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슐라르는 과학 이성의 객관성을 강력히 옹호했다. 

과학 연구자들의 심리, 주관성과 연결하면서 옹호하고 

그래서 주체와 객체가 "변증법" 안에서 작동하면서 형성하는 공동의 운명 같은 것으로다. 그가 펼치는 논의로 보면 경탄하고 동의하게 되는데 요약이나 정리는 느무느무 힘들다. 


순간 포착도 사실 잘 되지 않는다. 

한 문장 인용하고 그 인용문 해설하기. 이런 방식 접근이 잘 되지 않는다. 

그의 책 안에서 가동되는 변증법 안으로 들어가기. : 이 방식만 허락하는 거 같음. 

그렇게 한 번 체험하면, 이거지! 맞아! 객관성이라는 이상은 무너지거나 회의의 대상이 될 수 없다.... 는 입장이 확고히 생기는 느낌 든다. 그런데 어쨌든 이 주제로 일반적 철학 "논문"을 쓰기에는 너무 부적합하게 책을 써 놓으셔서, 그래서 그의 과학철학에서 객관성 이상의 옹호에 대한 논의가 별로 없었던 게 아닌가 하게 된다. 토마스 쿤과 바슐라르의 유사성에 대한 많은 말들이 있었는데, 쿤과 바슐라르는 사실 과학 이성, 과학 이성의 객관성에 대한 접근에서 완전히 달랐던 사람들. 영어권에서 바슐라르의 논의가 어느 정도 수용이 되었었다면, 90년대의 "과학전쟁"(과학에 비판적 입장인 진영에서 과학의 객관성, 합리성 주장을 공격했던)은 어쩌면 일어나지 않았거나 다르게 진행되었을지 모른다. 



<미학 이론>에서 아도르노는 미적(예술적) 객관성을 옹호한다. 미적 합리성도 옹호한다. 

이 주제에서 아도르노의 입장을 재구성하는 건 위의 바슐라르 입장을 재구성하는 것보다는 덜 어려울 거 같기도 하고 실제로 적지 않게 재구성하는 논의들이 있었다. 그래도 이미 있는 재구성들을 가져다 쓰는 거 말고 연구자에게 각자 알아서 새로 해보라고 하면, 이 역시 극히 어려울..... 


바슐라르 책을 보면, 인류가 "과학을 했다" 이것만으로도 그에게 인류애는 마르지 않는 샘물. 바슐라르에겐 정말 그 말의 의미에 충실하게 "인류애"라 불러도 될 무엇이 있다 쪽이 되기도 한다. 인간에 대한 경탄. 인간이 인간으로서 이루어온 것들에 대한 찬탄. 인간성이란 가치의 집적, 가치의 실행. 


바슐라르의 저런 면모와는 아주 다르긴 한데, 아도르노에게도 인류의 역사, 인류의 선택에 대한 신뢰 같은 것 있다. "새총에서 시작하여 원자탄으로. 이것이 보편사의 방향이다" 같은 말을 하기도 하지만 "진보"에 대한 믿음을 일관되게 표명했다. 그리고 그의 이런 면모는 인류가 생산한 예술에 대한 믿음, 찬탄과 함께 하는 것. 

 


객관성. 이것 아주 아주 느무느무 중요한 이상이 아닌가. 어떤 공격을 받았든 이것이 허물어지지 않았다면, 그 덕분에 허물어지지 않았을 다른 중요한 것들이 있지 않나? 



박근혜 시절 힘들었던 건 그게 꼭집어 "객관성"은 아니어도 사방에서 이것저것 다 공격받고 허물어지는 중인 듯한 그 느낌. 국정교과서, 이런 것도 있었고.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22-04-14 12: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22-04-14 13: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백송이, 류아 많이 컸는데 

더 애기 때도 귀여웠지만 지금도 너무 귀엽다. 

48초 안에 완벽한 행복이 담겨 있는 거 같아서 계속 보게 되는 영상. 

이 애기 보면 웃겨서 웃는 게 아니라 귀여워서 웃게 된다.  

너무 귀여우면 웃게 되는구나 하면서. 

귀여움이란 지금과는 다른 세계의 가능성. (.....) 

귀여움이 우리를 구원할 것이다. syo님의 이 모토에 마침내 공감하게 되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Persona, 1966, Ingmar Bergman | Film quote poster, Movie quotes, Film quotes




저런 대사가 그냥 막 나오는 게 

Ingmar Bergman 영화들의 놀라움이기도 하다. 

초기 영화가 몇몇 빠지기는 했지만 거의 전집에 가깝다는 박스 세트가 18년에 나왔는데 아마존에서 48% 세일한다. 150불 정도. 아마존 리뷰 보면 출시 당시부터 열광하는 리뷰들이 줄줄이. 











알라딘 상품으로는 이렇게 나와 있다. 

이건 사야 해. 

지금은 아니지만. 

지금이 아니면 언제? 

........ 그래 지금 사야 해. 

이러고 있. 



글쓰기에 대해 일찌감치 제대로 배웠다면 좋았을 것이, 내 경우엔 이것이다. 

글은 달라진다는 것. 어디로 갈지 미리 알 수 없지만 쓰지 않으면 가지 못한다는 것. 

어느 정도 공들여 쓴다는 전제 하에, 쓰면 쓸수록 (계속 써야만) 새로운 곳에 가게 된다는 것. 

지금이 다가, 끝이, 아니라는 것. 


<미학이론> 읽으면서, 그래도 그 근본에서 민주적인, 평등한 예술 형식은 문학이 아닌가는 생각 하게 되는데  

(음악, 미술은 정말이지 이건 어느 정도 "있는 집" 아니고는 시작부터 쉽지 않은) .... 그래서 글쓰기에 대해 지속적으로 많은 생각, 실험들이 있기를 바라게 된다. (.......... 그리하여 이 포스팅도 "회고록 씁시다" 포스팅이 되게 하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22-04-11 15:3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이 글 아주 좋아요!!
글은 달라진다는 것. 어디로 갈지 미리 알 수 없지만 쓰지 않으면 가지 못한다는 것.
어느 정도 공들여 쓴다는 전제 하에, 쓰면 쓸수록 (계속 써야만) 새로운 곳에 가게 된다는 것.
지금이 다가, 끝이, 아니라는 것!!!
그래서 저도 되지도 않은 글을 계속 쓰는 걸까요?? 응??^^;;;
암튼 용기 얻었어요.^^

몰리 2022-04-11 16:57   좋아요 0 | URL
라로님, 정말 ˝nothing short of epic˝ 이것이 우리 모두의 가능성!
.......... 아니 진짜로요! 진지하게!
그러니까 계속 쓰고, ˝각잡고˝ 쓰고....
매일 파일을 열고...
그리고 끝내고...
 




논문 제출하고 받아본 심사평 중 기억에 남는 둘이 있는데 

하나는 "지금 상태로 장점이 없지 않지만 게재하기엔 문제가 심각하다" 내용이었다. 

제출된 논문을 처음부터 끝까지 다 읽었고, 그리고 생각했고, 그리고 세심하게 썼다. 

그랬음을 분명히 알 수 있던 평이었다. 이런 논문 리뷰는, 이렇게 리뷰하는 심사자는, 그렇게 흔하지 않다. 논문을 다 읽는다, 생각한다까지는 하더라도 세심하게 쓴다, 이걸 하지 않는 이들이 아마 다수. 장점을 살리면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이 심사자가 꼼꼼히 내게 주고 있었는데, 거의 눈물을 흘리며 읽음. 감사의 눈물. 실제로 이 심사평 이후 뭔가 바뀌었다는 생각이 든다. 서로 모르는 사이임에도 동료가 동료에게, 심지어는 극적인 변화로 이어질 자극을 줄 수 있다. 


다른 하나는... 내 글을 재미있게 읽었다는 게 느껴지던 평. 

......... 앗 그러셨군요. 저도 즐겁습니다. 감사합니다. 하핫. 데헷. 



저런 기억들도 하면서 내일부터 쓰느라 살아야 할 고통(가끔 즐거움)의 시간들을 버틸 수 있겠지 하는 중이다. 

..... 서재에선 이제 조용히 '좋아요' 하는 사람으로. 



그런데 회고록. 시작도 안했고, 시작을 하게 되기는 하려나도 사실 알 수 없지만 

이게 이 시대의 형식이고, 그러니 이 형식의 가능성을 온전히 탐구해 보아야 하고, 그러려면 실제로 그것을 써야 하고... 같은 생각 하게 된다. ㅎㅎㅎㅎㅎ 그래서 다시 한 번 적습니다, 우리 회고록을 씁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라로 2022-04-01 16:4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scott 2022-04-01 21:0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도 조용히🙏좋아요만 쿡🙈
 




발터 벤야민 관련 이미지를 구해 보려고 검색했더니 

같은 검색 결과의 스크린샷을 누가. 


맨 아래줄 오른쪽은 벤야민의 책을 들고 있는 아렌트다. 





아도르노가 어느 강의에서 

"운명"에 대하여 벤야민을 인용하는데, 벤야민에 따르면 "운명"이란 

"살아 있는 이들을 연결하는 죄/죄의식의 그물 (nexus of guilt among the living)"이라고. 


일주일 전쯤 봄. 

일주일 동안 최초의 충격은 옅어지고 지금, 이게 도대체 무슨 소리야? 하고 있다. 

그러나 처음엔 하... 속으로 한숨 쉬며 감탄했었다. 무슨 뜻인지 명확했다. 죄는 그걸 짓는 1인에 제한되지 않는다. 너의 죄는 나의 죄가 되고 너와 나는 묶인다. 죄의 그물이 너와 나를 엮는다 (.....) 

 

벤야민. 완전히 틀리겠다는 각오로 이론 하신 분. 


그런데 어쨌든, (이렇게 이해하는 게 옳든 아니든) 벤야민의 말을 기억하고 

죄의 그물을 명상하면서 아무 말 없이 불멍하는 시간이 있다면 좋겠다 생각한다. 

......... 너와 내가 살아온 시간을 생각하면서 말 없이 불멍하기.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lueyonder 2022-03-14 17:22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불멍 좋아요x10! 특히 오늘 같은 날은...

몰리 2022-03-14 17:33   좋아요 2 | URL
정말 오늘 같은 날, 이런 저녁에 불멍하면서 걱정도 두려움도 죄도 사라지고 따뜻한 밤 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면.... 그리고 극우세력 없는 ㅎㅎㅎㅎㅎㅎ 세계로 다음 날 나온;;;;;다면!

곰곰생각하는발 2022-03-14 18:1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벤야민 좋죠. 불멍도 좋고...

몰리 2022-03-14 18:38   좋아요 2 | URL
그러고 보니 벤야민과 불멍은 어울리는 조합인 듯요!
니체와 불멍, 아도르노와 불멍, 맑스와 불멍은 억지스럽.;;; 이들은 분리시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