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타워 - 엄마와 나, 때때로 아버지
릴리 프랭키 지음, 양윤옥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7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도쿄타워’라는 제목을 처음 보면서 이보다 먼저 출간된 에쿠니 가오리의 ‘도쿄타워’를 생각했다 (이것은 영화로 먼저 보았고 책은 좀 더 시간이 지난 후 읽을 예정이다). 2006년 일본 전국 서점 직원들이 ‘가장 팔고 싶은 책’으로 꼽았다는 사실과 다른 작가 이름을 보게 되면서 다른 책이라는 것과 영화나 드라마로 새롭게 진행되고 있는 소설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실 이 소설에서 기대한 것 중 하나인 웃음은 거의 못 느꼈다. 슬픔을 느낀 부분도 마지막 엄니의 죽음이 다가오는 시점부터이다. 광고에 나오는 전차나 버스 안에서 읽다가 곤란한 상태에 이른다는 말에 약간 기장하고 있었다. 책의 전체적인 부분이 아닌 끝 부분에서 그런 기분을 느꼈다.


‘엄마와 나, 때때로 아버지’라는 부제에서 알 수 있듯이 대부분 자신과 어머니 중심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그 시기도 한 시점이나 한 시기가 아닌 본인의 탄생부터 엄니의 죽음까지 상당히 긴 시간을 대상으로 한다. 성장소설로도 볼 수 있지만 자서전 같은 소설이라고 할까? 그 만큼 작가의 생애를 모두 담고 있다. 그래서 자세한 이야기나 심리묘사가 정밀하거나 세밀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사람들과의 관계 역시 그렇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얼마 전에 읽은 심윤경의 ‘나의 아름다운 정원’이 어린 동구의 몇 년을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한 소년의 성장과 아픔과 슬픔을 시대의 모습과 함께 잘 그려낸 것을 떠올렸다. 여기서는 시대나 자신의 성장보다 어머니의 죽음을 부각하기 위한 긴 작업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자신의 일생에서 엄니가 어떤 존재였는지? 그가 삶을 어떻게 살아왔는지? 그 주변 인물들과 어머니의 관계마저도 엄니의 죽음이라는 현실 앞에 이르러서야 그 빛을 발하는 것이다. 여기부터는 공공장소에서 책을 읽지 말라고 권하고 싶다.


엄니의 죽음 이전까지는 사실 한국소설에서 많이 읽었던 부분과 겹치기도 한다. 나만의 착각인지도 모르지만 생각보다 책 읽기 속도가 빠르지 않았고 누군가의 자서전을 읽는 기분이기도 하였다. 약간 지루한 부분도 있었다. 요 근래 읽은 일본 소설과 많은 차이를 보여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약간 읽기가 즐거운 것만은 아닌 성장기 부분과 빈곤한 20대를 보낸 후 맞이하는 엄니와의 동거와 죽음은 사실 이 소설의 백미이자 눈물샘을 자극하고 자신을 돌아보게 하는 부분이다. 여기까지 오면 책의 재미와 현실이 동시에 머릿속에 맴돌게 된다.


엄니의 죽음과 관련하여 일어나는 몇 가지 에피소드는 일본만의 것이 아님을 알지만 많은 슬픔과 울분을 자아낸다. 하지만 엄니의 말들이 그를 지탱하고 나아가게 하는 것을 보면 나이가 든다는 것과 어른이 된다는 것은 역시 분명히 다르다는 말을 되새기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