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간의 기적
아사쿠라 다쿠야 지음, 김난주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06년 3월
평점 :
절판


제1회 ‘이 미스터리가 대단하다’대상 수상작이다. 하지만 책을 읽으면서 느낀 점은 다른 사람들이 느낀 것처럼 미스터리가 어디에 있나? 하는 것이다. 4일간 벌어지는 사건이 이 소설의 미스터리라면 너무나도 쉽게 출판사에서 노출한 것이 아닌가?


처음 서번트 증후군을 앓고 있는 소녀의 피아노 연주에서 시작하여, 주인공 기사라기가 오스트리아에서 소녀와의 만남과 피아니스트로서 손가락을 잃은 절망을 이야기하면서 두 사람에 대한 정보를 보여준다. 소녀의 연주 여행 중 두 사람이 뇌 과학 연구센터로 오면서 새로운 인물과 사건을 기대하게 한다. 이 센터는 자치적으로 자율적으로 집단공동체를 이루면서 운영되는 곳이다. 그들을 초대한 마리코라는 영양사가 센터에 대해 설명하고, 센터의 한명이 소녀 치오리에 대한 호기심을 보여 과거로 인한 미스터리를 기대하게 된다. 하지만 책 소개 글에 나온 것처럼 4일간의 기적이 벌어지면서 미스터리보다는 인생에 대한 이야기로 변한다.


소설을 읽다보면 영화로도 만들어진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비밀’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엄마와 딸의 영혼이 바뀌어 생기는 일들과 마지막 반전이 생각나는 것이다. 이 소설 속의 4일간의 기적이란 것이 타인의 영혼에 들어가면서 생기는 사건이다. 미스터리를 굳이 찾자면 못 찾을 것도 없지만 강하게 부각되는 것은 없다. 인생 그 자체가 미스터리라면 더 좋을까나?

서번트 증후군과 관련된 미스터리라면 슈도 우리오의 ‘뇌남’이 떠오른데 이 소설을 더 추천하고 싶다. 뭐 이 소설도 첫 장면의 강렬함이 중반으로 가면서 약간은 약해지는 느낌이 있지만.

그리고 ‘4일간의 기적’ 또한 영화로 만들어졌다. 언제 시간나면 볼 예정이다.


이 소설은 다른 일본 소설처럼 쉽게 읽힌다. 그리고 사람의 감성에 호소하는 장면이 나와 눈물샘을 자극한다. 무난한 진행과 뇌에 관련된 지식이 판타지 같은 사건과 결부하면서 상실과 자신과의 대면을 보여주는 장면은 분명 재미가 있다. 허나 너무 간결하여 오히려 그 의미가 희석되어진 느낌이다.

마지막 마무리도 역시 희망과 너무 결합하여 보는 동안 즐거움과 기쁨을 주지만 완성도라는 면을 생각한다면 무리가 있지 않았나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