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 상실, 사랑 그리고 숨어 있는 삶의 질서에 관한 이야기
룰루 밀러 지음, 정지인 옮김 / 곰출판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숨어 있는 보잘 것 없는 것들

(28p)

일기인가

기록인가

평전인가

에세이인가

논픽션인가

하물며, 소설인가


경계를 넘나드는 '듯' 보이는 이유는 무엇인가


아하.

경계를 넘나든다는 말 자체를 거부하는 책이구나


경계,를 '포기'하는 책이구나


그 따위 것은 기쁘게 포기하는 책이구나

'어류'를 통해


그렇다면 제목이 맞는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물고기는 존재하되

어류가 존재하지 않는 것 아닌가


지구, 아니, 우주 모든 존재를 귀히 여기자는 메시지가 아닌가

'민들레 법칙'이란 걸 들어서.


민들레 역시,

밟고 지나다녀도 아깝지 않을 시시한 풀꽃이 아니라 

귀한 존재성을 가진, 

그도 꽃이란 이야기가 아닌가


그러니까 민들레는, 존재한다는 이야기가 아닌가


이책을 읽고 더 단단하게 든 생각은 역설적이게도

물고기는 존재한다, 이다


그리고 그 생각을 더 단단하게 해 준 저자에게 감사한다

다시 한 번, 역설적으로


책의 전반을 관통하는 서사법, 수사법이 참으로 매력적이다


허구는 아니지만 이 책이 소설로 읽히는 이유는

챕터마다 저자가 발군의 솜씨로 발휘한 '궁금증 유발' 끝맺기다.


이책을 '페이지터너'라고 명명하는 사람들은 스스로 눈치채지 못할 수도 있다

뒷이야기가 궁금한 이유가 

사실은 거창하게 커튼을 벗길 만한 이야기가 아닐 수 있지만

(거창하게 커튼 벗길 만한 이야기가 맞기도 하다)

바로 뒤에 걸작이 걸려있다고 적시에 귀띔하는 

저자의 탁월한 글쓰기에 있음을.


이 책의 매력을 앞다투어 손꼽는 사람들은 많다.


그 중 절대다수가 품은 메시지와 말하는 형식,이다.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란 가설 내지, 전제 내지, 결론 하에

시간의 흐름대로인 듯, 혹은 의식의 흐름대로인 듯

픽션인듯, 논픽션인 듯 풀어가는 형식.


개인적인 느낌으로는

그 모든 것을 품은 '글솜씨'이다.


룰루 밀러는 픽션과 논픽션의 경계를 넘나든다기 보다는

그런 경계가 필요없다.


이쪽과 저쪽을 긋는 경계선이 이 사람에겐 의미가 없다.

원래는 논픽션 통이다. 저널리스트니까.

하지만 그에게 픽션을 쓰라고 자리를 깔아주면 

기가 막힌 작품이 나올 것으로 믿어 의심치 않는다.


이대로만 쓰면 될테니까.


경계가 필요없는 사람이 경계가 필요하지 않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이

참기 힘들 정도로 매력적이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그 자신이 민들레인 것인데...

자칫, 자기합리화를 위해 이토록 매력적인 이야기를 했느냐는

빈축을 살 지도 모르겠다.


그런 빈축을 제기할 사람들에게 묻고 싶다

민들레가 민들레의 귀함을 논하지 않으면 누가 해 줄 거냐고.

이 세상이 그리 짝짝꿍이 잘 맞드냐고.


이 책에서 더없이 소설적이라 추앙하고 싶은 문장.

내가 쓰는 소설에서 결국은 못 쓰고 말겠지만,

어찌어찌 쓸 수 있었다면 영예가 되었을 문장.


인간은 "하늘을 바라보며" 직립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우월성을 드러내지만, 물고기는 "물속에서 엎드려"있다.


(44p)



아, 저자에게 이 말은 꼭 하고 싶다.


숨어 있는 보잘것없는 것들을 눈여겨봐 주어서 고맙다고.

어쩌면 뒤로 물러나져 있는 보잘것없는 것들,일테지만.


(번역은 또, 왜 이렇게 잘한 건지. 얼핏, 봉준호의 샤론최가 떠올랐다.)


*이책 읽다가 떠오른 무작위의 책들



우리는 더 이상 동질성의 세계에 살지 않는다. 동질 사회는 지난 20~30년 동안 천천히 사라졌다. 더딘 발전이었고, 또한 모든 영역에서였다.
동질 세계는 모든 물질적 영역에서 사라졌다. 물론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거대한 변화가 있었다. 물론 열차 시간표는 여전히 존재한다. 그렇지만 다른 시간표를 보자. 「차이트 임 빌트」(Zeit im Bild, 오스트리아공영 방송의 저녁 뉴스 프로그램으로 1955년부터 방영되었다.)나 「타게스샤우」(Tagesschau, 독일에서 가장 오래 방영된 공영 방송의 뉴스 프로그램)를 보기 위해 전 민족이 오후 7시 30분이나 8시에 텔레비전 앞으로 모여 앉는다고 상상해 보라. 그랬던 적이 없는 젊은 사람들에게만 이상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경험했고 그렇게 자란 사람들에게도 이런 일은 더 이상 상상할 수 없게 되었다. 다시 보기 서비스, 케이블 방송, 유튜브 사이에서 우리 사회는 더 이상 하나의 시간표로 규정되지 않는다.


-<나와 타자들> 중에서


혼돈이 그 사람을 집어삼킬 것이다 - P15

인간이 살아가는 방법은 매번 숨 쉴 떄마다 자신의 무의미성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거기서 자기만의 의미를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말이다. - P125

혼돈은 ‘그런 일이 일어난다면‘이라는 가정의 문제가 아니라, ‘언제 일어나는가‘하는 시기의 문제다. - P15

자기가 하는 일이 효과가 있을 거라는 확신이 전혀 없을 때에도 자신을 던지며 계속 나아가는 것은, 바보의 표지가 아니라 승리자의 표지가 아닐까 생각했다. - P19

이미 지도가 존재하는 땅들의 지도를 만든다고 시간을 허비하는 일은 그들에게는 경거망동이자 하루의 쓸모에 대한 모욕으로 보였을 것이다. - P25

미적 관심과 구별되는 과학적 관심을 보여주는 특별한 증거는 숨어 있는 보잘것 없는 것들에게 마음을 쓰는 일이다. 숨어 있는 보잘것 없는 것들. - P28

사람들이 이렇게 자신의 무력함을 느낄 때는 강박적인 수집이 기분을 끌어올리는 데 도움이 된다 - P31

아가시는 자연 속에 신의 계획이 숨겨져 있다고, 신의 피조물들을 모아 위계에 따라 잘 배열하면 거기서 도덕적 가르침이 나오리라고 믿었다 - P44

인간은 "하늘을 바라보며" 직립하는 방식으로 자신들의 우월성을 드러내지만, 물고기는 "물속에서 엎드려"있다. - P44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