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일전쟁 - 세계 최강 해군국 조선과 세계 최강 육군국 일본의 격돌 ㅣ 우리역사 진실 찾기 2
백지원 지음 / 진명출판사 / 2009년 8월
평점 :
역사책이라는 것은 과연 어디까지가 진실일 수 있을까? 우리가 알고 있는 역사라는 것이 과연 진실일까? 정말 타임머신이 있어서 그 시대로 가볼 수 있다면 모를까 정말 남아있는 기록들이 진실일까?
오래전의 일기를 뒤적이다 보면 당시의 일들을 기록해 놓은 것과 지금 기억속에 간직하고 있는 것들과의 차이를 느낄 때가 있다. 일기를 적을 때 느꼈던 감정들이 고스란히 느껴져서 정말 사실을 기록했던 걸까? 하는 의문이 문득 문득 들곤 한다. 과연 객관적인 사실을 기록하는 것이 가능할까?
우리는 정규교육 과정에 들어서자 마자 우리나라의 역사를 배우기 시작한다. '국사'라는 과목은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우리나라의 역사를 우리의 머리속에 주입시킨다. 그 속에는 우리나라의 역사가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우리 조상들은 어떤 사람들인지, 역사속의 위대한 인물은 누가 있는지 등등의 내용이 들어있다. 우리가 아는 위인들에 대한 관념은 대부분 이때 형성되는 것이 아닌가 싶다.
한번도, 이전까지 단 한번도 '임진왜란', '정유재란'이라는 단어가 잘못되었다는 생각을 해본적이 없었다. 물론 당시의 임금이었던 선조가 무능했었다는 생각은 이런 저런 글들을 통해 알고 있었지만, 고등학교 이후에 따로 역사서를 공부하는 것도 아니고, 최근들어 접하는 역사라는 것이 TV나 소설을 통한 것들이 더 많은 까닭에 '행주산성의 영웅 권율'이라거나 '불패신화의 성웅 이순신', '비겁자 원균'과 같은 것들을 '사실'로 여기고 있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이처럼 배운대로 본다는 것이 얼마나 잘못된 일인지 깨닫게 된다. 저자의 말처럼 '객관적'으로 쓰려고 노력했다는 점은 둘째치더라도, '조총'은 일본군만 가지고 있었다던가, 광해군이 연산군과는 다른 평가를 받아야 하는 이유, 결정적으로 '임진왜란'이 아니라 '조일전쟁'이라고 불러야 하는 전쟁을 왜 '란(난)'정도로 폄하하고 있었는지 다시한번 생각해 봐야할 계기를 갖게되는 것이 바로 이 책이 주는 장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 같다.
역사 뿐 만이 아니라, 세상 모든일을 내가 아는 범위 내에서 평가하려고 하는 것 처럼 무서운 일은 없을 것이다. 보수와 개혁의 갈등, 노사간의 갈등, 남과 여의 갈등, 모든 갈등은 이처럼 다른 시각을 무시하는 것에서 시작되지 않을까? 이 책의 가치는 바로 여기에 있는 것 같다. 내가 아는 것은 다가 아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