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숨의 유니버설 로봇 - 카렐 차페크 희곡 10대를 위한 책뽀 시리즈 4
카렐 차페크, 조현진 / 리잼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카렐 차페크의 희곡의 희곡인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 은  1920년에 쓰여진  희곡형식의 소설이다. 이 희곡에서 기계장치 인간들을 '로봇'이라고 부르게 되었고, 이 희곡에서 말하는 로봇( Robot)은 체코어로 '고된 일을 하는 노동자' 라는 뜻이다.
[로숨의 유지바설 로봇]은 우리에게 조금은 낯설은 느낌의 희곡 소설이다.
희곡..어찌보면 군더더기 하나 없이 깔끔하게 소설을 읽어내려갈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꾸며주는 말이나, 그 상황을 설멸해주는 묘시부분이 없기때문에 아이들이 읽기에는 조금 건조하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었지만,  나름 거침없이 읽어내려가며  너무나 재미있게 읽었다고 말하는 큰아이의 반응에 나의 우려는 사라졌다.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은 로봇의 역사에 있어서 두가지의 큰의미를 지닌다.
첫번째는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로봇이라는 단어가 처음 사용된 작품이라는 점 두번째는 인간에 있어 로봇이 어떤 존재인지를 밝혀낸 작품이라는 것이다. 어찌보면 영화 터미네이터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 인간에 의햇 만들어진 로봇들이지만 결국에 로봇의 반란에 의해 순식간에 인류는 사라지게 되고 마지막 남은 인간. 알뀌스트의 선택으로 3막의 막이 내린다.
우리의 생활이 편리해지면 편리해질수록 과학의 문병이 발달할수록 그 빈자리는 기게들이 대신해가고 있슴을 알수 있다. 우리는 많은 기계들의 도움을 받으면서 살고있다.
하지만 이런 기계들과 로봇들의 도움으로 인간들의 노동은 줄어들고 있다.
인간이 즐겨야할 최소한의 노동조차도 말이다.
카렐 차페크의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 은 이런 우리엑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작품이다. 21세기의 기계문명에 대한 경각심을 갖게 한다.
진정한 삶과 안락한 삶에 대한 우리의 편견이 가져올 결과를 생각하게 한다.
단순히 공상만이 아닌 현실이 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은 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