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얼 컬처의 모든 것 - 생각을 지배하는 눈의 진실과 환상
니콜라스 미르조에프 지음, 임산 옮김 / 홍시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70년대와 90년대 초까지 유럽인 학자들의 허영심을 자극한 구조주의나 포스트모더니즘에 따르면 언어란 도구이다. 그러나 불행한 것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쓰이는 도구인 언어 또는 기호(이책이 대상으로 하는 시각적 기호)는 도구와 같을 수가 없다. 어디까지나 메시지에 대해 기호는 임의적 (소쉬르의 말에 따르면) 또는 우연적이다. 그러므로 기호와 메시지의 관계는 (이책의 용어에 따르면) 유사성의 원칙이 아니라 표상의 원칙을 따른다.

문제는 그림이나 사진과 같이 기호가 전달하려는 내용과 유사하다고 생각되는 시각기호의 문제이다. 이책의 논리적 전제는 시각기호도 기호이기 때문에 메시지와 기호는 유사성의 원칙이 아니라 표상의 원칙을 따른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쟁은 원근법이 태어날 때부터 전개된 것이다. 그러나 시각문화의 외연이 미술이 사진을 거쳐 영화, 그리고 가상현실로 확대되면서 시각기호 역시 다른 기호들과 마찬가지로 유사성이 아니라 표상의 원칙에 따른다는 것이 분명해졌다. 가상현실과 같은 경우 어떤 원본과도 유사한 것이 아니다. 기호 자체가 현실을 표상하고 있는 그 자체가 현실이다.

이상이 저자가 주장하는 내용의 근간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별스럽지도 않은 퓨평범한 주장을 하기 위해 저자가 쓰고 있는 텍스트는 지독하게 현학적이다. 유럽인 학자들의 대부분을 생각할 때면 인간적으로 가까이 하고 싶지 않다. 글을 보면 그 인격을 알 수 있다. 그런데 그들의 글은 독자가 무엇을 알도록 돕는 것이 아니라 나는 이런 정도로 많은 것을 알고 있다고 자랑하기 위한 수단이다. 왜 글을 쓰는지 아주 궁금해진다. 이책에는 수많은 현학적인 학자들의 글을 인용하면서 나는 이정도로 많이 읽었다고 자랑하고 싶은 심리 밖에 보이지 않는다. 무슨말을 하고 싶은 것인지 파악하려면 엄청난 머리싸움을 해야한다. 그러나 그러고 나서도 건지는 내용은 극히 적다. 시간낭비다.

이책은 영상문화학에 관한 대학원 과정 교과서로 쓰여진 책이다. 그러나 내용은 전혀 무엇을 가르치려는 것이 아니다.

대학원 시절 많은 논문을 보아야 했다. 그러나 코스의 텍스트로 채택된 것이 아니고 개인적으로 선택하는 경우 가급적 유럽인 학자가 쓴 것은 내용이 어떻든 배재했다.

왜냐하면 유럽인이 쓴 글은 도대체가 알아먹을 수가 없게 쓰였기 때문이다. 왜냐하면 현학적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