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파는 남자 - KI신서 916
페르난도 트리아스 데 베스 지음, 권상미 옮김 / 21세기북스 / 2006년 11월
평점 :
품절


한 편의 우화인 이 소설이 즐거움과 함께 우울함을 준다. 즐거움은 TC가 보여주는 사업과 그것이 불러오는 재미있는 사건들이고, 우울함은 우리가 우리의 시간을 빼앗기고 있다는 현실에 대한 자각 때문이다.


나의 시간은 나의 것이 아니다. 사회라는 조직이 만들어지고 경제라는 것이 돈이라는 형태로 이어지면서 우리는 우리의 시간을 돈이라는 무형의 괴물에게 모두 빼앗겼다. 자본주의가 발달하면 할수록 우리의 시간은 점점 사라진다. 이전에는 일을 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해가 뜨고 지면 끝이 났지만 이제는 해가 지기 전부터 일이 끝나는 그 순간까지로 이어지고 있다. 박봉에 시달리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자기개발이라는 명목으로 나머지 시간마저 영어나 다른 공부를 하게 만든다. 자신이 하고 싶은, 누리고 싶은 삶과는 상관없이 말이다.


소설에서 TC가 소변을 담는 용기에 5분이라는 시간을 담아 판매하는데 이 과정까지 시간 절약 차원에서 요약하면 삶의 대차대조표 작성을 하니 35년간 아파트 구입 대출상환금 때문에 자신이 하고자 하는 적두개미 연구를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5분의 시간을 판매한다. TV광고와 정부에서 공인한 특허 등으로 누구도 뺏을 수 없는 5분을 가진 수많은 사람이 나타난다. 일하는 도중에도 용기를 열어 자신만의 5분을 누리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자신의 시간을 누리면서 스트레스가 줄고 생산성은 오히려 올라간다. 하지만 2시간짜리 시간을 판매하면서부터 새로운 국면으로 들어간다. 뭐든지 과하면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경영학을 전공한 작가의 이력을 보고 다시 한 번 느낀 것이지만 경영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이 여기에 쉽게 설명되어있다. 266권의 분책 교육 과정을 마친 마지막 문장으로 요약된 마케팅의 이야기는 현실에 대한 풍자이기도 하다. 그리고 TC가 세운 자유주식회사의 성장과정과 국가적 변화 모습은 우리의 시간에 대한 우리의 바람이 들어있다.


우리에겐 죽을 때까지 시간이 있다. 생각보다 많은 시간을 우리는 낭비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원하는 순간 우리가 원하는 시간을 쓸 자유는 없다. 가끔 우리가 원하는 순간 원하는 시간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거의 대부분 우리는 돈과 생존을 위해 시간을 타인이나 제도에 예속시켜 놓고 있다. 자신이 원하는 순간이 아닌 허락된 시간만을 사용하도록 말이다. 하지만 만약 누군가가 소설처럼 나만이 사용할 수 있는 절대적 시간을 판매한다면 기꺼이 나의 돈을 줄 용의가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