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의 언어 - 나무가 들려주는 세상 이야기
귀도 미나 디 소스피로 지음 / 설렘(SEOLREM) / 2018년 6월
평점 :
절판


우선, 이 책의 '좋음'에 관해 이야기하자.

한 마디로 말해, 그 좋음이 끝이 없다.


그래서 어디서부터 이야기해야 좋을 지 모를 지경이다.


첫문장부터 숨이 턱.


저 달이 2만4천7백40번이나 떠오르기 전의 오랜 옛날, 나는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던 그때를 모두 기억하고 있다.



이 세상에 유일하다 싶은 첫문장까지는 아니다.

환상소설이나 SF 소설에서 마주칠 수 있음직한 문장일 수도 있다.


우리가 상상하기도 벅찬 그 옛날의 일을 모두 기억하는 어떤 존재.


완전히 새롭지 않을 수는 있으나 이런 문장은 늘 그렇듯, 기대감이 인다.


얼마 동안 가슴 두근거리며 땅속에서 기다리다가 부드러운 대지를 헤집고

흙덩이 속에서 새싹으로 고개를 내밀었을 때, 그 순간 엄마가 내게 건넨

첫 인사의 감격을 나는 아직도 잊지 못한다. 


아, 화자(話者)는 나무로구나.

화자인 나무는 무려 2천년을 산 '숲의 여왕'격인 주목이다.

사시사철 낙엽도 떨구지 않는 꼿꼿하고 우람한 주목.


주목의 탄생을 둘러싸고 수많은 자연의 '비밀'이 벗겨진다.


나는 나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썩은 낙엽 틈에서 

싹을 틔워야 할 운명이었다.

주변의 모든 것들은 대자연이 조화로운 솜씨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재료로서 제각기 한몫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이다.


어쩌면 '탄생'이라는 신비로운 과정을 거치는 사이에 그렇게 아득해진 것인지도 모르겠다.


하늘은 나를 위로 쑤욱 쓸어당기듯 했고, 내 연약한 줄기는 

있는 힘을 다해 하늘을 향해 뻗어 올라가고 있었다. 

동시에 아래쪽에서도 나를 강하게 당기는 힘이 느껴졌다.


이게 단순한 나무의 탄생 절차라고 보이는가.


여기에 '우리'를 대입해 보자.


우리는 우리를 위해 자신을 희생하며 썩어간 어떤 존재 틈에서 

싹을 띄워야 할 운명이었다

우리 인간의 탄생, 거기에 관여된 축복과 희생을 말하고 있음이다.


주변의 모든 것들은 대자연이 조화로운 솜씨를 발휘하는 데

필요한 재료로서 제각기 한몫을 담당하고 있었던 것이다.

우리 인간의 탄생, 거기에 관여된 

타인 저마다의 기여와 의의를 말하고 있음이다.


하늘은 나를 위로 쑤욱 쓸어당기듯 했고, 내 연약한 줄기는 

있는 힘을 다해 하늘을 향해 뻗어 올라가고 있었다. 

동시에 아래쪽에서도 나를 강하게 당기는 힘이 느껴졌다.

우리 인간의 탄생, 이후로 이어질 어떤 삶의 

행운과 불행의 중첩을 말하고 있음이다.


서두가 이 정도다.


그 뒤는? 더 말하지 않으련다. 

이 정도에 준하는, 아니 그 이상의 '철학'과 '깨달음'이 즐비하다.

소설에 밑줄을 이렇게 많이 긋게 되면, 좋은 소설이란 뜻이다.

적어도 내게는.


끝까지 읽으면 이런 걸 얻는다.

2천 년 고목이 보고 듣고 느낀 것이,

그 고목의 뿌리와 몸통과 잎사귀에 배어든 생의 입자가,

살아있는 세포가 되어 내 몸속으로 유입되는 느낌.


책 갈피에 대고 크게 숨을 한번 들이마시고 싶은 느낌.


그 느낌을 주체 못하고 작가를 찾아 연락을 했고,

몇 마디를 나눌 수 있었다.


"Could you explain the importance of choosing to tell the story from a tree's perspective, as opposed to a person's perspective?"

(사람이 아니라 나무를 화자로 선택한 이유는?)


그의 답은 짧았지만 내가 'insight'를 얻기엔 충분했다.

(아쉽게도, 자세한 통신내용은 '통신' 권리문제로 공적 플랫폼에 공개는 어렵다)


우화의 형식을 띠면서 시처럼, 선택한 단어들이 '시어'같다.

시처럼 읽힐 정도다.

번역서가 아니라 한글 원문인 듯 자연스럽다.

번역자에 고마움을 느낀다.


박선옥.

작품을 더 찾아보려 하니 알라딘의 검색 데이터 오류인듯.

'이빈'이란 이름으로 연결돼서 찾을 수가 없다.

다르게 접근해 보고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을 번역한 이라는 걸 알았다.

그런데 더 이상의 작품은 없다.

이 소설로만 봤을 뿐이고 아직 원문을 보지는 못했지만 '결과번역문'만 보았을 때,

매끄럽고 유려하다. 


이 책은 2010년에 초판 번역이 출간되었고

그 개정판이 2018년도에 나오면서 제목이 아예 바뀌었다.


나무의 언어


지금 나는 '나무의 언어'에 리뷰를 쓰고 있다.

내가 읽은 판본은 '나무회상록'이지만.


여기에 리뷰를 쓰는 이유가 있다.


'나무의 언어'를 출간한 설렘출판사와 송여율 번역자에게 꼭 묻고 싶은 게 있다.

개인적으로 접촉도 할 생각이다.


나는 '눈과 마음' 출판사에서 2010년도에 출간된 '나무회상록'을 

대단히 인상깊게 읽은 독자로서

'나무의 언어'로 다시 읽히려 개정판으로 나왔다는 사실에 

기쁘기 한량없다.


그런데....내 힘으로는 풀지 못한 수수께끼를 발견했다.


위에도 썼지만 '나무 회상록'은 원문비교는 아직 못해봤으나

결과번역문이 대단히 좋다. 


그래서 다른 번역자(송여울)로 개정판이 나왔다는 것을 알고 

주저없이 장바구니에 책을 담았다. 

이 좋은 책을 또다른 번역본으로 읽을 수 있다니!!


그래서 말이다.


알라딘의 '미리보기' 기능으로 개정판의 번역을 부랴부랴 찾아 읽었다.

출판사 이름(설렘), 그 자체를 느끼면서 말이다.


그런데....이게 대체 어찌된 일인가????


번역자는 박선옥(나무회상록), 송여울(나무의 언어)로 분명 이름이 다른데

왜 번역이 글자 한 자 안 틀리고 같은....가?



(나무 회상록/박선옥 역/눈과마음 출판사/2010)



그 뒤 몇 장도 마찬가지다.

토씨 하나 안 틀리고 똑.같.다.


좋은 소설은 다른 번역본으로 읽어볼 필요가 있다.

번역이란 번역자 개개인에 따라 '다른' 이야기를 전하기 때문이다. 

당연하다. 사람이 달라지니까. 

그 사람이 원문을 이해하는 데도 그만의 '그다움'이 개입되는 것이니까.

그 다른 이야기를 다르게 따라가는 동안

독자는 원저자의 이야기에 오히려 가장 가깝게 다가들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개정판이 반가웠는데...그만, 개정판이 초판과 똑같다.

번역자가 같다면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번역자가 같은 경우라도 10여 년 전 번역서라면,

오역이나 조금 미진했던 부분을 개역하는 경우도 많다.


10년이라면 번역자의 '실력'과 '혜안'의 수준과 폭도 달라질만하기 때문이다.


박선옥

송여울


두 사람은 같은 사람인가.


몇 페이지가 토씨 하나 안 틀리고 같을 수는 없다.

아니, 번역자가 다르다면 한 문장도 같을 수가 없다.

토씨라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저 한 쪽만 같은 게 아니라 미리보기에 제공된 20여 페이지가 동일함을

확인하고 더 이상의 비교는 접었다.


다른 번역자의 번역인데 토씨 하나 안 틀리고 같은 번역일 경우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자.


1. 박선옥/송여울이 둘 중 하나는 가명 혹은 필명으로 같은 사람이다.

2. 이전 번역자인 '박선옥'의 허락을 받아 번역을 그대로 썼다--->그러나 이 경우는 이전 번역자 이름을 그대로 내야 한다.

3. 이전 번역자의 번역을 그대로 쓰되 이름을 바꿔도 된다는 동의마저 얻었다--->그러나 이런 동의를 해 준다고? 동의를 해 주었다고 해도 이름을 바꾸는 건 안 된다. 그건 원번역자가 아니라 독자에게 얻어야 할 동의이기 때문이다. 사실과 다르기 때문이다.


갸우뚱하던 고개가 갈수록 무거워져 몸이 넘어갈 지경이다.


이전 번역본과 토씨 하나 안 틀리고 똑같은 번역본인데

출판사, 책 제목, 번역자 이름은 다른 이 책.


누가, 좀 이 궁금증을 해소해 주면 좋으련만.


내게 개정판 소식을 알려준 

뀌도 미나 디 쏘스피로 작가는 알고 있으려나.


*별 다섯개를 아낌없이 주어야 할 책에 일단 별 1개다.

출판사 눈에는 별 다섯개보다 별 하나가 더 눈에 뜨일 수 있고

그러면 내게(나아가 독자들에게) 답을 줄 지 모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