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요하지 않던 물건도 일단 생산하면 필요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현상은 유행이나 사회적 욕구, 단순한 모방과 어우러져 더 강화된다. 남들이 하는 것은 자기도 해봐야 하고, 남들이 가진 것은 자기도 가져야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소비 수요를 만들어내는 가장 중요한 원천은 공급자에 의한 광고와 판매기술이다. 일단 상품을 생산해 놓고 그 상품에 대한시장을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가 주체적으로 판단하고 경제행위를 결정한다는 전통적인 경제이론과는 완전히 상반된다. - P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이코프_ 정확한 이해입니다. 엄격한 아버지 모형에 따르면, 세상에는 선과 악이 있습니다. 가정의 합법적 권위로서 옳고 그름을 구별하고, 당연히 아버지는 선하고 도덕적으로 강직하죠. 아버지는 악에 대항해 가정을 지키며, 자녀들에게 도덕적 강인함을 계발하도록 가르칩니다. 어머니는 아버지의 임무를 수행할 수 없어요. 이 모형에서는여성을 덜 강하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어머니의 임무는 남편이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이 모형에서 부모의 역할은 성(性)에 근거합니다.
더욱이 이 모형은 세상이 애초부터 경쟁적이라고 가정하죠. 세상의 경쟁에서 성공하여 자신의 가족을 보살필 역량을 보유하는 것이아버지의 책임입니다. 아버지는 또한 자녀들에게 다른 사람들과 경쟁하는 방법을 가르쳐야 합니다. 자신의 자녀들이 다 자랐을 때 성공적이 되고 자립적이 될 수 있도록 말이에요. - P9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말로 그렇다. 우리가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은 비슷한 확률을 놓고 치열한 경쟁을 벌이는 수많은 입자 배열들 속에서 특별한 배열이 최후의 승리를 거두었기 때문이다. 우연의 신이 우리를 한없이 축복하사, 자연의 법칙이라는 좁디좁은 깔때기를 통과하여 우리가 지금 이곳에 존재하게 된 것이다. - P457

춥고 황량한 우주를 향해 나아가려면 웅장한 설계도 같은 것은 잊어야한다. 입자에게는 목적이 없으며, 우주 깊은 곳을 배회하면서 발견되기를기다리는 궁극의 해답 같은 것도 없다. 그 대신 특별한 입자 집단이 주관적인 세계에서 생각하고, 느끼고, 성찰하면서 자신만의 목적을 만들어 내고있다. 그러므로 인간의 상태를 탐구하는 여정에서 우리가 바라봐야 할 곳은 바깥이 아닌 내면이다. 이미 제시된 답에 얽매이지 않고 개인적인 존재의 의미를 찾으려면 내면으로 들어가야 한다. - P4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토크빌의 역사적 진실에 대한 주장은 역사학자들 사이에널리 인정되는 핵심 기준에 근거한다. 이 기준에 따르면 모든 해석의 진실성은 일관성과 주요 사실에 대한 설명을 제시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 일관성 있는 서술은 논리적이며 밀접한 관련이 있는 증거를 인용하고 그 증거에서 비합리적인 결론을 끌어내지 않는다. - P6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 책에서 나는 권리 선언의 불도저 같은 효력—한 집단에 이어다른 집단이 권리를 요구하고 획득하는—을 재평가하면서, 왜 여성의 권리가 그처럼 골치 아픈 이슈가 되었는지, 왜 여성은 프랑스 백인유산계층 여성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것으로 간주되던 유대인, 무산자, 노예 들과 동시에 권리를 획득하지 못했는지를 설명하려 한다.
인권에 대한 나의 주장은 자율성과 공감이라는 두 가지 결정적인특성 주위를 맴돈다. 권리는 자율적인 인격을 가정하여 실행된다(18세기에 여성, 아동, 정신병자, 하인은 모두 자율성이 없다고 간주되었다).
그러나 자율성만으로는 충분치 않다. 사람들은 만민평등사상을 받아들여야 했고, 내가 파악하기에 계급, 인종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성별의 구분을 뛰어넘어 공감하는 법을 배움으로써 이를 성취했다. - P8

나의 논지는 고문에 대한 비평 또는 서한소설 읽기가 물리적 결과, 즉 뇌의 변화로 전이되고 사회적·정치적 삶의 조직에 관한 새로운 개념들로 재귀하는 결과를 낳는다는 발상에 근거를 두고 있다. 새로운 독서 (그리고 관람과 청취)는 새로운 개인적 경험(공감)을 창출했고 그것은 다시 새로운 사회적·정치적 관념(인권)을 낳았다. 이 책은이 과정이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규명하려 한다. - P4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