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매처럼 신들리는 것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44
미쓰다 신조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1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쓰다 신조의 도조겐야 시리즈가 너무 읽고 싶었으나, 그 서막인 <염매처럼 신들리는 것>이 벽돌책에 가까운 두께라서 망설이며 시작하지 못하고 있었다. 여담을 붙이자면 나는 손목이 안좋아 벽돌책을 들고 읽는데에 어려움이 있고, 책이 두꺼우면 아무리 재미있더라도 ‘이걸 도대체 언제 다 읽지‘라는 막연함과 막막함이 몰려와서 읽는 속도가 더뎌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구입해놓고 하염없이 미루고 미루던 이 책을 드디어 읽었다! 더이상 미루면 안 된다는 생각보다는 새 책 구입을 자중하고 있는 와중에 미쓰다 신조가 너무나도 고팠고, 미쓰다의 새 책을 읽기 위해서는 이미 있는 책들을 얼른 다 읽어버려야 한다는 생각 때문이었다. 또 아무리 두꺼워도 미쓰다 신조인데 뭐! 라는 약간의 객기도 더해져 읽기 시작했다. 그리고 역시는 역시. 당연하게도 재미있었고, 오래도록 읽어야 했다. 미쓰다 월드에서 경험하는 이 새로운 시리즈는 기존 그의 작품들과 결이 거의 똑같은 수준으로 비슷하지만 ‘도조 겐야‘라는 캐릭터의 매력이 독자로 하여금 완전히 새로운 작품을 읽는다는 느낌을 주는 작품이었다.



-도조겐야는 괴담 소설의 소재 수집을 위해 오랜 민간 신앙을 가지고 있는 가가구시촌으로 향하게 된다. 가가구시촌은 외부와 단절이 되어있는 지리적 구조로 백과 흑으로 나뉘어 차별이 존재하는 구시대적 사고방식과 미신이 많이 남아있는 마을이다. 그렇기 때문일까? 도조겐야가 하하촌을 지나 더 깊은 가가구시촌으로 향하는 버스에 앉아있자 마을 사람들이 그를 둘러싸고 험악하게 노려본다. 마치 여기는 지나갈 수 없다는 듯이. 도조겐야는 그 중 우두머리로 보이는 사람에게 소개장을 건네고 소개장을 보자마자 언제 그랬냐는 듯이 친절해진 사람과 함께 가가구시촌에 도착한다. 그런데 그가 도착하자마자 마을에서 뒤숭숭한 사건이 연달아 발생한다. 소설 소재 수집과 함께 도저히 사람의 짓이 아닌 것 같은 사건에 호기심을 느낀 도조겐야는 적극적으로 사건을 추리하게 된다.

미스터리와 추리의 결합이라는 흥미로운 소재는 미쓰다 신조의 다른 작품들과 결을 같이하기 때문에 그의 작품을 읽어봤다면 굉장히 익숙하게 느껴질 것이다. 그의 다른 작품들 보다 탐정소설적인 색체가 강하기 때문에 또 한 번 익숙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주인공이 사건의 한 가운데서 직접 추리를 해나간다는 전개 방식은 독자들에게 여러모로 신선함과 편안함을 동시에 전해준다. 개인적으로는 ‘푸아로 시리즈‘와도 굉장히 비슷하게 느껴졌는데, 사건의 발생과 발생 상황, 경찰 조사를 통한 자세한 이야기를 모두 도조겐야와 함께 보면서도 범인의 정체를 도무지 알 수가 없는데, 책의 막바지에 푸아로와 같이 겐야가 짠! 하고 자신이 생각한 해석을 드러내보인다는 것이 비슷한 느낌을 전해준다. 다른 점은 푸아로는 본격 추리라면 겐야는 민간신앙과 추리를 조합해 오싹함을 더했다는 것이다. 오싹함과 의문이 더해지면서 더욱 흥미롭게 책 속에 빠져들 수 있게 해준다.



-워낙 좋아하는 작가이다보니 당연히 재미있게 읽을 수 밖에 없었지만, 중간정도 읽었을 때 범인을 맞춰버려서 반전아닌 반전이 너무 아쉽게 느껴졌다. 추리소설은 맞추는 재미가 있다던데 나는 도무지 모르겠어서 끝까지 헤메이는 즐거움을 더 선호한다. 또 마지막 장면에서 도조겐야가 활약하는 장면이 다소 작위적이지 않았나 해서 아쉬움이 느껴지기도 했다. (도대체 어느 유서깊은 마을에서 외지인을 상석에 앉혀놓고 회의를 하느냔 말이지!) 그럼에도 도조겐야라는 캐릭터 자체의 독특함 덕분에 이 시리즈물의 앞으로가 기대되고, 미쓰다 신조의 작풍이 익숙한 나에게도 새롭게 다가와서 더욱 즐겁게 읽을 수 있었다. 그럼. 편애 가득한 서평은 여기서 이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