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까신
               -최계락

개나리 노오란 꽃그늘 아래
가지런히 놓여 있는 꼬까신 하나
아기는 사알짝 신 벗어 놓고
맨발로 한들한들 나들이 갔나
가지런히 기다리는 꼬까신 하나

개나리 노오란 꽃그늘 아래
가지런히 놓여 있는 꼬까신 하나
아기는 사알짝 신 벗어 놓고
맨발로 한들한들 나들이 갔나
가지런히 기다리는 꼬까신 하나


<햇살이 내린 뜰> 다음 블로그 가시면 노래를 들을 수 있답니다.  

 

 

봄의 목소리.

 

         - 헤르만 헤세.

 

어느 소년, 소녀들이나 알고 있다.

봄이 말하는 것을,

살아라, 뻗어라. 피어라. 바라라.

사랑하라, 기뻐하라, 새싹을 움트게 하라.

삶을 두려워 마라.

 

 

-생각해 보기

1. '살아라, 뻗어라, 피어라, 바라라'  중 내가 가장 하고 싶은 것은 무엇인지?

2. 이 시를 선물한다면 누구에게 가장 좋을까요.

3. 봄이 하는 말을 들은 적이 있나요?  있다면 무엇인지?

    없다면 한번 귀기울여 들어봅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고민하는 힘
강상중 지음, 이경덕 옮김 / 사계절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고민하는 힘으로 세상을 헤쳐온 강상중, 그는  제일 조선인으로 청소년기, 장년기를 힘겹게 살아냈다.  진지한 고민을 통과한 성찰의 힘이 지금 그의 눈을 이룬 것이다.  

그의 질문은 진지하다, 일본의 작가 나쓰메 쏘세키와 독일 철학자 막스 베버의 글은 그가 세상을 헤쳐가는데 등대처럼 힘과 위로를 주었다.   

인간은 누구나 고민한다, 그러나 그 고민이 제대로 길을 만들기 위해서는 인간이 이세상에서 어떤 존재이고, 이 사회의 변화는 왜 이렇게 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야 한다. 그런 고민의 길이 없이 세상의 흐름에 휩쓸려 살아가는 인간군상이 우리 사회의 모습이고, 그런 흐름이 사회의 어두운 구석을 만들고 있다.   

 그 성찰이   결국 세상을 꿰뚫어갈 힘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그이 질문은 진지하지만 그 답을 준비한 겻은 아니다. 그 답은 책을 읽는 각자가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 고민이 '자아의 성'을 쌓는 것이 아니라 타자를 인정하고 타자와의 관계를 인정하고 마주하는 것에서 시작이라는 저자의 말은 이 고민의 시작이다.  
1. 나는 누구인가?
2. 돈이 세계의 전부인가?
3. 제대로 안다는 것이 무엇일까?
4. 청춘은 아름다운가?
5. 믿는 사람은 구원받을 수 있을까?
6. 무엇을 위해 일을 하는가?
7. 변하지 않는 사랑이 있을까?
8. 왜 죽어서는 안 되는 것일까?
9. 늙어서 '최강'이 되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깨달음으로 가는 뒷문
애슐리 네벨시크 외 지음, 유향란 옮김 / 조화로운삶(위즈덤하우스) / 2009년 1월
평점 :
절판


 '깨달음의 궁극적인 목적은 살아 있는 동안 평온한 마음으로 행복하게 사는 것이며, 사람은 누구나 그렇게 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진리를 몰라서 고통에 빠져 사는 것이 아니다. 불교, 기독교의 말씀들. 이웃을 사랑하욕심을 버리라 등. 진리는 세상에 늘 넘쳐나지만 눈여겨보고, 새겨두고, 실천하는 이들이 드물기 때문이다.  

남의 얘기가 아니다, 나 또한 그렇다. 아이들을 아이의 입장에서 헤아려보고 배려하는 것이 어른의 할 도리라는 것을 알지만 자주 화를 터트리고, 매를 대기도 한다.  

잘못했다고 말하며 아이의 용서를 빌지만, 그것이 반복되는 것은 아이의 문제가 아니라 나의 문제인 것이다.  

그것을 느끼면서도 실제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는 것은 나의 무엇 때문일까  

'멀리서 찾지 말고 엄청난 것을 기대하지 말라. 지금 이 순간의 작은 평화, 이 작지만 온전한 행복 그것이  곧 깨달음이다. '  

제 1장 삶이 어려운 이유,  . 욕망, 집착, 무지,

제2장 기쁨도 슬픔도 결국은 지나간다. 무상 

제 3장, 스스로 행복한 사람.  

제 4장 모든 일에는 다 이유가 있다. 인과 , 상호의존성  

제 5장, 단 하나를 행한 결심, 상상력과 용기  

제 6장, 오직 지금뿐  

제 7장 당신이 곧 사막이요, 샘물이다.  

제 8장 어디에도 머물지 않는 마음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손한 손 창비시선 297
고영민 지음 / 창비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인의 말이 정말 시다  

언젠가 정약용 선생의 「죽란시사첩」을 본 적이 있다.
매화가 피면 한번 모이고,
참외가 익으면 한번 모이고,
바람이 서늘한 가을이면 연꽃을 보러 서지에 모이고,
큰 눈이 오면 한번 모이고.   

우리는 이제 모일 수 없는 것들이 더 많아지는 시간을 살아갈 것이다.   

잠이 오지 않을 때면   

누군가 이 시간, 눈 빠알갛게  

나를 골똘히 생각하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자꾸만 나를 흔들어 깨운다는 생각이 든다.   <꽃눈이 번져>부분  

시인은 자신을 흔들어 깨우는 관계와 사물에 대해 무연한 듯 말한다. 그 말이 공손하다.   

 

    공손한 손

추운 겨울 어느날
점심을 먹으러 식당에 들어갔다
사람들이 앉아
밥을 기다리고 있었다
밥이 나오자
누가 먼저랄 것 없이
밥뚜껑 위에 한결같이
공손히
손부터 올려놓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백꽃 지다 - 강요배가 그린 제주 4.3
강요배 지음, 김종민 증언 정리 / 보리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서평] 강요배가 그린 제주 4·3 <동백꽃 지다>








 

 

 
 

  

많이 보고  

많이 읽고  

많이 생각하고 

많이 기억하고 

삶과 죽음이 이어져 있다는생각을 하게 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