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대 소설의 이해
우한용 외편 / 새문사 / 1999년 9월
평점 :
책을 많이 읽어라.
이런 충고를 하는 사람들이 열거하는 그 이유는 많다.
그런데 정작 중요한 건 말을 안 했는지 모르겠다.
혼자만 알고 있으려고.
그러다 정말 사람들이 책을 많이 읽으면, 너무 많이 읽게 되면
뒷감당이 안 될까봐.
책을 많이 읽으면 좋은 이유로 정작 중요한 이유 하나를 건졌다.
이 책에서.
책을 많이 읽으면,
감동 같은 걸 기대 안 한 책에서 더 큰 감동을 챙길 수 있다.
책을 많이 읽으면 내가 평소 안 읽는 책까지 읽게 된다.
혹은 자주 찾아 읽지만 '감동' 같은 건 눈곱만큼도 기대않았던 책까지 읽게 된다.
말하자면 '소설 이론서'같은 것.
(책을 많이 읽지 않으면서 손에 펴들게 되는 책은 아니지 않나? 흠흠)
이 책은 소설 이론서다.
아주아주아주 건조하고, 건조했고, 건조할 것이다.
그런데 앞으로는, 몇 쪽 읽다가 읽기를 유예하기 십상인,
혹은 과제든 뭐든 어쩔 수 없는 읽음을 담보하는
이런 이론서를 읽더라도,
각오하자.
뜻밖의 '감동' 복병을 만날 수도 있다.
우리들이 알고 있는 우리 자신에 관한 이야기 가운데는
우리보다 나이를 더 먹은 이야기도 있는 법이다.
이처럼 이야기가 나의 존재보다 앞서는 판에 남의 이야기만 읽는 것으로
만족할 수 있다면 그것은 어쩌면 자기속임일 지도 모른다.
결국 이야기를 읽는 재미도 재미이지만
우리 자신이 이야기를 만들어 가는 존재라는
점을 분명히 인식하는 것이 소설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에 지름길이라고 생각된다.
(14p)
어떤가.
굳이 소설작법서나 소설 이론서를 구태여 볼 것까지는 없는 당신이라도
코끝이 아주 조금은, 아주 조금은 찡~~해 오지 않는가 말이다.
자꾸 곱씹게 되는 이 문장.
우리들이 알고 있는 우리 자신에 관한 이야기 가운데는
우리보다 나이를 더 먹은 이야기도 있는 법이다.
내가 알고 있는 나에 관한 이야기 가운데
나보다 나이를 더 먹은 이야기라...
그렇다.
내가 알고 있는 나는 내가 기억하는 나이리라.
내 안에는 내가 기억하지 못하는 나가 있고
그 나까지 감안하면 나는 필경,
나보다 나이를 더 먹은 이야기를 품었으리라.
문장에 빠져 허우적대다 정신 차려보니
소설 이론서다.
소설로 돌아가자, 얼른.
적어도 앞으로 나는 소설을 대하는 태도가 바뀔 테다.
내가 읽는 소설은, 그 소설을 쓴 이가 자신도 모르는 자신을 이야기하는 것이며
내가 쓰는 소설은, 그 소설을 쓰는 내가 자신도 모르는 나를 이야기하는 것이라고.
모르는 것을 체험시키는 것-.
그게 책의 소명이요 소망이 아니겠는가.
소설도 그러하듯.
책의 외관은 딱, 안 읽기 좋게 생겼다.
1999년 출간된 초판 그대로라 올드하다.
폰트도 올드하다.
답답~~~한 것이, 딱 안 읽고 싶다.
그런데도 읽었다. 그래서 얻었다.
23년 동안 절판되지 않는 뚝심을 발휘했으나 리뷰가 덜렁 1개다.
앞으로는 표지와 출간연도에 속지 말자고 다시 한 번 뻔한 다짐을 한다.
소설을 읽고, 소설을 쓴다면, 읽자. 얻는다.
이야기는 이야기에 이어져야 하고 끝이 없다. 그렇다면 완성된 형태의 이야기를 만나게 되는 날이 인류의 종말과 시기상으로 맞아 떨어질지도 모른다. 이야기의 종말은 언어의 종말이다. 소설은 새로운 변형은 있을지 몰라도 종말은 없다. - P11
소설은 인간의 가능성을 미래형으로 두고 탐구하는 것이다. - P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