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막 독립한 이야기 : 우연한 사랑, 필연적 죽음 이제 막 독립한 이야기
박이서 등 16명 지음 / 푸른약국 / 2020년 5월
평점 :
절판


-가끔 독립출판물을 찾아 본다. 그 도전이 말로 표현할 수 없이 아름답고 강인하게 느껴져서 온갖 감정과 함께 피부로 용기가 스며드는 기분이 든다. 독립출판물의 장르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출간하는 행위 그 자체가 아름다운 것이니까. 언젠가 작가가 색지에 직접 인쇄해서 자르고, 이어 붙인 초단편 소설집을 구입한 적이 있다. 그 과정이 얼마나 설레고 고된 작업이었을지 상상하면서 책을 읽으니 감동이 두 배로 다가올 수 밖에 없었다. 읽고 쓰는 행위는 얼마나 은밀하고 아름다운 행위인가. 읽고 쓰는 사람이라면 모두 공감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이번에 또 하나의 새로운 도전을 목격했다. [아독방] 이라고 불리우는 유명한 독립서점 ‘아직 독립하지 못한 책방’ 한 번도 찾아가본 적은 없지만 ‘언젠간’ 이라는 생각을 마음에 품고 있던 서점이었다. 약국과 서점이 한 공간에 있다는 것 자체로도 색달랐지만, 그렇게라도 서점을 열고 싶었던 마음은 어떤 단어로 표현해야 할까, 그런데 그 아독방에서 기성작가, 신인작가, 그리고 처음 글을 쓰는 작가의 작품들을 모두 ‘익명’으로 책을 낸 것이다. ‘이거 완전히 도박 아니야? 대박. 아니면 쪽박.’ 이라는 마음이 절로 들었고, 어찌되었든 읽고 쓰는 입장으로써 호기심과 감탄, 새로운 작품을 향한 설레임이 고개를 들었고, 기대하며 책을 집어들 수 밖에 없었다. 그리고 어쨌든, 여러가지로 즐거운 시간이었다.

-작가도 내용도 조금도 상상할 수 없다는 점이 굉장히 매력적인 도서다. 주제가 아무래도 <우연한 사랑, 필연적 죽음> 이기 때문에 한결같은 연애와 죽음에 관한 이야기일 것이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어떤 사랑은 애틋하고 어떤 사랑은 잔인하다. 혹은 삶 그 자체가 사랑이기도 하다. 삶의 끝이 죽음일 수도 있지만, 잊혀진 삶이 죽음일 수도 있고, 누군가에게는 이별이 혹은 ‘자유’의 박탈이 죽음일 수도 있듯이. “언니, 있잖아. 흔히 우리가 사랑하는 것은 한 남자가 아니라 사랑 그 자체야 그러니 그날 밤 언니가 진정으로 사랑했던 것은 바로 달빛이었던 거야. -101p” 라는 말 처럼 사랑과 죽음은 가끔은 우리의 감정을 조종하고 언제나 우리의 예상을 빗나가듯이 이 작품집도 그렇다. 어떤 글은 애잔하고 어떤 글은 시리다. 어떤 글은 잔혹하고 어떤 글은 유쾌하다. 확실한 것 하나는. 그 어떤 예상도 할 수 없다는 점. 이게 정말 재미있다.

-처음 책을 펼쳤을 때는 모든 작품에 코멘트를 달겠다며 의욕이 넘쳤는데, 16가지의 작품을 읽다보니 조금 지쳤다. 글이 지루하거나 재미 없어서 지쳤던게 아니라 대비 없는 낯섦이 계속해서 공격해오니 정말로 지칠 수 밖에 없었다. “이번에는 어떤 이야기가 펼쳐질까” 하는 기대는 즐거움과 소모를 동시에 가져다주기 때문이다. 독립출판물 이면서 익명의 작가 16인의 작품을 실은 도서. 신선하면서 새로운 도전. 동시에 완성도가 굉장히 높은 작품이었다. 어쩌면 읽는 자들과 쓰는 자들은 같은 사람이 아닐까, 하는 의문을 품고는 했다. 읽는 자가 없으면 쓰는 자는 힘이 생기지 않고, 쓰는 자가 없으면 읽는 자는 즐거움을 박탈당하기 때문에. 읽는 자는 읽는 동시에 쓰기도 하고 쓰는 자는 쓰는 동시에 읽기도 한다. 서로의 감동을 한 번에 충족시키는 이 도박은. 아마도 대박으로 마무리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