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온전히 평등하고 지극히 차별적인
김원영 지음 / 문학동네 / 2024년 7월
평점 :
중학교에 입학한 이후 휠체어 밑에 깔고 앉던 책은 한 권씩 늘어났다. 바지를 크게 입는 전략은 나중에는 '무재해' 벨크로와 플라스틱 파일 커버로 다리를 아예 조형하는 방법으로 발전했다. 일반 고등학교에 진학하고, 대학을 가고, 직업을 얻고, 내게 주어진 무엇을 해내든 나는 그것이 프리데만의 멋진 신발이나 모자처럼 우스꽝스럽고 어색해보이지 않을까 전전긍긍했다. 내 삶은 진정한 생의 의지를 억누른 채 허약한 가상 위에서 전개되고 있는 게 아닐까?
몸을 온전히 드러내고 휠체어에서 바닥으로 내려와 춤을 추기로 한 것은, 말하자면 정면승부였다. 언제까지 그렇게 살 수는 없으니깨. 춤을 춘다는 건 인권, 평등, 교양, 문화 등의 이름으로 구저화된 삶의 밑바닥을 가장 노골적으로 들춰내는 것이다. 나는 장애를 주제로 삼아 꽤 그럴듯한 글을 쓰고, 장애인 인권에 대한 강의를 할 수도 있다, 이 활동들이 가치 있다고 믿지만 그것은 장애가 있는 몸을 진실로 긍정하는 일과는 거리가 있어 보였다. (320p)
휠체어에서 내려와 공연하는 몸이 되기도 하는 작가는 지루하고 흥미로운 연습시간을 지나기도 하고, 경이로운 순간들을 만나기도 했다. 그런 그가 밀어가는 몸과 글과 말이 여기에 와서 또 다른 순간을 만들어낸다. 아름다운 순간들이다.
접촉 즉흥(Cntact improvisation) 두 사람 (또는 세사람 이상이) 신체의 한 점을 접촉한 채 상대의 몸에 반응하며 즉흥적으로 움직이는 춤이다. 접촉하는 지점은 어디든 가능하다. 서로 손가락 끝을 연결하거나 머리를 맞대거나 등을 맞붙이거나, 필꿈치나 팔뚝을 맞댈 수도 있다. 한 사람의 손가락과 상대방의 이마가 만날 수도 있다. 그 상태로 각자 자유롭게 윰직이면 된다. 유일한 규칙은 접촉한 면이 떨어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 춤의 원리를 정립하고 접촉 즉흥이라 이름을 붙인 미국 안무가 스티브 팩스턴(1939-2024)은 1960년대 서구 사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이른바 '68혁명' 가운데 무용수로 활동했다. 유럽이 전쟁으로 퍠허가 된 동안 미국은 춤의 중심지가 되었고, 이 문화적 용광로에서 미국인 이사도라 덩건이 유렵에서 새로 시작한 새로운 춤의 사조, 모던 댄스가 정점에 이르렀다,. 권위와 전통, 엄격한 규율에 맞서며 탄생한 모던 댄스는 어느덧 또 하나의 거대한 예술적 전통이자 권위가 되어 있었다.(325p)
더 평등한 춤을 원했던 팩스턴은 춤을 통해 사람들이 만나는 민주적인 춤의 공동체를 지향했다,
모든 사람이 창조하고 향유할 수 있는 춤의 지리가 만들어지기 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