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둘리지 않는 힘 - 셰익스피어 4대 비극에서 '나'를 지키는 힘을 얻다
김무곤 지음 / 더숲 / 2016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 근래 책을 읽으면서 이렇게 정성스럽게 책을 읽은 적이 있었나 하는 생각이 들 만큼  이 책을 정독하며 글자 하나하나 정성껏 읽었다.

 

희망도 없이 무한 경쟁의 시대에 내몰린 채 하루하루 쫓기듯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청년들에게 세상은 그래도 살만하다라는 낭만적인 조언을 할 수 없다는 김무곤 교수는 살아남기 위한 방법을 채득하라고, 세상에 휘둘리지 않는 힘을 기르라고 말한다.

 

김교수는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속에서, 4대 비극의 인물들속에서 지금의 우리와 다르지 않는 모습들을 발견했다. 그들 역시 우리처럼 꿈과 현실 사이에서 좌절하고 그들 자신의 욕망과 열등감으로 비극을 맞이하게 된다. 그리고 셰익스피어가 우리에게 작품을 통해 전달하고자 했던  우리를 불행하게 하는 유혹과 욕망도, 세상의 맞서 나를 지킬 무기도 결국 '내안에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휘둘리지 않고 나를 지키는 힘의 소중함을 이 책을 읽으면서 깨닫게 되기를 바랬던 것이다.

 

문학작품의로서의 셰익스피어 작품으로 접근성보다는 등장인물들의 성격을 파헤치고 그 인물들에 대해 하나하나 해부하듯 다가서는 김교수만의 책의 구성이 단연 돋보이는 책이었다. 4대 비극속의 등장인물들을 9가지 인간유형 나누어 작품에 대한 전반적인 설명과 함께 그들의 대사 에서 비춰지는 그 내면속의 성격까지 읽는이와 더불어 한걸음 한걸음 함께 걷고 생각해보고 이야기해보는 그런 책이다. 

 

나에게는 참으로 특별하게 다가오는 책이었던 것이다.

특히 리어왕에서  비참한 결말을 맞게 되는 리어왕과 그 딸들의 모습을 보면서 비극의 시작이 사랑의 없음이 아닌 소통의 없음임을 깨닫게 한다.

 

많은 이들이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대해 연구를 하고 논문을 발표하기도 한다. 그만큼 읽는이에 따라,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달리 읽혀지고 해석되는 것이 어쩜 당연할 것이다. 김무곤 교수는 이 책을 바라보고 이 책에서 읽는이의 공감을 얻어 읽는 이와 함께 찾고자 했던 바를 충분히 이루어낸 책이 아니었나 싶다. 마치 시원한 냉면 육수를 들이킨듯 책의 마지막장을 덮고 시원함을 느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7-03-03 11: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7-03-03 11:56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