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물농장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
조지 오웰 지음, 도정일 옮김 / 민음사 / 1998년 8월
평점 :
일찍이 사회를 이토록 잘 풍자한 소설이 있었던가! 누가 돼지고 누가 인간인지... 하는 마지막 구절이 아직도 귓가에 맴돈다. 올바른 의도로 반란이 일어난다 하더라도 부패가 시작된다면, 증오해 마지않았던 일들을 혁명의 주체였떤 자들이똑같이 되풀이한다면 그 무슨 악순환인가. 어쩌면 그들은 사회체제에 대한 불만으로 혁명을 일으켰다기보다는 단순히 군림하는 위치에 서고싶었떤 것일지도 모르겠다. 비판의 중요성ㅡ. 무지하거나 무기력하다는 것은 엄청난 사회악이다. "이게 다 스노볼 때문이다.", "존슨이 돌아오길 바라는 것은 아니겠지.", "우리 모두를 위한 것이다."라는 언론플레이, 대중홀리기의 대목에서는 소름이 끼쳤다. 너무도 불쌍한 우리 복서의 모습에서는, 해제에서 따온 말이지만, 프롤레타리아의 모습을 보았다.
책을 쓰는 이유는, 작가가 폭로하고 싶었던 어떤 거짓말이 있끼 때문이기도 하고, 사람들이 주목하게 하고싶은 어떤 진실이 있기 때뭉니라고 하며 그는 작품의 풍자성을 시인했다. 마르크스로서의 메이저, 스탈린을 대변하는 나폴레옹... 어렴풋이 짐작은 했지만 이렇게까지 일대일로 대응이 될 줄은 몰랐으며 해제를 보며 깜짝 놀랐다. 나아가 작가는, 그리고 역자후기에서는, 이 작품이 소비에트 체제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독재정치 전반에 대한 풍자로 해석될 수 있다고 했다. 독재가 아니라 실패한, 배반된 혹은 부패한 혁명이 그 대상이라는 해석도 있다.
여하튼, 불만을 잠재우면서도 "효율적"으로 대중을 통치하는 돼지들의 능력 또한 하나의 감상 포인트라고 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