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여지는 것이 전부는 아니라고 딸기가 알려준다.

무늬만 딸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유령작가>를 읽게 된 덕분에 <유령의 시간>을 읽었다. 물론 두 소설은 아무런 연관이 없을 수도..그런데 또 어쩌면 있을 수도 있겠다. '유령의 삶'을 살아야 하는 순간에 대한 교집합.. 그러나 똑똑한 기능 검색덕분이 아니었나 싶다. <유령작가>를 읽게 된 나에게..또 다른 '유령' 제목을 단 책이 있다고... 해서 이름도 낯선 작가의 책을 읽었다. <유령의 시간>


"창문이 열린 아파트 건물들이 정면으로 늘어서 있다. 고려호텔13층27호. 에어컨의 찬바람을 견디다 못해 긴팔 가디건을 덧입은 지형은 짐도 풀지 않은 채 창밖을 바라보고 있다"/7쪽 내가 기억하는  선에서 너무도 낯선 곳이 소설 배경으로 등장하는 곳은 처음이라 정신이 번쩍..들며 이 소설이 몹시 재미있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그러나 내게는 딱 프롤로그까지 였다. 대한민국의 역사가 거의 담겨 있었음에도, 나는 잘 몰입되지 못했다. 뭔가 계속 뚝뚝 끊어지는 기분..시대의 역사를 온몸으로 겪어야 했던 이들의 삶을 감히 상상할 수..없지만,뭔가 다가갈 수도 없었던 참 이상한 기분..불쑥불쑥 이것이 유령의 시간일까? 라는 질문에서 더 나아가질 못했다. 유령처럼 살았던 이섭과 미자의 삶 속으로 나는 왜 들어가지 못했을까..너무 담담해서..였을까.. 










다시 로맹가리의 소설을 읽으려고 찾아 놓은 책...'경계'라는 단어가 들어와 잠깐 반가웠다. 

"이섭은 불현듯 생각했다.경계를 한다는 것은 어떤 일이 일어날 수도 있다는 증거였다"/92쪽


그리고 내 앞에 다시 덕수궁이 찾아왔다.


"함녕전 행각을 따라 천천히 걸었다. 고종이 죽은  침전이라는 함녕전.더이상 사람이 살지 않는 폐망한 왕조의 적막한 궁궐 안을 걷는 기분은 공허했다.혼란한 시국의 어지러웠던 발자국이 모두 지워진 텅 빈 궁궐을 걷는 발소리가 유난히 크게 울렸다.

함녕전을 지나 중화문에 이를 때쯤 담 너머로 정오를 알리는 사이렌 소리가 들려왔다.이섭은 잠깐 멈춰 서서 맞은편의 중화전을 바라보았다.(...)"/76~77쪽


이섭처럼 유령의 시간 속에서 힘들었을 이들의 인생을 도저히 가늠할 수..가 없어 힘들었다. 글맛도 개인적으로 아쉬웠다. 그럼에도 나는 봄날 덕수궁을 찾아가..걷는 내내 '유령의 시간' 속에서 헤어나오지 못한 이섭을 떠올려 보게 되지 않을까..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름이 갖는 상징성이 분명 있을 거라 생각하지만, 일일이 찾아보게 되지 않는다. <죄와벌>의 라스콜니코프'와 카라마..의 '스메댜코프' 이름의 뜻을 알고 보니..고개가 끄덕여진다.. 카라마조프..가 아닌 '이반과 스메르자코프'라는 제목으로 연극이 무대에 올려졌을 때도 처음에는 왜 카라마..가 아니였을까 생각했는데,연극 덕분에 카라마..에서 스메르..가 중요한 인물이었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름의 뜻이 분명 심오할 거라 생각했는데..그 비밀(?)이 드디어 풀렸다.^^

‘라스콜니코프‘라는 이름을 보자마자 작가의 메세지를 알아챌 수 있다.‘라스콜‘은 갈등,분열 이라는 뜻이다.소설의 전개가 주인공 마음속 갈등을 다룬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다/27쪽

‘스메르댜코프‘라는 인물은 어릴 때 부터 동물을 죽이면서 시간을 보냈고 어른이 돼서도 반사회적인 행위를 일삼는다(..)스메르댜코프라는 성은 ‘스메르데찌‘라는 동사에서 파생된 단어로 ‘악취를 내뿜는다‘라는 의미다/28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틈틈히 체홉을 읽고 있고, 프루스트의 소설은 무려 2 번이나 읽었더니..'문장들'이란 제목의 책들이 반갑다.^^


프루스트가 그랬다

책은 항상 우리를 위로하고 즐겁게 해주는 고갈되지 않는 동반자...라고


체홉은...

가을밤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에 대해..많은 책을 읽고 나면 새롭고 경이로운 세계가 펼쳐진다고 벚꽃동산에서 말했다는 사실을 알았다..(읽고, 연극까지 보았지만..기억나지 않는다^^) 그러나 작가 대부분 저와 같은 생각을 하지 않았을까 싶다.독자 마음도 같다고 숟가락 얻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방앗간 공격 빛소굴 세계문학전집 3
에밀 졸라 지음, 유기환 옮김 / 빛소굴 / 202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방앗간'이 주는 이미지 때문에 '공격'이란 단어는 '전쟁'으로 확장되지 못했다. 말 그대로 '방앗간 공격' 이었다. 프랑스와 프로이센의 전쟁이 벌어진 가운데 요새(?)가 되어 버린 방앗간. 졸라 선생은 묻는다. 누구를 위한 전쟁인가? 역자 후기를 읽으면서,'방앗간 공격'을 쓰게 된 동기를 알았다.


'방앗간 공격'을 포함해서 총 다섯 편이 실렸다. 서로 다른  이야기인 동시에 '전쟁과 죽음'이라는 주제를 관통한다. '방앗간 공격' 처럼 실질적인 전투가 벌어지기도 하고, 사랑에 몸부림 치는 전쟁, 삶이 곧 전투인 전쟁의 형태까지... 굳이 이렇게 연결 지어 생각할 의도는 없었다. 자연스럽게 흘러갔을 뿐이다. 톨스토이의<전쟁과 평화>가 자연스럽게 소환되는 순간이기도 했다. 전쟁이야기 인줄 알았으나(물론 전쟁 상황도 그려진다..) 전쟁보다 사람 사이의 전쟁이 더 눈에 들어온 탓이다. 에밀 졸라의 단편집에서도 실질적인 전쟁이야기는 '방앗간 공격' 뿐이다.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졸라의 또 다른 장편 <패주>가 떠올랐는데, 역자의 후기에서 그에 관한 설명을 읽었다.(곧 '패주'를 읽게 되지 않을까 싶다) 아무 죄도 없는 민간인을 죽게 만드는 전쟁이야기 '방앗간 공격' 그런데 총을 겨누지 않은 전쟁 같은 삶은 더 잔혹하지 않은가 싶다. 미쿨랭 영감의 폭력은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가정에서의 폭력이 전쟁이란 괴물로 이어지게 되는 걸까, 그의 죽음이 인과응보로 끝나게 된 것 같아 통쾌함 마음도 들었지만,나이스 미쿨랭은 투안과 행복한 삶을 살아가게 될까? 다섯 편 가운데 가장 덜 힘들었던 이야기는 '샤브르 씨의 조개'와 '올리비에 베카유의 죽음'이었다. 물론 내용이 마냥 웃음짓게 했다는 뜻은 아니다.  사랑이란 이름으로 치뤄지는 전쟁 가운데 가장 야비한 것이 불륜은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장면은 좀 씁쓸했던 샤브르...( 저들 나름의 그럴만한 이유는 분명 있었지만..)사랑이 전쟁으로 바뀌게 되는 순간이 아닐까 싶다. 슬픔이 다시 행복으로 가기 위해 죽음의 시간과 마주해야 한다면, 가슴 쿵..하는 이야기지만, 그것이 인생이다 라는 걸 명쾌하게 들려준 이야기라는 느낌을 받았다. 탄핵의 시간을 지나고 있지 않았다면 예술가란 무엇인가에 대해 질문과, 세잔을 알퐁스 도데를 떠올리는 것으로 충분히 흥미로웠을 이야기 '수르디 부인'은 전혀 다른 시선으로 읽게 된 기분이다. 맥베스 부인이 연상된 거다. 자신의 야망을 위해 화가 남편 페르디낭을 잠식해 버리는 여인..졸라 선생도 그녀를 '괴물'이라고 묘사하지 않던가.. "그가 보기에는 아델이 페르디낭을 먹어 치웠다.끝이었다"/227쪽 괴물은 그를 결국..잡아 먹었다.(소리소문없이..)  우리는 왜 전쟁을 하는 걸까 라는 질문이 도돌이표처럼 따라왔다. 권력을 갖고 싶은 자,야망을 품은 자들에게 전쟁은 필연적이란 사실. 누군가를 죽이는 것만이 전쟁은 아니다. '사랑'이란 이름으로 벌어지는 전쟁은 훨씬 더 무섭다. 평화를 위해 싸운다는 말이 모순인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