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각자의 말로 사랑을 했다
조성일 지음, 박지영 그림 / 팩토리나인 / 201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별에 대한 이야기다. 가볍게 읽을 수 있을 것이란 기대는 몇몇 이야기를 읽자마자 사라졌다. 지나간 시간에 대한 그리움이나 아름다움 대신 안타까움과 자책 등이 곳곳에서 묻어난다. 누구나 헤어진 후에는 그 사랑의 시간들을 돌아보고, 상황에 따라 그 감정들을 추스르게 된다. 그 사랑이 아름다웠고, 강렬했을수록 그 감정은, 여운은 오랫동안 지속된다. 사실 이 글들을 읽으면서 한 여자에 대한 사랑 후 이별만 다룬 것이란 느낌을 받지 못했다. 그가 풀어내는 감정들이나 이별의 말들이 바뀌기도 했기 때문이다. 먼저 이별의 말을 들은 적도 있고, 그가 먼저 내뱉은 말도 있다. 만약 이것이 남녀의 감정을 다루기 위한 하나의 장치라면 조금 불친절한 편집이다.

 

사랑한 사람과 이별하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다. 바로 새로운 사랑을 쉽게 찾아가는 사람도 있겠지만 대부분은 한동안 그 아픔을 가슴 속에 품고 산다. 함께 걸었던 길을 홀로 걷다가 울컥하기도 하고, 함께 들은 음악이 나오면 자신도 모르게 그 당시의 기억이 떠오른다. 이런 감정들은 어쩔 수 없는 자연적인 반응이다. 시간이 해결해 줄 문제다. 하지만 시간은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흐르지 않는다. 이 때문에 그 이별을 더 힘들어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런 사람들에게 이런 종류의 글들은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게 만든다. 이런 아픈 시간을 지난 후 돌아보면 한때의 추억이지만 그때는 그 무엇보다 가슴이 아프다.

 

내가 지나온 시간이라고 남들도 같이 지나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몇몇 글들은 나의 감정과 이성에 반발을 불러온다. “마음에도 없는 말이 마음보다 먼저 나갔다.”라고 했을 때 ‘과연?’이란 의문을 달게 된다. 자신의 무의식 속에 이런 감정들이 있었던 것은 아닌지 감정 깊숙한 곳을 들여다봐야 한다. 말실수의 대부분은 이런 무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다. 아주 현실적인 말도 나온다. “우리는 서로 정말 좋아했지만 결정적으로 맞지 않았다.” (중략) “결국 내 삶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나의 행복인데, 너와 함께라면 그 한계가 빤히 보이기 때문이다.” 단어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정말 좋아했지만’이란 표현에는 ‘사랑’이란 단어가 없다. 그 정도의 관계였다는 의미일까?

 

우리가 흔히 하는 실수 중 하나가 자신의 마음을 잘 안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때론 다른 이의 생각보다 읽기 어려운 것이 내 마음이라는 것을 이제는 알겠다.”라는 문장은 이것을 잘 보여준다. 잘못된 예측이라고 하지만 자신의 마음을 잘못 읽은 것이다. 함께하는 시간만큼 혼자 있는 시간도 소중하다. 우린 가끔 이 단순한 사실을 잊는다. 지나간 후에 알게 되는 수많은 사실들 속에 쉽게 놓치는 일상의 한 모습이다. 작가는 두 번째 에세이 속에 이별 후 이야기를 잔뜩 풀어놓았다. 그 속에서 자신의 경험을 발견하는 독자들이 많을 것이다. 공감할 수 없는 부분도 역시. 이런 글들 속에서 결국 찾게 되는 것은 사랑이다. 지나간 사랑을 그리워하거나 다시는 사랑하지 않겠다는 마음을 먹거나 상관없다. 제목처럼 남녀는 자신의 말로 사랑을 말하고, 그 속에서 오해를 키우고, 현실의 높은 벽들이 둘을 갈라놓는다. 지나간 사랑은 그 사랑의 깊이만큼 추억도 달라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