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타주의자 선언 - 공적 슬픔과 타인의 발견
최태현 지음 / 디플롯 / 2025년 1월
평점 :
우리 시대를 돌아봅니다. 지금처럼 작은 존재들의 권리에까지 이토록 관심을 기울인 시대가 있었을까요? 과거에는 신분이 나뉘었고, 질서는 위계적이었으며, 어린이와 여성은 재산처럼 취급되었습니다. 동물? 자연? 오로지 왕과 귀족의 생명만이 가치 있던 오랜 역사를 지나 겨우 민주주의 체제를 만들어냈지만, 민주주의 사회에서도 여전히 오랬동안 모든 존재가 시민은 아니었습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들의 존재함을 존중하려고 많은 이가 땀 흘리는 시대는 인류 역사에서 지금이 거의 유일한지도 모릅니다.
그래서 우리 시대는 특별합니다. 노동과 기후가 충동하고, 장애인 인권과 동물권이 묘한 갈등을 빚고 , 다름과 차별이 복잡하게 얽혀 있더라도, 이는 모두 이 시대가 그만클 모두의 권리를 가장 멀리까지 배달하는 과정에서 모퉁이를 돌자 이제애 나타난 산과 강일 뿐입니다.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는 우리의 고뇌를 자랑스러워할 자격이 있습니다.
윤동주는 <별헤는 밤>에서 패, 경, 옥 같은 '이국소녀'들의 이름을 불렀습니다. 뒤늦게나마 가느다란 인연이 된 저 나름의 이국소녀들이 있습니다. 별조차 잘 보이지 않는 이 밤에 그들의 이름을 마음속으로 불러봅니다. 누군가 이들이 무엇을 하고 있는 거냐고, 해낸 게 뭐가 있냐고 묻는다면 저는 대답하겠습니다.
역사를 만들고 있어요. 이들은 역사를 만들고 있는 거예요. 질문대신 손을 내밀어보세요.
(152p)
작가는 지금의 시대를 좋은 시대라고 말하며 우리의 고뇌마저 자랑스러워할 자격이 있다고 한다.
자랑하기에는 현실의 문제와 무게기 크지만 작가의 자부심이 묻어나는 글이 큰 위로를 준다.
우리는 손을 내밀어 함께 나아갈 수 있다고 하는 작가의 말이 널리 멀리 퍼져 나가 마주 잡은 손들이 함께 웃을 수 있기를. 그 웃음이 자랑스러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