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ene #1  욕망과 영혼의 만남

 

 

 

 

 

 

 

 

 

 

 

 

 

 

 

 

 

 

 

 

 

 

 

 

 

 

 

 

 

 

 

 

 

 

 

인간의 ‘영혼’ 또는 ‘정신’을 뜻하는 영어 단어 Psyche는 그리스 신화 속 인물 프시케에서 유래한다. 프시케는 인간으로서 유일하게 신과 결혼해 불멸을 얻었다. 그녀는 뼈아픈 고난을 통해 이런 명예를 얻을 수 있었다.

 

 

 

 

 

 

프랑수아 제라르  「프시케와 에로스」 1798년  

 

 

원래 프시케는 눈부신 아름다움으로 그녀를 구경하기 위해 사람들이 구름같이 모여들 정도로 천하절색이었다. 그 바람에 정작 아프로디테의 신전에는 인적이 드물 정도였다. 여신의 미모에 필적하는 한 여성의 운명은 무서운 형벌로 이어졌다. 아프로디테는 아들 에로스에게 ‘프시케가 비천한 사내와 사랑하게 만들어 세상의 웃음거리가 되게 하라’고 지시했다. 하지만 혈기왕성한 에로스의 마음에는 이름 그대로 '욕망'이라는 이름의 두 글자가 자라고 있다. 훌륭한 미모 앞에 에로스 또한 그녀에게 쉽게 반하고 마는 남자였다. 프시케를 보고 사랑에 빠진 에로스는 자신의 화살에 찔리는 실수를 범해 그 자신이 ‘비천한 사내’가 되고 만다.

 

이후 프시케는 아폴론의 신탁으로 바위산 위의 궁전에서 살게 된다. 그 곁에는 한없이 자신을 사랑하며 모든 소원을 들어주지만 ‘얼굴만은 보지 말아야 한다’고 말하는 남편이 함께한다. 그러나 남편의 얼굴이 궁금한 데다 프시케의 삶을 질투한 두 언니가 ‘남편이 괴물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불어넣는다. 프시케는 등잔불과 칼을 잠든 남편의 얼굴에 들이댄다.

 

 

 

 

 

페터 파울 루벤스  「프시케와 에로스」 17세기경

 

 

등잔불에 비친 남편은 다름 아닌 아름다운 에로스. 프시케는 남편의 정체를 알게 된 순간 놀란 나머지 그만 칼을 떨어뜨리고 만다. 이때 실수로 에로스의 화살을 건드려 자신이 상처를 입는다. 그 순간 사랑에 깊이 빠진 자는 바로 그녀다. 그러나 언니들의 질투로 인해 저지른 프시케의 행동은 에로스의 믿음을 저버리게 되었다. 게다가 급히 등불을 치우다가 그만 기름 한 방울이 에로스의 오른쪽 어깨에 떨어진다. 자고 있던 에로스는 잠에서 깨고 만다. 신과 인간의 사랑이기에 아내를 위해 자신의 얼굴을 감춰왔던 에로스는 아내의 행동에 실망해 멀리 떠나게 된다. 자신의 잘못을 깨달은 프시케는 에로스와 재결합하기 위해 아프로디테가 내린 네 가지 과제를 수행했다. 여기서부터 지옥까지 다녀오는 고난과 역경을 통한 프시케의 '사랑 되찾기' 여정은 시작된다.

 

 

 

 

 Scene #2  험난한 '사랑 되찾기' 여정

 

 

 

 

 

 

 

 

 

 

 

 

 

 

 

 

아프로디테가 프시케에게 부여한 네 가지 과제는 에로스와 프시케가 극적으로 헤어지는 장면에 비하면 많이 언급되지 않은데다가 장면을 묘사한 그림도 적은 편이다. 프시케의 여정은 인간이 개발해야 하는 능력을 상징한다. 프시케는 힘겹게 과제를 풀어가는 과정을 통해 이전에 갖지 못했던 능력을 얻는다.

 

첫 번째 과제는 여러 종류의 곡류가 섞인 곡식더미를 분류하는 것이었다. 프시케가 산더미처럼 쌓인 곡식 앞에 망연자실하고 있을 때 그녀 앞에 한 무리의 개미들이 나타나 곡식을 분류해주었다. 이 과제는 중요한 결정을 내릴 때, 갈등을 일으키는 감정들을 우선순위를 정해 분류할 필요가 있음을 말해준다. 프시케는 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을 정직하게 들여다보고 감정, 가치, 동기를 잘 걸러서 중요한 것을 구별해내는 능력을 기르게 된다.

 

프시케가 받은 두 번째 과제는 숫양으로부터 황금 양털을 얻어오는 것이었다. 그 양은 누군가 털을 깎으려 하면 그 사람의 뼈를 부러뜨리거나 짓밟을 정도로 거칠었다. 이 과제는 인간의 힘으로는 도저히 해내기 어려운 것이었다. 그녀의 처지를 안 갈대는, 숫양들이 털을 고르기 위해 등을 문지른 가시나무에서 안전하게 황금 양털을 구해주었다. 여기에서 황금 양털은 권력을 상징한다. 경쟁적인 세상에서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서는 곳곳에 내재한 위험들을 깨달아야 한다. 그러지 못하면 스스로 상처를 입거나 세상에 환멸을 느껴 마음을 닫고 냉소적인 태도를 갖기 쉽다. 그녀는 이 과제를 통해 원하는 것을 획득하면서도 자비로운 사람으로 남아 있을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

 

아프로디테는 두 개의 과제를 통과한 프시케의 손에 작은 크리스털 병을 쥐어주면서 금단의 시냇가에서 물을 가득 채우라고 명령한다. 그러자 이번에는 독수리가 그녀를 돕기 위해 나타난다. 독수리는 멀리서 전체를 보고 자신이 필요로 하는 것을 재빨리 낚아채는 능력을 상징한다. 이는 개인적인 판단에 지나치게 치중해, ‘나무는 보되 숲을 보지 못하는’ 잘못을 막는 것을 의미한다.

 

프시케의 마지막 과제는 지하세계의 페르세포네에게 내려가 작은 상자에 화장수를 담아오는 것이었다. 도중에 도움을 청하는 불쌍한 사람을 만나더라도 절대 돕지 말아야 한다는 단서가 있었다. 만일 이것을 어기면 영원히 지하세계에 남게 된다. “안돼요!”라고 세 번 거절함으로써 프시케는 마지막 과제를 마쳤다. 단호하게 거절하는 법은 자신의 목표나 중요한 일을 완수하는 데 꼭 필요한 선택의 힘이다.

 

 

 

 Scene #3  사랑의 교훈

 

 

 

 

 

 

 

 

 

 

 

 

 

 

프시케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지만 언니들의 유혹에 넘어가 그것을 잘 유지하지 못했다. 사실 그녀는 네 가지 과제를 다 수행하고도 에로스를 만나지 못할 뻔 했다. 페르세포네에게 받은 화장수가 보관된 작은 상자를 열지 말라는 충고를 어기고 호기심으로 그만 열고 만 것이다. 상자 속에서 나오는 화장수는 마취제가 되어 그녀를 깊은 수면으로 빠지게 만들었다. 마침 잠에서 깨어난 에로스가 그녀를 발견하게 되어 두 사람을 드디어 재회하게 된다. 프시케는 자신의 잘못된 행동 때문에 두 번의 위기를 겪었지만 잃어버린 사랑의 중요성을 뒤늦게 깨닫게 되었고 네 가지 과제를 수행해 잃었던 것을 다시 얻었다. 또한 용기와 결단력을 시험했던 과제를 통해 프시케는 크게 성장하고 새로운 능력과 힘을 갖게 되었다.

 

반면 에로스는 마마보이다. 에로스는 프시케와 떠들썩한 지고지순한 사랑을 하더니, 프시케가 저지른 잘못된 행동 하나 때문에 크게 실망한 나머지 그녀를 방치하고 아프로디테로 가게 된다. 자신의 엄마가 아내에게 부여한 과제를 힘겹게 완수하고 있을 때 아들은 엄마의 보호 아래 오랫동안 깊은 수면에 빠졌다. 아프로디테가 자신의 임무를 어긴 죄로 에로스를 잠들게 만들었지만 그 와중에 과제 때문에 생고생하는 프시케의 모습은 흡사 ‘시월드’를 보는 듯하다.

 

서양미술사에서 아프로디테를 그린 그림에는 어김없이 아들 에로스가 함께 등장한다. 에로스가 없으면 아프로디테임을 알아보기란 쉽지 않다. 아프로디테의 존재는 에로스가 완성하는 것이다. 엄친아가 엄마의 존재를 완성시켜주듯이 말이다. 아프로디테와 함께 있는 에로스를 보면, 엄마 곁에 ‘영원한 아기’로 머물고 싶은 남성들의 심정이 읽혀진다. 반면 에로스를 다그치는 아프로디테를 본다면 아버지가 누구인지 알 수 없는 무대독자(?)를 과잉보호하는 엄마의 모습으로 볼 수 있다.

 

아프로디테와 에로스의 관계는 화가들마다 다르게 해석될 정도로 인기 있는 주제다. 어떤 그림에선 너그러운 엄마를 가진 화가의 모습이 읽혀지고, 무심하다 못해 자기 욕망에만 사로잡혀 있는 팜 파탈 같은 엄마의 모습도 엿보인다. 또 어떤 그림에서는 늘 야단만 치는 엄마의 모습도 보인다.

 

 

 

 

 

요한 루카스 크라나흐  「아프로디테에게 불평하는 에로스」  1525년경

 

 

 

에로스가 꿀을 훔쳐 먹으려고 그랬는지, 여하튼 벌집을 쑤셔놓아 벌에 쏘이고 있는 장면이다. 엄마는 벌침처럼 화살로 사람의 마음에 상처를 입히는 에로스를 꾸짖고 있다. 엄마의 지시를 어기고 프시케를 사랑하게 된 에로스는 아마도 이런 모습으로 꾸중을 들었을 것이다. 을 훔치다가 벌에 쏘이는 에로스와 그것을 지켜보는 아프로디테는 무절제한 욕정이 초래할 파탄을 경고하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만약에 에로스가 사랑의 화살을 맞지 않은 프시케를 떠났더라면 사랑의 불장난으로 끝나고 말았을 것이다.

 

화가들이 에로스와 프시케 또는 에로스와 아프로디테가 있는 장면에 매료되었던 이유는 인간이 지켜야 할 사랑의 덕목 즉 "무절제하고 신뢰가 없는 곳에 사랑이 머물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었을 것이다. 아름다운 미모로 여러 남자 마음을 불태운 경험이 많은 아프로디테가 에로스에게 향하는 꾸중과 충고는 귀 담아 들을 필요가 있다. 결국 좋은 여자 만나려면 프시케처럼 지고지순한 영혼을 가졌고 아프로디테처럼 아름다워야 한다. 아, 물론 뜨겁게 연인을 사랑할 줄 아는 욕망도 적당히 있어야 한다. 그런데 어디 내 주변에 이런 여자 어디 없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