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pediatrics.or.k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ttp://www.babydoctor.co.kr/main.html

아이를 키우면서 경험하는 궁금증 해결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신혼부부 재테크 5계명] 주택청약상품 하루라도 빨리 가입하라
 <자료출처> 조선일보
연소득 3000만원 이하는 무주택자 대출 유리 
장기 모기지론은 분양가의 최고 70%까지 대출
 
평소에 주변에서 “옷 잘 입는다”는 소리를 듣던 회사원 3년차 김은정(여·28)씨는 다음달 
결혼을 앞두고 통장을 찾아 보니 1500만원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김씨는 일단 부랴부랴 
부모님에게 손을 벌려 결혼 자금을 마련하긴 했지만 같은 씀씀이를 유지하면서 앞으로 결
혼 생활을 통해 목돈을 모을 수 있을지 걱정이다. 게다가 예비 남편의 씀씀이에 대한 정보
도 부족하다.

최근 직장인들 사이에서 ‘10억원 만들기’의 열풍이 일고 있지만, 정작 신혼 때부터 차근차
근 목돈을 모아야 하는 ‘실전(實戰)’에 부딪히면 무엇부터 시작해야 할지 어리둥절한 경우
가 많다. 요즘은 저금리 시대로 돈 굴리기가 쉽지 않은 때이다. 신혼 부부를 위한 재테크 
방법을 알아보자. 서춘수 조흥은행 재테크 팀장은 “결혼 이후의 재테크는 내집 마련부터 
시작된다”며 “다소 무리를 해서라도 내집 마련 자금부터 모으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 자녀 출산 전까지 목돈 마련 

결혼 초기는 인생의 종자돈 마련에 집중해야 될 시기이다. 결혼 전에는 독신의 자유를 만
끽하느라 목돈을 마련할 겨를이 없었다. 하지만 결혼하고 나서도 목돈을 마련할 시간은 많
지 않다. 맘 먹고 목돈을 마련할 시간은 결혼 직후부터 첫 자녀 출산 전까지다. 아이 낳기 
전까지는 수입의 60%까지, 출산 후에도 50%까지는 저축하라. 맞벌이 부부라면 소득이 많
은 사람 분은 반드시 저축하는 게 좋다.

◇ 세금우대저축으로 절세

최근 저(低)금리 추세에서 마땅한 금융 상품을 찾기는 어렵다. 그렇다고 목돈 마련 자금
을 원금 상실의 위험이 있는 위험한 주식이나 펀드 투자에 넣을 수도 없다. 한 푼이라도 
더 모으기 위해서는 우선 절세형 상품부터 가입하는 게 좋다. 세금우대저축은 1인당 4000
만원까지 가입할 수 있으며, 이자에 대한 세율이 일반 세율 16.5%보다 낮은 10.5%만 적용
된다. 또 농수협 단위조합·신협·새마을금고에서 판매하는 조합예탁금은 1인당 2000만원까
지 농어촌특별세 1.5%만 부담한다.

◇ 2년 경과돼야 청약 1순위

내집 마련을 위한 주택청약상품은 미리 준비하는 게 좋다. 아파트 청약 1순위가 되기 위해
서는 가입 후 2년이 경과돼야 하므로 하루라도 빨리 가입하는 게 유리하다. 

주택청약저축은 무주택자만 가입 가능하며 국민주택기금의 지원을 받아 건설하는 전용면
적 25.7평 이하 아파트나 주공·도개공 등이 공급하는 아파트를 분양받을 수 있다. 주택청
약부금은 20세 이상 가입이 가능하며 매월 5만~50만원씩 넣으면 민간건설업체가 공급하
는 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아파트를 청약할 수 있다. 지역과 청약 평형에 따라 200만
~1500만원을 일시에 넣어야 하는 청약예금은 대형 아파트 청약이 가능하다. 

◇ 내집 마련 청사진을 그려라

‘5년 후에 내집을 마련한다’는 식으로 구체적인 내집 마련 목표를 세우는 게 좋다. 내집 마
련의 기회가 오면 대출을 활용해서라도 내집 마련을 앞당기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 연간 
소득이 3000만원 이하인 6개월 이상 무주택자는 근로자와 서민을 위한 무주택자 대출이 
가장 유리하다. 직장인의 경우에는 주택금융공사의 장기 모기지론이 소득공제 혜택이 있
어 유리하다. 최근엔 아파트에 당첨되면 분양가의 최고 70%(2억원 한도)까지 중도금 대출
이 가능한 모기지론도 판매하고 있다. 

장기주택마련 저축은 이자소득세 비과세에다 연간 가입액의 40%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어 유리하지만, 가입 후 5년 안에 해지를 하면 받았던 소득공제 혜택을 되물어야 하
고 비과세 혜택도 취소되므로 무리하게 가입할 필요는 없다.

◇ 소득 많은 사람이 몰아 써라

세대주에게는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등 여러 가지 혜택을 주므로 세대주를 누구로 할 것인
가도 중요하다. 남녀 구분을 떠나서 소득이 있는 사람을 세대주로 해야 한다. 둘 다 소득
이 있는 경우에는 소득이 많은 사람을, 자영업자보다는 직장인을 세대주로 하는 게 유리하
다. 세대주는 장기주택마련저축이나 주택청약저축에 가입하면 직장인에 대한 소득공제 혜
택을 받을 수 있으며, 내집 마련을 할 때는 낮은 금리의 정책 자금 대출을 받을 수도 있다. 
또 맞벌이 부부의 경우에는 연말 정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소득이 많은 사람의 신용카
드를 집중적으로 사용해서 신용카드 소득공제 혜택을 늘리고, 의료비 등도 소득이 많은 사
람이 소득공제를 받는 게 유리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로봇청소기와 함께 이 멋진 스팀청소기가 있다면 우리집이 좀 더 사람사는 집 같아 지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집이 지저분한 것은 다 청소기가 부실한 탓이라고 책임전가를 하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일명 '귀차니스트 가전'이라고 하지요. 아직 부족한 점이 많다지만 그래도 우리집에 있어 주기만 한다면 대환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