 권 읽지 않았다. 지금 내 손에 있는 책들을 아마 연속해서 읽는 것은 나에게 무리일 것이다. 놀라움과 대단함을 느끼게 하지만 일상의 틀이나 상상을 벗어난 그녀의 소설을 연속으로 볼 능력이 나에게 부족한 것이다. 지금도 가끔 그녀의 이름을 들으면 생각나는 시체 절단과 유기는 이번 소설로 인해 새로운 풍경과 상상을 주었다. 어린 소녀의 1년간의 감금과 그 감정의 흐름과 숨겨진 진실들.


평소대로라면 아마 단숨에 이 책을 읽었을 것이다. 많지 않은 분량에 좋아하는 장르 소설이기에. 하지만 단숨에 읽지 못했다. 아니 읽을 수 없었다. 심리적으로 감정적으로 나에게 다가온 것들이 왠지 나의 시선을 잠시 멈추게 만들었다. 뒤로 가면서 사건에 대한 이야기보다 사건의 이면에 숨겨진 감정과 상상들이 나에게 놀라움을 주고 책을 덮는 순간은 ‘아! 기리노 나쓰오’하는 탄식을 자아내게 하였다. 책 속의 책인 ‘잔학기’의 정체와 남편의 해석이 덧붙여져 만들어낸 그 사실의 일부가 그 앞까지 분량이 적다는 나의 생각을 단숨에 날려버렸기 때문이다.


한 어린 소녀의 감금 사건과 그 후 성장기를 다루었지만 ‘독의 꿈’이 보여주는 상상은 전혀 상상이 아닌 듯하다. 책을 모두 읽은 지금 그런 생각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 책을 읽는 중에도 너무 현실적이라고 생각했는데 아마 마지막 남편의 편지에서 그런 느낌을 더욱 강하게 받은 듯하다. 한 마디로 잘 짜여진 구성과 연출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한 소녀의 이야기에 집중하다보니 다른 이야기로 파생되어 나간 부분이 거의 없다. 이것이 분량이 적은 이유가 아닌가 생각한다. ‘아웃’에서 네 명의 여자가 등장하며 다양한 모습과 심리를 극명하게 그려내었다면 이번에 잔혹한 일을 당한 소녀의 이야기에 집중하며 그 깊이를 더했다고 해야 하나? 읽는 중에 느낀 놀라운 점 중 하나가 병원에서 돌아온 그녀를 환영하기 위해 모인 사람들의 모습이다. 그 참혹한 경험을 한 소녀를 식장에 끌고 와서 보여주는 또 다른 참혹한 풍경은 놀랍고 기괴한 모습이었다. 동정보다 구경꺼리를 위한 그 환영식이 나중에 나온 어린 소년의 질문과 마지막 장에서 본 유괴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겹쳐지면서 나를 놀라운 상상의 세계로 이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