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인트 (반양장) - 제12회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창비청소년문학 89
이희영 지음 / 창비 / 201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소년이 부모를 선택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했을 때 가장 먼저 SF소설이 떠올랐다. 국가에서 아이를 인공수정으로 태어나게 하고, 어느 정도 키운 후 부모를 선택하는 설정을 예상했다. 그런데 아니었다. 국가에서 설립한 NC센터에서 성장한 소년들은 부모에게 버림받은 아이들이다. 그렇지만 성장한 후 이 소년들이 자신의 부모가 될 사람을 인터뷰해서 선택한다. 이 선택에 문제가 있으면 다시 NC센터로 돌아올 수 있다. 흔히 알고 있는 고아원의 입양과는 시작부터 다르다. 놀라운 발상의 전환이자 가족의 의미를 다시 묻는다.

 

NC센터의 아이들은 태어난 달과 숫자 조합으로 이름이 붙는다. 이 소설의 주인공 제누 301은 1월 출생에 301번째란 의미다. 이렇게 이름이 지어진 아이들은 자신이 선택한 부모와 살 때 자신이 이름을 짓는다. 이름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전통적인 방식의 작명 방식과 다르다. 처음 부모가 키우기 원치 않았던 아이들을 받아들이면서 생긴 윤리문제는 출생률 감소라는 현실 앞에 힘을 잃고, 버려진 아이들을 돌보는 것은 국가란 인식이 늘었다. 이로 인한 이념적 충돌은 더 심해지고, 각자의 의견 대립은 팽팽해졌다. NC센터 출신이 벌인 사건으로 부정적 시각이 커졌지만 국가는 이곳 출신이란 자료를 지우면서 현실에 대처한다. 놀랍고 신선한 시각을 가진 설정을 간결하지만 밀도 있게 이야기 속에 녹여내었다.

 

소설의 제목 <페인트>는 부모 면접(parent’s interview)을 뜻하는 아이들의 은어다. 제누 301은 자신을 입양하려는 부모를 만난다. 마음에 들지 않는다. 이들이 바라는 것은 아이를 입양한 후 얻게 될 경제적 이익이 목적이다. 센터장이 제누로 하여금 페인트하게 한 것도 이런 부모의 의도를 염두에 둔 것이다. 센터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가드로 불린다. 이름은 알 수 없고 성만 알려준다. 센터장도 박이라고 부른다. 박은 센터 아이들을 아주 열정적으로 돌본다. 최라고 부리는 가디도 있다. 나중에 드러나는 사실에 의하면 이 둘은 학교 선후배 사이다. NC센터도 국가지원단체이다 보니 실적 압박에 시달린다. 하지만 박은 이 압박보다 아이들이 우선이다.

 

센터장 박이 제누에게 한 번 더 페인트를 요청한다. 그들의 요청 화면을 보면 진솔하지만 부모가 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 그런데 이 솔직함이 제누의 마음을 움직인다. 제누와 함께 사는 아키는 노부부와 페인트를 한다. 이 노부부는 국가 지원이 필요한 것도, 자식이 없는 것도 아니다. 이들에게는 자신의 노년을 함께 할 아들이 필요하다. 서로의 필요가 맞아떨어진 것이다. 반면 제누가 만난 부부는 NC센터에 대한 호기심이 더 강했다. 이 부부의 삶 속에 기억된 부모의 모습이 아이를 갖지 못하게 만들었다. 이 경험과 기억이 이 부부의 것만은 아니다. 센터장 박도 마찬가지다. 그 또한 아버지에 대한 아프고 나쁜 기억을 가지고 있다.

 

많지 않은 분량이지만 놀라운 설정과 함께 가족의 의미를 계속 묻는다. 어쩔 수 없이 태어나 가족이란 구성원으로 자란 사람들과 서로의 선택에 의해 가족을 이루는 것과의 차이를 고민하게 만든다. 센터의 아이들이 밖에서 본 다른 아이들의 모습도 자신들이 선택한 부모와의 관계보다 특별하지 않다. 가족이 꼭 혈연으로 묶일 필요도 없다. 아직 이 시대도 인식의 전환이 많이 필요하다. 마지막에 제누의 결심을 보고, 후속편이 나와 좀더 현실적인 문제를 파고들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좀더 정치적인 이야기가 나오겠지만 긍정적 변화도 보여줄 수 있을 것 같다. 이 작품의 설정과 전개를 생각하면 SF소설이 맞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