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학 강의 소소담담의 수필비평/이론 12
신재기 지음 / 소소담담 / 2022년 4월
평점 :
품절


수필은 문학의 테두리를 넘어 비문학 영역에도 걸쳐 있다. 이를 인정해야 한다. 이 비문학적 요소가 수필의 자존심을 떨어뜨리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수필을 순수문학의 울타리 안에 제한하려는 것은 오류이며 일종의 미신이다.


그렇고말고.


수필도 문학이다.


[수필이 문학의 테두리를 넘어 비문학 영역에 걸쳐 있다]고, 수필가 자신이 말하고 있으나

수필은 문학이다. 엄연히.


피천득, 손광성의 수필을 보라.


'문학'의 테두리를 넘어...가 아니라 문학의 테두리 안에 단단히 서 있다.


수필과 소설의 차이는, '허구성'에 있다.


소설에 있는 게 수필에 다 있다.


서사.

수필에도 서사가 있다.


인물.

당연히, 수필에도 인물이 있다.


배경,

두말하면 잔 소리다.


사건

두말하면 입 아프다.


수필과 소설이 다른 점은 딱 하나.


허구성이다.


소설은 허구요,

수필은 비허구다.


그러나 나는 이조차 겹친다고 본다.

담도만 좀 다를 뿐.


수필을 쓰는 이가 수필을 쓸 때, 

'경험'을 쓴다. 

그 경험은 순도 100프로의 '비허구'인가?


70대 노인이 열 살 적 경험에 관해 쓰면

그건 100프로 비허구가 될 수 있을까?


하다못해 바로 어제 일을 쓰다고 해도, 

글 속에서 펼쳐지는 그 경험은 순도 100프로의 비허구가 될 수 있을까?


어쩌지 못하게,

수필도 '재현(representation)'이 개입된다는 소리다.


도끼로 자르듯, '허구'라고는 할 수 없다.

그 경험을 한 것은 '사실'이니까.


그러나 수필가의 기억에서 빠져나와 글로 풀어 헤쳐지는 수필의 '사실'은

순도 100프로의 '비허구'는 아니다.


그래서, 수필과 소설의 '차이'는 단언키 힘들다. 


없는 사실을 있었다고 치고 말하는 게 소설이고

있는 사실을 이렇게 기억한다(혹은 보았다)고 말하는 게 수필일 지도 모른다면


굉장히 달라 보이지만


소설에서 말하는 '없는' 사실이란 게 사실은,

'나'가 보지 못하는 어디선가는 또 일어났고, 일어나고,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서...


지금도 멕시코 만류 어디에선가

쪽배 하나에 의지해 

상어와 사투를 벌이기 위해 

또 다른 산티아고가 

그 쪽배를 밀고 바다로 나가는 중인지도 모르니까.


노인과 바다


수필은 문학이다.

소설과 같으면서 또 다른.


그 자체로.


최근, 읽으면서 눈물을 흘렸던 '문학'은 바로, 수필이었다.

손광성의 '누나의 붓꽃'.


수필이다.


하늘잠자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