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셸 오바마 - 변화와 희망의 퍼스트 레이디
엘리자베스 라이트풋 지음, 박수연 외 옮김 / 부키 / 2008년 1월
평점 :
절판


오바마 만큼의 이슈가 되진 않았지만, 흑인 퍼스트레이디 로 미셸오바마는 충분히 책의 소재가 될 만한 사람이다. 스스로도 시카고 남부에서 어렵게 자란 (대고모가 주인인 침실 1개의 아파트에 세들어 살았다) 흑인이 하버드 로스쿨을 졸업하고 당당히 훌륭한 변호사가 되었으니 말이다. 미국에서 출판되는 자서전이라는 것들 대부분이 한 분야에서 이슈가 되는 순간 (대중적으로 유명세를 얻는 순간) 출판되는 것으로 보면 앞으로 더 나은 자서전이 나올지도 모르겠다.

 

책을 읽는 내내 미셸 오바마라는 사람의 내면을 들여다 보는 것에 한계가 느겨졌다. 저자의 말처럼 다른이의 입을 빌려 여기서 조금, 저기서 조금 전달되는 인터뷰 글을 통해 쓰여진 글이 가지는 한계일 것이다. 하지만 그의 남편이자 미국 대통령이 된 오바마를 알기 위해서 (혹은 유명세를 타고 책을 팔기 위해서) 쏟아져 나오는 수십 권의 책에 비하면 퍼스트 레이디에 좀 더 가까이 다가선 듯한 느낌을 가지게 할 정도의 정성이 들어가 있다고 생각된다..

 

책은 남편이 대통령으로 당선이 되는 데 미셸 오바마의 역할은 무엇이었는지에 촛점을 맞추고 글을 기술해나가고 있다. 버락 오바마가 대통령이 되는데 일조한 민주당 전당대회에서도 나타나듯이 '있는 그대로의 세상'이 아니라 '그렇게 되어야 하는 세상을 꿈꾸자고 말한 남편의 든든한 후원자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가정에서도 대중들 앞에서 말 하나 하나까지 신중하게 그리고 단호하게 행동하는 모습은 퍼스트 레이디로서의 자격이 충분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우리는 주로 오바마 에게만 관심을 가져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미국 대선기간동안 (당내 경선기간을 포함하면) 그들의 사생활은 정말 샅샅이 파헤쳐지고 그들의 말과 몸짓 하나하나에도 수 많은 의미와 의혹, 억측을 더하는 것이 그들의 선거인 것을 생각해보면 책에 나온것 처럼 미셸 오바마는 '근면과 희망, 품위에 대해 중요한 교훈을 일깨워 줄' 정도로 뛰어난 여인임에는 틀림없는 듯 하다.

 

저자의 말처럼 언젠가 퍼스트 레이디 자신의 목소리로 쓰여진 책을 읽게 된다면 그것은 이 책을 통해서 느낀 흥미로움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온난화 경제이야기 - 환경이 세계 산업지도를 바꿔나가고 있다
김종서 지음 / 참콘경제연구소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경제성장과 환경문제는 이제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가 되었다. 가면 갈 수록 환경에 대한 규제는 점점 심해지고 있으며, 규제때문이 아니더라도 지구 온난화는 더이상 남의 이야기가 아니기 때문이다. 어느새 한라봉은 더 이상 한라봉이 아니게 되었고, 국내산 열대과일도 심심찮게 볼 수 있게 되었다. 여름의 대명사 였던 '장마'예보도 사라질 지 모르고, 우리나라도 아열대 기후에 접어든다는 이야기가 들릴 정도다.

이러한 모든 환경변화의 원인으로 꼽히는 것이 '지구 온난화'이다. 이러한 온난화의 주범으로 온실가스의 배출을 들수 있으며, 그 온실가스를 만들어 내는 주범은 바로 우리들 '인간'이기 때문이다.

책은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온난화 시대의 경제가 어떻게 변해갈지에 대한 내용은 겉핥기 식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대책에 대해서는 구구절절히 설명하고 있는 반면에 기술된 '경제'활동이라는 것들은 익히 알고 있는 '탄소 배출권'과 '대체에너지'에 관한 내용이 전부이기 때문이었다. 지구 온난화에 대해 기술된 내용에 비해서 보면 내용이 빈약해 보이는 것을 어쩔 수 없었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더 이상 지금처럼 살아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개인적으로 환경문제에 더욱 관심을 가지고 습관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기도 해야겠지만, 지금의 기술에 '친환경적 사고'를 보태야만 미래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것이다. 최근들어 국내에도 이슈가 되고 있는 LEED (리드: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 친환경건물인증) 처럼 이미 다른나라에서는 시행하고 있는 많은 친환경 제도들을 우리도 도입해야 하는 것이다. 단순한 도입이 아니라 단기간에 우리의 삶을 바꾸지 않는다면 정말 2100년에 그린란드의 빙하가 모두 녹아버려서, 영화'투모로우'에서 묘사하고 있는 것 같은 재앙이 닥치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