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글을 쓰면 자신을 발견하게 됩니다 - 삶을 풍요롭게 하는 인문적 글쓰기 ㅣ 아우름 37
박민영 지음 / 샘터사 / 2019년 3월
평점 :
밑줄치다가 포기했다. 예화 외 거의 모든 문장에 밑줄을 긋고 별 표시를 했다. 누구나 글을 쓸 수 있지만 누구나 좋은 글을 쓸 수 없다. 그 이유를 이 얇은 책에서 배웠다. 사회적으로 의미가 있고, 사회적으로 의미가 부여된 글. 나는 그런 글들을 읽고 좋다고 여기면서도 이유를 잘 몰랐다. 문장력이 아니었던 것이다. 문장력은 기본, 그 위에 사회적 가치가 얹혀져야 했던 것이다.
물론, 어느 정도 글을 쓰면 어렴풋이라도 알만한 내용이다.
그러나 '어렴풋이' 안다는 것과 '명확히' 안다는 것은 천지차이다.
어렴풋이 알면 적용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글을 읽고, '좋다'라고 느끼면서도 왜 좋은지 이유를 명확히 알 수 없었던 것이 글쓰기로 진전하는 보폭을 넓히지 못했던 것 같다. 세상은 '단어'를 아는만큼 보인다고들 한다. 다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단어지만 그 의미를 명확히 알게 되면 단어는 단어의 수준을 넘어 '시각'과 '관점'의 준거가 되어 준다. 오늘, 이 책을 통해 나는 내 독서와 글쓰기의 '준거'를 얻었다.
바로 적용이 되지는 않겠지만, 앞으로 좋은 글을 알아볼 방책 하나를 챙겼다. 나도 좋은 글을 쓸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다. 내가 하는 경험은 다분히개인적이지만 이미 그 경험은 사회적 경험의 소산이라는 걸 배웠기에. 이건 자신감으로 이어질 수 있을만한 성격의 것이다.
그동안 '이런 비루한 경험을 내놔도 될까?'하고 내놓지 못했던 숱한 내 경험들이 앞다투어 고개 드는 느낌이다. 자신감을 얻은 건 내가 아니라 내 경험들이다. 글쓰기에서 가장 중요한.
몹시도 고마운 일이다.
글쓰기는 세계를 인식하는 유일한 통로인 자신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 P16
글이라는 것은 결국 한 명의 고독한 작가가 자신의 내면과 마주하며 쌓아 온 세계관과 철학을 세상에 내놓는 것입니다. - P21
글에 구현된 생각들은 다른 사람의 지식과 사상을 종합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것입니다. 글로 쓴 생각도 온전히 자기 것이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 P24
경험이 글이 되려면 ‘사회적으로 해석‘되어야 합니다. 사회적으로 의미가 있는, 사회적 의미가 부여된 경험이 글이 됩니다. - P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