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남 오빠에게 - 페미니즘 소설 다산책방 테마소설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절판


7인의 여성작가가 뭉쳤다.

다산북스에서 출간된 페미니즘 단편소설 현남오빠에게.


표지 디자인.


7인의 작가들 소개.


차례.

여성의 존재감을 잔뜩 드러내는 7개의 단편 소설집이다.
나는 처음에 페미니즘 단편이라길래 질겁부터 했다. 나는 어째서 페미니즘을 주제로 쓴 책들이 낯설고 싫은걸까. 현남오빠에게를 읽으면서 처음 읽기 시작했을 때와는 사뭇 다른 감정으로 책을 덮으면서 그 이유를 깨달았다. 우리의, (다르게 말해야 한다면) 모든 여성들의 '당연한' 권리와 행동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 싫었다. 처음 강남역 살인사건을 접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페미니즘이라는 단어를 접했을때 네이버에 뜻을 검색해보고 의아했다. 그 후로 '페미니즘' 을 다룬 작품을 접할 때 마다 페미니즘을 네이버에 검색해서 다시 살펴봐야 했다. 네이버에 나온 그 뜻은 '여성과 남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여성이 사회 제도 및 관념에 의해 억압되고 있다는 것을 밝혀내는 여러가지 사회적·정치적 운동과 이론들을 포괄하는 용어' 이라고 한다. 이 간단한 뜻이 왜 머릿속 깊이 새겨지지 않을까? 나는 왜 볼 때마다 새로운 단어를 보는 것 처럼 쳐다보게 되는 걸까. 처음 참정권을 얻기전 까지는 여성들의 삶은 그저 아이를 낳고 집안일을 성실히 하는, 과부가 되면 재혼을 할 수도 없는 성서의 이야기들 처럼 살아왔다. 인간 이전에 남성으로부터 억압받고 여성만의 규칙을 지키며 살아가는 '애완동물'과 다를바 없는 생활이 아니었을까 생각해본다. 그런 여성들의 존엄성과 행복을 페미니즘이라는 단어를 생성하며 운동을 일으켜 얻어낼 수 있었다.
내가 생소하게 느끼고 봐도봐도 계속 다시 봐야했던 이유는 이런 것들이 당연한 시기에 태어났기 때문이 아닐까. 우리는 아직도 당연한 권리에 이름을 붙여 운동을하는 불편함을 감수하며 살아가야한다. 나는 그런 것이 싫었다. 당연한 것에 이름을 붙혀 같은 여성들끼리 모여서 말을 해야하는 것도 싫었고, 페미니즘이라는 단어 자체가 남여 성차별을 스스로 부추기는 꼴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서두가 길었다.
현남오빠에게를 읽으면서 내 생각에 변화가 조금은 생겼다는 것을 얘기하고 싶었다.
'현남오빠에게' '당신의평화' '경년'을 읽으면서 나도 모르게 분노를 했다. 아니 도대체 왜 저런 사상을 가지고 있으며 저렇게 행동을 하는걸까? 그러면서 동시에 공감을 할 수 밖에 없었다. 특히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현남오빠에게'의 내용은 여성이라면 누구나 겪어봤을 법한 내용이며, 마지막 문장은 통쾌함까지 느끼게 된다. 차분했던 여성이 자신을 억압했던 남성에게 비로소 엿이나 처먹어! 라고 말하며 반항할 수 있다는 것.(사실 반항이라는 단어도 잘못되었지만 그냥 쓰기로 한다.) 나는 차마 성차별이라 느끼지 못하고 익숙하게 당연시 했던 문제들을 소설로 읽으면서 새삼 아. 이게 여성의 아니. 한 인간으로써의 당연한 권리였구나. 하고 생각할 수 있었다. 아마 이 단편집을 읽지 않았으면 나는 지금도 똑같은 생각을 하면서 오히려 페미니즘을 경멸하며 살아가지 않았을까 싶은 생각이든다.  당연히 여자들도 그렇게 해도 되지! 라고 말하면서도 나 자신은 좀 더 조심히 행동하게 된다거나. 혹은 다른 여성이 그런 행동을 했을 경우에 눈살이 찌푸려지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당연한 권리에 대한 자각이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는걸 느꼈다
세 작품 후에 등장하는 작품들은 익숙하면서 동시에 흥미롭다. (여기서 익숙하다- 라고 표현한건, 평소 읽던 남성 위주의 소설책과 비슷한 내용이지만 여성이 주인공을 맡은 것.을 당연시 생각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모든것을 제자리에' '이방인' '하르피아이와 축제의밤' '화성의 아이' 모두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기본적으로 남성이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하던 미스터리,느와르,sf 같은 주제에 여성이 주인공으로 등장한다는건, 당연하게(아무렇지 않게) 느껴지기도 하지만 반대로 더 큰 공감과 설레임을 느끼게 되기도 한다. 우리는 왜 당연한 것에 설레임을 느낄까? 여성 주인공들의 강인한 행동과 다정함을 여과없이 (제3자의 눈) 볼 수 있다는 것은. 우리에게 더 넓은 세상과 더 많은 경험을 '여성의 눈'으로 공감하며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읽어왔던 수 많은 추리소설과 스릴러 혹은 유명한 성장소설 작품들을 나와 같은 여성의 눈으로 볼 수 있다는 상상을 하니 문득 설레임이 가슴 깊은 곳에서 올라온다.

'페미니즘' 단편집이라고 마냥 여성의 권리를 소리치는 것이 아니다. 다만 조용히 여성의 존재감을 부각시킬 뿐이다. 처음 세 편의 단편은 우리에게 공감과 문제의식을 느낄 수 있게 해주고, 그 후의 네 편은 그저 흥미로운 단편 소설로 자리하기 때문에 같은 내용의 반복으로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가독성 또한 좋기 때문에 7편의 흥미로운 단편 '소설'을 짧은 시간안에 독파할 수가 있다.

굳이 소리쳐 우리의 존재를 알릴 필요는 없다.
그저 가만히 자리에 서서 여성이 아닌 '내'가 할 일을 하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