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집을 수 있는 아포리즘은 <재치> 성벽의 질병이다. 달리 말하자면, 재치 있어 보이기만 하면 어떤 명제와 그 명제의 역(逆)이 모두 참이어도 상관없다는 입장의 격언이다. 역설은 일반적 관점을 사실상 뒤집어서 받아들이기 힘든 세계를 제시하고 저항과 거부를 야기한다. 하지만 그 세계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면 앎이 발생한다. 결국 그게 참이라고 인정해야만 하기 때문에 재치 있게 보인다. 뒤집을 수 있는 아포리즘은 부분적인 진리만 담고 있으며 일단 뒤집어 놓고 보면 두 시각 중 어느 쪽도 참이 아닐 때도 있다. 단지 재치 있게 쓰였기 때문에 얼핏 참처럼 보였던것이다. - P258
서사적 허구는 누군가의 믿음을 얻으려고, 혹은 누군가에게 해를 끼치려고 거짓을 말하는 게 아니다. 작가는 <가능한 세계〉를 구축하고 독자 혹은 관객이 공모자가 되어 그게 진짜 세계인 것처럼 그 세계의 규칙 (말하는 동물, 마법의 소산, 인간으로서는 불가능한 행동 등)을 수용하고 살아 주기를 요구한다. - P296
물론 서사적 허구에서는 허구성의 신호들이 발신되어야 한다. 때때로 이 신호들은 제목이나 <소설>이라는 장르, 나아가 뒤표지의 소개 글 같은 <파라텍스트paratext>로 주어진다. 텍스트 내에서 가장 명백한 허구적 신호는 <옛날 옛날에 —가 있었다> 형식의 도입문이다. 하지만 상황 가운데서in medias res 서사를 시작한다든가, 대화로 시작한다든가, 일반적이지 않은 개인사에 빠르게 힘을 실어 준다든가 하는 다른 허구적 신호들이 있다. - P296
가짜 더블double을 만드는 것은 결과적으로 거짓 동일시 falsa identificazione에 가담한다. 역사적 상황t1에서 원작자 A는 원작 O를만들지만 모조자 C는 역사적 상황 t2에서 모조품 OC를 만든다. 그러나 C는 연습 삼아 혹은 순전히 재미로 OC를 만들 수도 있으므로 OC가 반드시 위조인 것은 아니다. 『콘스탄티누스의 기증』도 처음에는 순전히 수사학 연습 삼아 쓴 텍스트였을 것이다. 이 텍스트가 진짜 칙령 문서로 (선의에서든 악의에서든) 간주된 것은 나중 일이었을 뿐이다. 반면 우리의 흥미를 끄는 것은 O와 OC가 똑같다고 거짓 동일시를 수행하는 자 I의 의도다. 이럴 때만 OC는 가짜가 된다. 이 때문에 거짓 동일시는 삼원적 관계를 작동시킨다. - P303
<더블>은 물리적으로 <출현한 것>이면서, 물리적으로 출현한 다른 것의 속성을 똑같이 지닌다. 그 둘은 추상적인 <유형>에 따른 타당한 특징들을 지닌다. 이런 의미에서 똑같은 모델의 의자 두 개는 서로에 대해서 더블이고, A4 용지 두 장도 서로에 대해 더블이다. 더블은 분별은 안 되지만 <교환 가능하기> 때문에 위조의 속임수가 아니다. 똑같은 A4 용지 두 장도 현미경으로 분석하면 상당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을지 모른다. - P305
반면 같은 유형으로 출현한 것들 가운데 <하나>만 한 명 이상의 사용자에게 특별한 가치를 지닌다면 <가짜 더블>의 경우라고할 수 있다. 수집이라는 분야에서 지금은 몇 점 남지 않은 희귀 우표라든가 저자 서명이 들어 있는 고서(古書)에는 특별한 가치가 부여된다. 이 단계에서 더블의 위조는 흥미로워지고, 실제로 희귀 우표 위조는 심심찮게 일어난다. 일상적 교환에서 액면가가 동일한 지폐는 더블이므로 교환 가능하다. 하지만 법적인 면에서는 각각의 지폐는 고유한 일련번호가 있으므로—비록 그런 차이는몸값으로 지불된 돈이나 은행 강도가 훔쳐간 돈일 때만 중요하지만—동일하지 않다. - P306
진품이 없어지거나 아예 존재한 적이 없다면, 어쨌든 아무도 진품을 본 적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외전> 혹은 <위작>의 경우가 바로 그렇다. OC가 진품과 일치한다고 주장하지만 사실 진품은 존재한 적이 없다. - P309
컬트 영화가 되려면 영화 자체에 엉성하고 서툴고 일관성 없는 면이 있어야한다. 완성도가 높아서 우리 마음대로 우리가 선호하는 관점에서다시 읽을 수 없는 영화—책도 마찬가지지만—는 기억 속에 그전체로서 어떤 관념 혹은 주요한 감정으로 남는다. 엉성한 영화만이 흩어진 이미지, 시각적 봉우리로 남는다. 그러한 영화는 하나의 중심적인 생각이 아니라 다양한 중심 생각들을 보여 줄 것이다. 일관적인 <구성 철학>을 드러내기보다는 빼어난 불안정성 덕택으로 살아남아야 한다. - P350
저자들은 즉흥적으로 짜임새를 만드느라 기존에 시험해 봤던 레퍼토리를 쥐어짠다. 시험해 봤던 것의 선택이 제한될 때의 결과물은 키치에 불과하다. 그러나 시험해 봤던 것의 총체를 투입하면 가우디의 사그라다 파밀리아 비슷한 구조물이 나온다. 그런 구조물도 아찔하고 천재적이다. 「카사블랑카」는 모든 원형을 담고 있기 때문에, 배우들이 다른 작품에서 했던 연기를 답습하기 때문에, 그 안의 인물들이 <현실적 > 삶이 아니라 다른 영화들에서 상투적으로 그려 보였던 삶을 살기 때문에 컬트 영화다. - P354
모든 원형이 뻔뻔하게 난입할 때 호메로스적인 깊이에 이른다. 두 개의 클리셰는 웃긴다. 백 개의 클리셰는 감동적이다. 클리셰들이 자기네끼리 대화를 나누고 재회를 만끽하는 것을 어렴풋이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고통의 극치가 쾌락과 일맥상통하듯, 도착의 극치는 신비로운 에너지와 흡사하다. 진부함의 극치에서 숭고함이 얼핏 엿보인다. - P35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