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알라딘 서재공개 행사에서 뽑혔던 서재들입니다. 모두 멋진 서재들이지만 특히 세석평전님으 서재가 가장 감동적이였습니다. 저도 이사가면 세석평전님의 서재처럼 마루를 꾸밀예정입니다.

아~빨리 이사가고 싶어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대학원·어학연수뒤 취업? 꿈 깨시길”

<자료출처> 한겨레 신문

[현장] 건국대 특강

취업준비생의 취업상식 “그거 틀렸어”

11일 저녁 서울 건국대 공과대학에서 열린 ‘자기피아르 특강’에서는 취업준비생들의 ‘취업상식’을 뒤엎는 전문가들의 조언이 이어졌다.
“대학원 가고, 어학연수 다녀와서 더 좋은 데 취업하시겠다고요? 그거 제가 도시락 싸들고 다니며 말릴 겁니다.”

첫 강사로 나선 정유민 잡코리아 기획서비스본부 총괄이사는 “기업들은 대개 ‘가방끈 길고 나이 많은 신입사원’을 선호하지 않는다”며 취업을 위해 대학원에 가고, 심지어 늦은 나이에 어학연수까지 다녀와 더 나은 직장에 들어가겠다는 취업준비생들을 뜯어 말렸다. ‘6개월만 더, 1년만 더 준비하면 훨씬 더 취업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는 취업준비생들의 ‘상식’이 틀렸다는 것이다.


넘쳐도 곤란, 모자라도 곤란


정 이사는 “기업들은 석사 이상 학위가 있는 나이 많은 신입사원들이 ‘시키는 대로 다 하겠다’고 입사한 뒤 ‘더러워서 못해먹겠다’고 그만두는 일을 오랫동안 겪어왔다”며 “최근 삼성전자가 ‘취업재수생’들의 입사지원을 막았던 데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기업은 연령, 학력 등이 넘치지도 모자라지도 않는 ‘딱 알맞은’ 사람을 원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학원 입학이나 자격증 취득 등을 원한다면 목표가 분명해야 한다”며 “자신이 원하는 특정 기업, 특정 직무에서 정말 대학원 학위나 자격증이 필요한지 ‘기업스럽게’ 생각하고 판단해야 해야지, 좀 더 준비한다고 졸업 무렵 취업 적기를 놓치면 그 만큼 경쟁력이 반감된다”고 못박았다.

정 이사가 귀띔하는 다른 취업 노하우들도 취업준비생들의 ‘상식’을 뒤엎기는 마찬가지였다. 그는 취업준비생들에게 학벌, 학점 등에 연연하지 말 것을 당부했다.

정 이사는 “한 지방대에서 모의면접을 실시해 본 결과 학생들이 지원 회사에 대한 정보 수집과 면접 기술 등에 대한 준비가 전혀 안 돼 있었다”며 “학벌 차별이나 학점 차별을 불평하기 전에 성실하게 취업준비부터 하라”고 충고했다. 학력 차별에 대한 사회적 반발이 크고, 기업들도 학점과 직무능력이 정비례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능력만 된다면 학벌이나 학점은 취업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토익점수도 너무 높게 받지 마라


그는 또 “토익 점수 높이기에 지나치게 정력을 낭비하지 말라”고 덧붙였다. 최근 기업들은 서류전형 단계에서 제시한 토익점수 이상의 ‘불필요하게 높은’ 토익점수를 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령 지난해 한 기업의 서류전형 통과자 가운데 토익 900점 이상이 태반이었지만 정작 필요한 기술전문 시험은 100점 만점에 평균 25점 밖에 안 됐다. 이에 놀란 이 기업은 기존 서류전형의 문제점을 깨닫고 올해부터 기술전문 시험의 가중치를 높이기로 했다는 것이다.

정 이사는 “학벌, 학점, 토익 대신 인턴십 경험 등 직무에 필요한 경험을 쌓거나 지원 회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시간을 할애하라”고 조언했다. 인턴십 경험이 가장 좋지만, 인턴십이 불가능할 경우 지원 기업 홈페이지 등을 통해 회사와 직무에 대한 기본 정보를 꼼꼼하게 체크하는 것이 좋다는 것이다.

그는 이 밖에도 “면접 때 모르는 질문을 받더라도 솔직한 척하며 ‘모른다’고 대답하거나 가만히 있지 말고, 어디까지 알고 어디까지 모르는지라도 똑 부러지게 표현하라”며 “이 경우 자기 표현 능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다”고 귀띔했다.

정 이사는 이 밖에도, “쉽게 사라지거나 좌절되기 쉬운 것을 목표로 삼아서는 안 된다”며 “입사 좌절과 동시에 목표가 사라지는 ‘특정 기업’ 대신 ‘직무’를 목표로 세워, 관련 분야에서 전문적인 경험을 쌓는 것이 장기적인 커리어에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내 꿈 펼쳐보겠다”보단 “난 이 기업에 필요한 사람”


같은 강의에 강사로 나선 천경준 삼성전자 부사장 역시 취업준비생들의 ‘상식’을 깨는 조언으로 강의를 마무리 했다.

그는 “자기소개서나 면접에서 ‘이 회사는 내 적성에 맞으니, 이 회사에 들어와 내 꿈을 펼쳐보겠다’고 얘기하면 감점 받을 게 확실하다”고 힘줘 말했다. 천 부사장은 “기업은 기본적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집단”이라며 “자신이 이 회사에 얼마나 많은 이익을 가져다 줄 수 있는 사람인지, 이를 위해 어떤 준비과정을 거쳤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요는, ‘왜 나한테 이 기업이 필요한가를 생각하기에 앞서, 이 기업에 왜 내가 필요한가를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arbie Picture Perfect Camera (Hardcover)
Publications International 엮음 / Publications International / 2002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일단 주인공이 예쁜 바비인형이라는 것 만으로도 시선을 끌기에 충분합니다. 게다가 책에 달려있는 카메라는 실제로 아이들이 눌러볼 수도 있고 후레쉬도 터지기 때문에 카메라 찍기 놀이를 하는 것만으로도 아이들이 재미있어 할만한 책입니다.

바비의 생활을 카메라 안의 사진처럼 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내용이 길지 않아 읽기에 어렵지도 않습니다. 바비를 좋아하는 아이에게 아주 좋은 선물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땅투자 이렇게] 토지고수들의 전략
 <자료출처>한국경제

토지시장이 힘에 부치는 모습이다.

충청권 강원권 경기권 여기저기서 상승세가 멈췄거나 하락세로 반전됐다는 소식이 들리고 있다.

또 풍선효과를 노리고 충청권 외곽지역 땅을 선점했던 이들이 후속 매수세가 없어 발목을 잡혔다고 한다.

전국적으로 땅값이 너무 많이 오른데다 2년정도 상승세를 이어간 상황이어서 지칠 때도 됐다.

이런 상황에서는 토지 매입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공격적으로 매수에 뛰어들었다간 "상투"를 잡기 십상이다.

이럴 때에는 바람에 휩쓸리기보다 길게 보고 저평가된 곳을 찾아다니는 토지 고수들의 전략을 참고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