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 시선 K-포엣 시리즈 6
김현 지음, 전승희 옮김 / 도서출판 아시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어떤 카페에서 가장 많이 보게 된 시인 중 한 명이 김현이다. 한 권의 시집도 읽은 적이 없지만 왠지 낯익은 느낌이다. 당연히 이런 착각은 실제 경험과 만났을 때 다양한 반응으로 나타난다. 최소한 이번 시집의 경우에는 반갑고 즐겁기보다 어떻게 해석해야 될지 어려움이 먼저 다가왔다. 2015~6년 사이에 쓴 시 중에서 20편을 골랐고, 애초에 ‘목소리의 미래’라는 큰 그림 속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또 자신은 이 시집의 제목을 ‘슬픔의 미래’라고 이름 붙였다. 먼저 이 정보를 알고 읽었다면 조금 더 많이 이해할 수 있었을까? 뭐 자신은 없다.

 

“각주 대신 음향과 이미지를 동기화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고 했을 때 솔직히 이해가 되지 않았다. 시집을 읽으면서 각주처럼 달린 글들을 읽었지만 음향도 이미지도 제대로 떠올리지 못했다. 나의 빈약한 상상력이 시인의 언어를 제대로 받아들이지 못한 것이다. 아마 시에 좀 더 집중하지 못했고, 피상적으로 가지고 있던 시인의 이미지가 조금씩 발걸음을 무겁게 한 모양이다. 계속해서 등장하는 돌의 존재도 인식하지 못한 것을 보면 내가 그린 이미지 속에 돌들은 없었던 모양이다. 있었다고 해도 비중이 적었을 것이다.

 

시에 갑자기 아쿠타가와 선생님이 나올 때는 뭐지? 하는 느낌이었다. 해석을 읽고 겨우 시간을 이해하게 되었다. 이 글을 쓰면서 대충 시집을 넘겨보다 보니 이번에는 수많은 돌들이 눈에 들어온다. 이때까지 시집을 어떻게 읽은 것일까? 뒤로 가면 하라 세츠코란 실명이 또 한 번 나온다. 이런 인용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사실 이 시집을 읽으면서 이해보다는 의문이 더 많았다. 간결하고 함축적인 시어들은 그냥 놓고 보면 쉬운데 같이 묶어 놓으니 또 다른 의미를 가진다. 시의 매력이지만 그 이미지를 그리는데는 실패했다.

 

개인적으로 안지영의 평에 공감한다. “김현은 우리의 삶이 단일하게 해석될 수 없으며 아무리 해석하려고 해도 손아귀를 빠져 나가는 해석 불가능의 대상이라는 것을 일러준다.” 이 문장은 김현의 시를 읽은 지금 나에게 해당되는 말이다. 아마 조금 더 이해하기 위해서는 시를 몇 번이고 읽고 읽고 읽는 과정이 동반되어야 가능하지 않을까. 언제 시간이 되면 이 시집의 몇 편은 소리 내어 읽어봐야겠다. 가끔 이렇게 소리를 통해 시에 다가가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공부를 더 해야 하는 작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