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0호
움베르토 에코 지음, 이세욱 옮김 / 열린책들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코의 소설을 오랜만에 읽었다. <장미의 이름>을 밤새워 읽고 그의 팬이 된 후 나오면 책을 샀다. 하지만 언제부터인가 내가 생각한 에코가 아니었다. <푸코의 진자>를 읽을 때만 해도 잘 모르지만 재밌었는데 <전날의 섬>에 넘어오면서 취향을 벗어났다. <바우돌리노>는 읽었는지 잘 모르겠다. 하지만 사는 것을 멈추지는 않았다. 왜 이렇게 차이가 날까 하는 의문이 들었지만 이유를 몰랐다. 그런데 이번에 역자의 후기를 읽으면서 조금은 이해하게 되었다. 다른 소재와 다른 문체 때문이다. 사실 많은 주변 사람들이 <장미의 이름>이 힘들다고 했다. 나는 재밌었는데 말이다. 이 차이를 인정하고, 이번 소설을 읽으니 에코의 다른 모습이 보였다.

 

발행되지 않을 신문의 이름이 제0호다. 발행인의 목적은 신문을 발행하는 것이 아니라 이 신문이란 매체를 가지고 다른 세계로 진입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런 목적을 알고 있는 주필 시메이는 화자에게 큰 뒷돈을 주고 그에게 대필 작가의 일을 맡긴다. 이 신문 발행을 둘러싼 내용을 소설로 쓰고, 나중에 이것을 책으로 낼 것이란 협박으로 돈을 벌 생각이다. 화자는 이 내용을 알고 시메이와 계약한다. 그리고 발행되지 않을 신문사는 기자들을 채용한다. 발행인이 가진 의도를 충실히 이행하려는 주필은 기자들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적용할 마음이 없다. 그가 바라는 것은 평범한 기사와 무기로 이용할 수 있는 기사들이다.

 

이미 한국에서는 기레기란 이름으로 기자들의 작태들이 알려줘 있다. 가짜 뉴스가 범람하는 현실에서 우리는 살고 있다. 나 자신도 알게 모르게 이 가짜 뉴스를 듣고 전달하는 역할을 했다. 진실을 파악하려는 의도보다 나의 성향에 맞는 기사가 나오면 그냥 덥석 물고 만다. 특히 정치인들의 말이 나오면 사실 여부보다 당파성을 우선시 하는 나쁜 버릇도 있다. “사람들은 정치인들의 말을 이해하지 못해요. 정치인들은 말을 제대로 하지도 않고 열정에 차서 확실하게 말하지도 않아요. 그저 요란하게 짖어댈 뿐이죠.” 한국 현실 정치에서도 그대로 맞아떨어지는 문장이다. 언론은 이것을 더욱 부채질한다. 자신들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치를 이끌기 위해서라면 더욱 더 심하게.

 

시메이가 하나의 사건을 두고 어떻게 물타기를 하는지 잘 설명해준다. “오늘날에는 누군가에게 고발을 당하거나 기소를 받게 되었을 때 그것에 응수하기 위해서는, 그것이 옳지 않다는 것을 증명할 필요가 없어요. 그저 그 고발인이나 기소인의 정당성을 떨어뜨릴 만한 것을 찾아내면 됩니다.” 이 문장을 읽고 삼성 김용철 변호사의 폭로가 떠올랐다. 새로운 프레임을 만들어 사건이 원래 의미하는 바로 왜곡하는 것이다. 한국만 이런 것이 아니고 이탈리아도 이런 일이 자주 있는 모양이다. 뭐 가짜 뉴스가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니까. 이렇게 이 소설은 이런 언론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지적한다.

 

가짜 신문 만들기라는 이야기 속에 무솔리니를 둘러싼 음모론이 또 하나의 큰 흐름이 이룬다. 무솔리니의 죽음이 가짜고, 다시 그가 나타나 정권을 잡으려고 한다는 주장이다. 작가는 이 작업에 상당한 공을 들인다. 그리고 이 이야기의 도입부에서 생기는 의혹과 두려움은 여기서 비롯했다. 실제로 1년 동안 유지하려고 한 신문사가 두 달 만에 문을 닫게 된 것도 이 음모론을 조사하던 기자가 살해된 탓이다. 발행인은 이 사건으로 발행 중단을 결정한다. 도입부의 걱정과 공포와 두려움은 이 때문이다. 이후 과거로 돌아가 왜 이런 일이 생겼는지 알려주는 구성인데 언론이 어떤 의도를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어떤 기사가 나오는지 잘 보여준다.

 

무솔리니를 둘러싼 음모와 관련된 가설에서 놀라운 점은 이미 많은 자료들이 파편적으로 드러나 있다는 점이다. 한 인물의 역사를 조사할 때 여기저기에서 나온 이야기를 모으면 하나의 흐름을 만들 수 있다. 요즘처럼 데이터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정치인 등이 내뱉은 말들은 나중에 자신을 공격하는 말로 변하기도 한다. 무솔리니를 조사한 브라가도초도 이렇게 드러난 자료를 하나로 묶었다. 조각난 사실들은 무서울 것이 없지만 뭉쳐지면 그 이미지나 사실이 위험해진다. 그리고 이 사실이 밖으로 세상으로 알려지면 폭로자는 아무 것도 아니다. 소설은 이런 지점을 꼭꼭 집고, 이 부분에 대응하는 방법까지 말해준다. 음모론과 언론을 멋지게 엮었다. 분량보다 이야기할 거리가 훨씬 많은 소설이다. 아직 읽지 않은 에코의 소설을 찾아봐야겠다. 움베르토 에코의 명복을 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