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미가
죽은 개미를 물고간다
개미는
손가락이 없어
산 입에 송장을 문 게 아니다
슬픔을 메우느라
차라리 저 몸에 입을 묻은 것
우리, 저와 같아서 사랑한다
그 말이 슬픔을 문 듯하여
이 길
나는 너를 물고, 슬프다

 


- 서영식 ‘송시’ -

 


이별의 슬픔은 그 크기가 사랑의 깊이와 같다. 사랑이 깊을수록 이별의 슬픔은 견디기 힘들다. 만고에 빛나는 이별의 시가 있다. ‘송인’(送人)이라는 제목이 익숙한 정지상의 「대동강」이다.

 


비 갠 긴 둑에 풀빛이 어여쁜데
님 보내는 남포에서 슬픈 노래 부르네.
대동강 저 물은 언제나 마르려나
이별 눈물 해마다 푸른 물결 보내느니.

 

雨歇長堤草色多
送君南浦動悲歌
大同江水何時盡
別淚年年添綠波

 


사랑은 그 사람의 가치에서 형성된다. 그 사람의 가치가 내 목숨과 같을 때 그를 위해 죽을 수도 있다. 그러나 시대가 지날수록 자신만의 가치를 더 중요시해 간다. 자신의 가치가 더 중요해질수록 주변 사람들에 대한 가치는 상대적으로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이별의 슬픔도 옛사람 같지는 않은 듯하다. 이별에 관한 절창도 별로 보이지 않는다. 세상의 변화이다.

 

「송시」는 전혀 감정이라고는 없어 보이는 개미들의 일상에서 이별의 슬픔을 훌륭하게 건져내고 있다. 너무 큰 슬픔은 울음도 부족하다. 울음으로도 해소되지 않는 상실감 또한 어쩌면 절대상황일 수 있다. 사랑이 깊을수록 이별의 슬픔은 크고, 슬픔이 클수록 상처도 깊다. 상처가 깊을수록 사랑은 컸던 것이고, 이제 아름다웠던 사랑의 추억만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